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18 ‘엉뚱하’거나 ‘나답’거나



  누군가 어떤 일이나 말을 할 적에 ‘엉뚱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둘레에서 나를 바라보며 ‘엉뚱하다’고 말할 수 있고, 내가 다른 사람을 바라보며 ‘엉뚱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엉뚱하다’는 어떤 뜻으로 쓰는 낱말일까요? 이 낱말은 모두 세 가지 뜻으로 씁니다. 첫째, “사회에서 흔히 바라보는 눈길이나 생각과 크게 다르다”입니다. 둘째, “말이나 몸짓이 제 주제에 맞지 않게 지나치다”입니다. 셋째, “사람·일·것이 오늘 이곳에서 어떤 사람·일·것하고 얽히지 않다”입니다. “엉뚱한 생각은 그만두렴(1)”이라든지 “엉뚱한 짓을 일삼는다(2)”라든지 “엉뚱한 사람이 다친다/엉뚱한 곳에 왔다(3)”처럼 씁니다. 그러니까, ‘엉뚱하다’고 할 적에는 ‘사회 흐름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나 ‘사회에서 세운 틀을 넘어선다’나 ‘사회에서 시키는 길을 가지 않는다’는 느낌을 가리키는 낱말이라고 할 만합니다.

  그러면, 나는 사회의식을 따라야 할까요? 나는 시사상식이나 고정관념을 내 머릿속에 새겨야 할까요? 나는 남들이 하는 대로 똑같이 해야 할까요? 나는 공무원이나 회사원이 되어서 예순 몇 살까지 달삯을 받으며 일하다가 그 나이부터 일을 쉬고는 연금을 받아야 할까요?

  한국 사회를 본다면, 대학교를 안 가는 몸짓만으로도 ‘엉뚱한’ 셈입니다. 고등학교를 그만두어도 엉뚱하다 할 테고, 초등학교조차 안 다닌다고 하면 아주 엉뚱하다 할 터입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이나 학원을 아예 다닌 적이 없다면 그야말로 엉뚱하다 할 테지요. 가시내가 치마를 안 입고 바지를 입거나 머리를 짧게 치거나 민다든지, 사내가 머리카락을 치렁치렁 늘어뜨린다든지, 머리카락을 노랗거나 빨갛게 물들인다든지, 옷차림이나 몸매나 얼굴에는 마음을 안 쓴다든지, 도시에서 안 살고 시골에 살려 한다든지, 이러구러 사회의식에서 가리키는 ‘엉뚱한’ 모습은 참으로 많습니다.

  ‘엉뚱하다’라는 낱말은 사회에서 사람을 길들이려고 쓰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의식으로 똘똘 뭉친 사람들이 ‘사회의식을 거스르려는 사람’이나 ‘사회의식과 동떨어지려는 사람’을 붙잡거나 옭아매거나 가두려고 쓰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다시 생각해 봅니다. 사회에서 흔히 바라보는 눈길이나 생각과 크게 다르다고 한다면, 이러한 눈길이나 생각은 어떠한 모습일까요? ‘내가 나다운 눈길이나 생각’입니다. 말이나 몸짓이 제 주제에 맞지 않게 지나친 모습이란 있을까요? 없습니다. 사람·일·것이 다른 어떤 사람·일·것하고 얽히지 않는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엉뚱하거나 뜬금없는 모습일까요? 이 또한 ‘내가 나다운 모습으로 가는 길’입니다. 왜냐하면 사회의식과 얽히지 않는 모습이란 ‘홀가분한(자유로운)’ 모습이니까요.

  대학교에 가야 한다면 가면 됩니다. 대학교에 가지 않아도 된다면, 아니 대학교에 갈 까닭이 없이 내가 내 길을 손수 닦아서 즐겁게 간다면, 이 길은 언제나 ‘내 길’이요 ‘내 모습’이며 ‘내 삶’이자 ‘내 숨결’입니다. 나다운 삶이라면, 나로서는 고등학교이든 중학교이든 초등학교이든 굳이 안 다녀도 됩니다. 따로 무엇을 남한테서 더 배우고 싶으면 학원에 갈 수 있습니다. 따로 무엇을 배우려고 하는데 스스로 배울 수 있으면 학원에 갈 일이 없습니다.

  나는 남이 시키는 대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나는 내가 바라는 대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남이 나더러 숨을 쉬라고 하니 숨을 쉴까요? 아닙니다. 나는 내가 스스로 오늘 이곳에서 살고 싶기에 숨을 쉽니다. 오직 내 넋이 바라는 뜻에 따라서 숨을 쉽니다. 남이 나더러 밥을 먹거나 잠을 자라고 하니까 밥을 먹거나 잠을 자나요? 아닙니다. 나는 내가 스스로 오늘 이곳에서 살면서 일하거나 놀고 싶으니 밥을 먹거나 잠을 자면서 새로운 기운을 얻으려고 합니다.

  나는 남이 보기에 ‘엉뚱한’ 짓을 하거나 ‘엉뚱한’ 말을 하거나 ‘엉뚱한’ 데에 끄달려서 ‘엉뚱한’ 훈련이나 공부를 할까요? 아닙니다. 나는 내 삶을 짓는 길을 기쁘게 걸어가면서 내 넋을 사랑스레 가꾸는 숨결이 되고자 웃고 노래하면서 훈련이나 공부를 합니다. 길에서 춤을 추든 노래를 하든 입맞춤을 하든, 나는 스스로 마음에 일으킨 기쁜 생각에 따라 움직이면서 하루를 삽니다. 사회의식은 이를 모두 ‘엉뚱하다’고, 때로는 ‘미쳤다’고 할 테지만, 나는 늘 ‘나답게’ 삽니다.

  남들은 나더러 ‘너 참 엉뚱하네!’ 하고 손가락질을 할 수 있습니다. 나는 나한테 기쁘게 ‘나는 참 나답네!’ 하고 웃으며 말할 수 있습니다. 사회의식에 젖은 사람들은 ‘나다운 결’을 가꾸려는 사람을 바라보면서 자꾸 ‘엉뚱하다’라는 낱말을 심으려 합니다. 나다운 생각을 바꾸어서 사회의식으로 돌리려고 하는 생각에서 이러한 낱말을 씁니다. 그래서 나는 사회의식한테 말하지요. 그래, 그런데 말이지요, 내가 나로서 이녁을 바라보자니, 이녁이야말로 엉뚱하네요, 하고 말합니다. 이녁이야말로 이녁다움을 찾거나 느끼거나 바라보거나 생각하려 하지 않으니까, 이녁이야말로 참으로 엉뚱하네요, 이녁도 부디 이녁다움을, 그러니까 ‘나다움’을 찾고 느껴서 바라보면서 사랑할 수 있기를 바라요, 하고 말합니다.

  우리는 엉뚱하지 않습니다. 너희가 엉뚱합니다. 우리는 우리답습니다. 나는 엉뚱하지 않습니다. 네가 엉뚱할 뿐입니다. 나는 나답고, 너도 너답기에, 서로 ‘나다운’ 길로 함께 갑니다. 4348.2.13.쇠.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