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67) -사死 1


그 가운데는 수명이 다해 자연사하는 새도 있을 것이고, 천적한테 공격을 당해 죽는 일도 있을 것이다

《권오준-우리가 아는 새들 우리가 모르는 새들》(겨레,2014) 66쪽


 자연사하는 새도

→ 늙어서 죽는 새도

→ 늙어 죽는 새도

→ 천천히 죽는 새도

→ 조용히 죽는 새도

 …



  한국말사전을 보면 ‘死’라는 낱말이 따로 올림말로 나옵니다. “= 죽음”으로 풀이합니다. 그러니까, ‘死’라는 외마디 한자말은 쓰지 말고 ‘죽음’이라는 한국말을 써야 한다는 소리입니다.


 생과 사의 갈림길

→ 삶과 죽음이라는 갈림길

 사가 우리들의 사랑하는 이를 우리에게서 뺏어 갈 때

→ 죽음이 우리가 사랑하는 이를 우리한테서 뺏어 갈 때


  삶은 ‘삶’입니다. 죽음은 ‘죽음’입니다. 이를 굳이 ‘生’과 ‘死’라는 한자말로 써야 하지 않습니다. 딱히 영어로 써야 하지도 않습니다. 한국말로 알맞게 쓰면 됩니다.


  ‘자연사’ 같은 한자말도 따로 써야 하지 않습니다. “자연스레 죽었다”고 하면 되고, ‘자연사’라는 낱말이 가리키는 대로 “늙어서 죽다”라 하면 되고, “조용히 죽다”나 “천천히 죽다”나 “늙어서 스스로 죽다”나 “목숨이 다해 스스로 죽다”처럼 쓰면 됩니다.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늙어서 자연사하다”는 그야말로 겹말입니다. “늙어서 늙어서 죽다” 꼴이 되니까요. 4348.4.4.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 가운데는 목숨이 다해 스스로 죽는 새도 있고, 목숨앗이한테 죽는 일도 있다


‘수명(壽命)’은 ‘목숨’으로 다듬고, “있을 것이고”는 “있고”로 다듬습니다. ‘천적(天敵)’은 ‘목숨앗이’로 손질하고, “공격(攻擊) 당(當)해”는 “공격을 받아”나 “붙잡혀”나 “사로잡혀”나 “먹이가 되어”로 손질합니다.



사(死) = 죽음

   - 생과 사의 갈림길 / 사가 우리들의 사랑하는 이를 우리에게서 뺏어 갈 때

자연사(自然死) : 노쇠하여 자연히 죽음

   - 자연사일 가능성이 높다 / 늙어서 자연사하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