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614) 그것 6


그리고 공기처럼 눈에 잘 보이지는 않으나, 대지와 그것이 키워내는 모든 생명체 속에서 충만해야 한다

《김중배-새벽을 위한 증언》(한길사,1986) 155쪽


 대지와 그것이 키워내는 모든 생명체

→ 땅과 땅이 키워내는 모든 목숨붙이

→ 이 땅과 이 땅이 키워내는 모든 목숨붙이

→ 이 땅과 모든 목숨붙이

 …



  요즈음에는 “책과 그것에 담은 이야기”라든지 “버스와 그것에 탄 사람들”처럼 말할 사람도 나오겠구나 하고 느낍니다. “어머니와 그녀가 낳은 아이들”이라든지 “아버지와 그의 친구들”처럼 말할 사람도 나올는지 모릅니다. 그렇지만, 한국말은 “책과 책에 담은 이야기”요, “버스와 버스에 탄 사람들”이고, “어머니와 아이들”이며, “아버지와 친구들”입니다.


  ‘그것’이라는 낱말은 “거기에 있는 그것 좀 집어 주라”나 “네 옷에 묻은 그것은 무엇일까”나 “그것 가지고는 어림도 없겠는걸”이나 “그것들이 참 버릇이 없이 구네”처럼 씁니다. 이런 자리가 아닌 다른 자리에 쓰는 모든 ‘그것’은 어설프게 잘못 쓰는 번역 말투입니다. 4339.9.5.불/4348.3.31.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리고 바람처럼 눈에 잘 보이지는 않으나, 땅과 이 땅이 키워내는 모든 목숨붙이와 함께 가득해야 한다


‘공기(空氣)’는 그대로 둘 수 있고, ‘바람’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대지(大地)’는 ‘땅’으로 손질하고, “생명체(生命體) 속에서 충만(充滿)해야”는 “목숨붙이와 함께 가득해야”로 손질합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63) 그것 7

나는 새로운 것을 많이 쓰고 싶지만, 그것은 모두 인도라는 바탕 위에 씌어져야 할 것이다
《마하트마 간디/김태언 옮김-마을이 세계를 구한다》(녹색평론사,2006) 28쪽

 새로운 것을 많이 쓰고 싶지만, 그것은 모두
→ 새로운 글을 많이 쓰고 싶지만, 이 글은 모두
→ 새로운 이야기를 많이 쓰고 싶지만, 이는 모두
  …


  이 보기글을 보니, ‘이야기’나 ‘글’이라고 적어야 할 대목에 ‘것’과 ‘그것’을 넣습니다. 왜 이야기를 ‘이야기’라 하지 않고, 글을 ‘글’이라 하지 않을까요? 왜 이렇게 번역을 하거나 글을 써야 할까요? 이야기나 글을 ‘것·그것’으로 쓴대서 글멋이 나거나 글맛이 살지 않습니다. 4339.12.22.쇠/4348.3.31.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나는 새로운 이야기를 많이 쓰고 싶지만, 이 얘기는 모두 인도라는 바탕에서 써야 한다

“새로운 것”은 “새로운 이야기”나 “새로운 글”로 손질합니다. “인도라는 바탕 위에 씌어져야”는 “인도라는 바탕에서 써야”나 “인도라는 바탕으로 써야”로 손보고, “할 것이다”는 “한다”로 손봅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709) 그것 8

또 아무것도 아닌 론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와 철도 등에서도 비애에 찬 인생의 무대를 보았고 그것을 그렸다
《사사키 미쓰오,사사키 아야코/정선이 옮김-그림 속 풍경이 이곳에 있네》(예담,2001) 60쪽

 비애에 찬 인생의 무대를 보았고 그것을 그렸다
→ 슬픔에 찬 삶터를 보았고, 이를 그렸다
→ 슬픈 삶을 보았고, 이 모두를 그렸다
→ 슬픔을 보았고, 이를 낱낱이 그렸다
 …


  스스로 바라본 모든 것을 그림으로 그린다고 합니다. 그러니 이 보기글에서는 ‘그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라고 적어야 어울리고, “이 모두”나 “이”로 적을 수 있습니다. “이를 하나하나”나 “이를 남김없이”나 “이를 모조리”로 적어도 돼요.

  이 보기글과 비슷하게 “어제 책방에 가서 책을 한 권 찾았고 그것을 읽었다”처럼 말하는 사람이 있을까 궁금합니다. “어제 책방에 가서 책을 한 권 찾았고, 이 책을 장만해서 읽었다”처럼 말하겠지요. 4340.3.5.달/4348.3.31.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또 아무것도 아닌 론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와 철도에서도 슬픔에 찬 삶을 보았고, 이 모두를 그렸다

“철도 등(等)에서도”는 “철도에서도”로 손보고, ‘비애(悲哀)’는 ‘슬픔’이나 ‘아픔’으로 손봅니다. “인생(人生)의 무대(舞臺)”는 “인생 무대”로 손질할 수 있는데, ‘한마당’이나 ‘삶’이나 ‘삶마당’이나 ‘삶터’로 손질해도 잘 어울립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