'-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77) -의 : 시의 세계
시의 세계에서 보면
→ 시 세계에서 보면
→ 시라는 세계에서 보면
→ 시에서 보면
→ 시 나라에서는
→ 시에서는
세계를 헤아려 봅니다. “나무 세계”나 “동물 세계”나 “사람 세계”처럼 씁니다. 세상을 생각해 봅니다. “책 세상”이나 “꽃 세상”이나 “노래 세상”처럼 씁니다. 사이에 ‘-의’를 넣지 않습니다. 시나 소설이나 문학이나 사진을 말할 적에도 “시 세계”나 “소설 세계”나 “문학 세상”이나 “사진 세상”처럼 쓰면 됩니다. 4348.7.5.해.ㅅㄴㄹ
시의 세계에서 보면 세상의 사물은 사람과 똑같은 생각과 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시 세계에서 보면 온누리 사물한테는 사람과 똑같은 생각과 말이 있습니다
《신현득-몽당연필에도 주소가 있다》(문학동네,2010) 4쪽
‘세계(世界)’나 ‘세상(世上)’은 똑같은 자리를 가리킨다고 할 만합니다. 이 낱말을 따로 쓸 수도 있으나, 이 보기글에서는 둘 모두 덜거나 ‘나라’나 ‘누리’ 같은 낱말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말을 가지고 있습니다”는 “말이 있습니다”로 손봅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58) -의 : 독설의 이유
독설의 이유
→ 독설을 하는 까닭
→ 모질게 말하는 까닭
→ 매섭게 말하는 까닭
‘독설(毒舌)’은 “악독(惡毒)스러운 말”이라고 합니다. ‘악독’은 “마음이 흉악하고 독함”을 뜻한다고 합니다. ‘흉악(凶惡)’은 “성질이 악하고 모짊”을 뜻한다 하고, ‘독(毒)하다’는 “독기가 있다, 마음이나 성격 따위가 모질다”를 뜻한다 합니다. ‘악(惡)하다’는 “인간의 도덕적 기준에 어긋나 나쁘다”를 뜻한다고 해요. 여러모로 살피면, ‘독설’이란 “모질게 하는 말”이나 “나쁘게 하는 말”인 셈입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세상에 대고 모질게 말하다’나 ‘세상 사람한테 매섭게 말하다’쯤으로 풀어서 적을 때에 알맞으리라 느낍니다. 한자말 ‘독설’을 쓰고 싶다면 “독설을 하는 까닭”으로 적으면 됩니다. 4348.7.5.해.ㅅㄴㄹ
로산진은 세상을 향한 독설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로산진은 세상에 대고 매섭게 말한 까닭을 다음과 같이 든다
《신한균,박영봉-로산진 평전》(아우라,2015) 113쪽
“세상을 향(向)한”은 “세상에 대고”나 “사람들한테”로 다듬습니다. ‘이유(理由)’는 ‘까닭’으로 손보고, “말하고 있다”는 “말한다”로 손봅니다. 그런데, ‘독설’하고 ‘말한다’는 똑같이 ‘말하기’인 만큼, 뒤쪽에 나오는 ‘말한다’는 ‘든다’로 고쳐 줍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