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버드 - 지구에서 달까지, B95의 위대한 비행 생각하는 돌 12
필립 후즈 지음, 김명남 옮김 / 돌베개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책 읽기 80



달까지 날아오르는 붉은가슴도요

― 문버드, 지구에서 달까지 B95의 위대한 비행

 필립 후즈 글

 김명남 옮김

 돌베개 펴냄, 2015.5.18.



  우리 집 마당에는 우리 마을에서 가장 큰 후박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지난날에는 어느 집 마당에나 큰나무가 있었을 텐데, 새마을운동 바람이 불었고 한국전쟁이 있었으며 일제강점기를 흐른 탓에, 마을에서 숲정이가 사라지고 집집마다 자라던 큰나무도 거의 다 사라졌습니다.


  우리 집 마당 후박나무는 우리 마을에서는 제법 큰 나무이지만, 다른 마을이나 바닷가에서 자라는 듬직한 후박나무에 대면 아직 ‘아기’라고 할 만합니다. 그래도 해마다 우듬지가 높아지고 가지를 넓게 뻗습니다. 마당에 드리우는 나무그늘이 차츰 넓어집니다.


  마을 뒤쪽으로는 멧줄기가 포근하게 감쌉니다. 그래서 새벽이랑 아침이면, 또 저녁이면, 숲에서 사는 새들이 살짝살짝 마을로 드나듭니다. 먹이를 찾으려고 드나들고, 즐겁게 나들이를 다니면서 드나듭니다. 이때에 여러 새가 우리 집 마당으로 찾아와서 후박나무에 앉습니다. 다른 집에는 크게 자란 나무가 없으니 우리 집 마당에서 자라는 후박나무가 멧줄기랑 마을을 잇는 징검돌이 된다고 할까요. 숲새는 후박나무에 앉아서 노래를 부르면서 날개를 쉰 다음, 다시 포로롱 날아올라서 바다 쪽으로 가든지, 건너편 다른 멧줄기로 갑니다.




붉은가슴도요 아종 루파 전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B95와 무리가 휴식을 취하고 연료를 보금하는 데 중요한 장소들, 말하자면 기나긴 연간 이동 경로에서 징검돌에 해당하는 장소들이 인간의 활동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 1995년 과학자들은 붉은가슴도요 루파의 개체수를 약 15만 마리로 추정했다. 그러나 2000년 무렵부터 이 새들은 수천 마리씩 죽어 가기 시작했다. (7, 11쪽)



  필립 후즈 님이 쓴 《문버드, 지구에서 달까지 B95의 위대한 비행》(돌베개,2015)이라는 책을 읽습니다. ‘문버드’는 ‘붉은가슴도요’한테 붙인 새로운 이름이라고 합니다. 해마다 수만 킬로미터를 훌쩍 넘는 하늘길을 날아서 오가는 200그램조차 안 되는 조그마한 새한테 붙인 이름이라고 해요. 한국말로 하자면 ‘달새’일 텐데, 110그램에서 180그램 사이라는 조그마한 새는 지구와 달 사이를 오가듯이 머나먼 길을 씩씩하게 날아다니면서 삶을 짓는다고 합니다.


  《문버드》는 수많은 붉은가슴도요한테 바치는 책이요, 이 가운데 ‘B95’라는 글씨를 새긴 발찌를 차고는 스무 해 남짓 기운차게 살아남아서 아직도 해마다 수만 킬로미터를 훌쩍 넘는 하늘길을 날아다니는 조그마한 새한테 드리는 책이라고 할 만합니다. B95가 이제껏 날아다닌 하늘길은 523,000킬로미터가 넘는다고 합니다.




B95는 출발 며칠 전까지 몸을 채우는 데 집중하다가, 어느 순간 노선을 바꾼다. 이제 B95는 좀더 부드러운 먹이를 좀더 조금 먹는다. 비행하는 동안 필요하지 않은 내장 기관은 줄어들기 시작한다. 간과 장이 쪼그라들고 다리 근육도 줄어든다 … B95는 무리와 함께 라고아두페이시에 몇 주 머무른다. 낮에는 달팽이를 잡아먹고 밤에는 석호에서 존다. 공연히 몸을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면서 단백질을 지방으로 전환한다 … 얼음이 녹고 땅이 폭신폭신해지면 이윽고 녀석들이 풀려난다. 모기들은 고인 웅덩이에 곧장 알을 낳아 단백질이 풍부한 유생을 잔뜩 생산한다. 이 또한 붉은가슴도요들의 먹잇감이다. (45, 55, 106쪽)



  《문버드》는 작은 새 한 마리가 날아다니는 길을 차근차근 좇습니다. 어디에서 태어나서 자라다가, 어느 곳으로 날아가는가를 살핍니다. 한 번 날아오른 뒤 여러 날 쉬지 않고 날아서 어느 곳에 내려앉아서 어떤 먹이를 찾는가를 헤아립니다. 북반구 끝자락에서 남반구 끝자락을 오가는 작은 새가 어느 곳을 징검돌로 삼아서 나들이를 다니는가를 찾아봅니다.


  새 한 마리가 아무리 멀리 오랫동안 잘 날더라도 ‘내려앉아서 쉴 곳’이 있어야 합니다. 징검돌이 있어야 합니다. 수많은 과학자와 자원봉사자는 ‘B95’ 발찌를 단 새를 눈여겨보았고, 새떼가 지나가는 길을 알아내려고 했답니다. 이들은 ‘과학 조사’나 ‘학문 연구’ 때문에 작은 새 한 마리를 눈여겨보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살아가는 이 지구별에는 사람뿐 아니라 수많은 목숨이 함께 살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사람대로 아름답게 살고, 새는 새대로 사랑스레 살며, 뭇목숨은 뭇목숨대로 곱게 살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지구별에 사람만 남으면 사람은 모두 죽습니다. 아무것도 못 먹기 때문입니다. 숲짐승도 물고기도 벌레도 새도 함께 지구별에서 살아야 합니다. 모기가 없어지면 어떻게 될까요? 새는 먹이 한 가지를 잃습니다. 새가 먹이 한 가지를 잃으면 어떻게 될까요? 모기를 먹으며 살찌우던 몸이니, 다른 먹이, 이를테면 사람들이 밭에서 기르는 열매를 노릴 테지요. 파리가 없어지면 어떻게 될까요? 이때에도 새는 먹이 한 가지를 잃는데, 새가 먹이를 잃을 뿐 아니라 사람한테도 끔찍한 일이 됩니다. 파리가 없어지면 ‘썩은 것’이 사라지지 않으니까요. 파리가 있고 지렁이가 있으며 쥐가 있기에 ‘썩은 것’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시골에 논과 밭만 있어서는 밥을 제대로 못 먹습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논과 밭만으로는 싱그러운 바람이 불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아무도 안 건드리는 고요한 숲이 깊게 있어야 합니다. 숲이 우거져야 합니다. 나무가 수백 해나 수천 해쯤 느긋하게 자랄 수 있을 때에, 사람들은 ‘집을 지을 나무’를 숲에서 틈틈이 얻을 만합니다. 이리하여 예부터 어느 마을이든 숲정이를 두었고, 숲이 마을하고 함께 있을 때에 비로소 논이랑 밭도 한결 기름지면서 정갈하게 건사할 수 있습니다.




어떤 길을 고르든 이 여정은 대단히 험난한 도전이다. 몇몇 새들은 연료가 떨어져 탈진한 나머지 하늘에서 떨어질 것이다. 나머지는 최후의 몇 시간까지 근육을 태운 뒤 가까스로 델라웨어 만에 내릴 것이다 … B95의 부모는 석 달 동안 14000킬로미터를 날고 연료를 보급하고 이동한 끝에 6월 초 캐나다 북부에 도착했다. 깃털은 붉은색으로 밝아졌지만 셀 수 없이 많이 날갯짓을 한 탓에 비행깃 깃가지가 죄다 너덜너덜해졌다 … 태어난 지 한 달도 안 된 B95 새끼들은 자기들끼리 남았다. 새끼들은 착실히 먹고, 갈수록 무겁고 강해지며, 비행깃을 훈련하고, 어른의 보호 없이 스스로 위험을 감지하는 법을 익힌다. 그렇게 툰드라에 머무르며 8월 초가 된 어느 날, 새끼들은 문득 떠나고 싶다는 욕구에 사로잡힌다. (57, 104, 110쪽)



  철새한테는 곳곳에 징검돌이 될 쉼터가 있어야 합니다. 사람한테는 숲이 있어야 합니다. 텃새한테는 숲정이도 숲도 나란히 있어야 합니다. 사람한테는 논밭을 비롯해서 너른 마당이랑 풀밭이랑 꽃밭이 함께 있어야 합니다.


  붉은가슴도요는 해마다 끝없이 먼 하늘길을 날아서 오갑니다. 철마다 붉은가슴도요가 이끌리는 맛난 먹이가 넉넉히 있는 곳에서 부는 바람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붉은가슴도요는 바람을 따라 훨훨 납니다. 즐겁게 지낼 새로운 쉼터를 찾아서 날고 또 날며 다시 납니다.


  사람은 어디에서 어디로 움직일까 하고 헤아려 봅니다. 사람은 어떤 바람을 느끼거나 마시면서 어느 곳에서 쉬거나 사랑을 속삭이는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 새한테는 징검돌이 될 아름다운 곳이 있어야 한다면, 사람한테는 이 지구별이 어떤 보금자리나 마을이 되어야 삶을 즐겁게 지을 만할까 하고 되새겨 봅니다.




모든 생물종은 각각의 에너지와 활동이 복잡하게 얽힌 생태계라는 그물망에 소속되어 있다. 그 그물망들은 작은 미생물에서 거대한 나무까지 모든 생명을 잇는다 … 우리와 함께 지구에서 살아가는 종들은 모두 나름대로 성공한 존재들이다. 우리 동료 생명체들은 저마다 기발한 생존 전략을 진화시켰고, 그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했다. 매혹적이고 때로 아름답기까지 한 생명체들이 없는 지구에서 산다는 것은 훨씬 더 초라한 세상에서 사는 것이리라. (154, 163쪽)



  오늘 아침도 휘파람새하고 검은등지빠귀가 잇달아 마당에 내려앉아서 노래합니다. 이 숲새가 숲에서 노래할 적에는 고운 소리가 마루를 거쳐서 고즈넉하게 퍼집니다. 이 숲새가 우리 집 마당에 내려앉아서 노래할 적에는 대단히 우렁차면서 맑은 소리가 온 집안을 쩌렁쩌렁 울립니다. 후박나무 우듬지나 빽빽한 나뭇가지 사이에 살짝 깃들어 노래하니 아직 휘파람새랑 검은등지빠귀가 어떤 모습인지는 알아보지 못합니다. 다만, 노랫소리로 이 새가 아침을 열어 주고, 새벽을 밝히며, 다시 저녁이 저무는 바람을 알려주는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제비가 부산하게 날면서 노래하고, 처마 밑 빈틈에 둥지를 튼 참새도 어미 새와 새끼 새가 나란히 노래합니다. 뒤꼍 감나무와 마당 초피나무에는 딱새와 박새가 낮나절 내내 드나들면서 노래합니다. 때로는 까치나 까마귀가 매화나무나 모과나무 꼭대기에 앉아서 노래합니다. 엊그제는 높은 하늘에서 까치떼가 누렁조롱이를 쫓아내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하도 까치들이 시끄럽게 깍깍거리기에 하늘을 보았더니, 까치가 떼를 지어 누렁조롱이하고 맞서더군요.


  필립 후즈 님은 《문버드》라는 책을 빌어서 우리한테 “모든 생물체는 나름대로 환상적이고 신비롭다(161쪽).” 하고 이야기합니다. 참말 그렇습니다. 붉은가슴도요는 붉은가슴도요대로 놀라우면서 아름답습니다. 참새는 참새대로 놀라우면서 아름답습니다. 제비와 까치도 제비와 까치대로 놀라우면서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우리 사람도 저마다 놀라우면서 아름답습니다. 이 지구별에서 서로 사랑하고 보살피고 아끼고 헤아리면서 넉넉하게 어우러지는 삶을 꿈꾸어 봅니다. 4348.6.13.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숲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