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문학동네 시인선 15
장석남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말하는 시 76



시와 그물

―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장석남 글

 문학동네 펴냄, 2012.2.25.



  시골집에서 시골사람으로 지내면서 느끼지 못한 대목을 도시로 나들이를 와서 느낍니다. 시골집에서는 아이들더러 ‘얘들아, 마루에서 뛰지 말고 마당에서 뛰렴’ 하고 타이를 수 있으나, 도시에서는 아이들더러 바깥에 나가서 뛰놀라고 이르지 못합니다. 아이들이 뛰놀 골목이나 빈터가 없을 뿐 아니라, 우리 아이도 이웃 아이도 골목이나 빈터에서 뛰놀지 않습니다. 우리 아이야, 도시에 있는 외할머니나 이모나 큰아버지나 여러 이웃한테 찾아가니까, 골목이나 빈터에서 놀 겨를이 없기도 할 테지만, 거의 모든 사람이 도시에 몰려서 사는데, 어느 골목이나 빈터에도 아이들 그림자가 없습니다.


  우리 어른들은 아이들을 골목에서 몰아냈습니다. 정치권력이나 대통령이나 국회의원이나 기자나 작가 같은 사람뿐 아니라, 이 땅 모든 어른이 똘똘 뭉쳐서 아이들을 학교와 학원에만 몰아넣으면서, 먼 옛날부터 마을과 빈터와 숲과 냇가에서 놀던 아이들한테서 놀이를 죄다 빼앗았습니다.



.. 갈대나 물결 / 새나 바람 / 평수 많은 밤 // 어디서 오는지 ..  (호수)



  도시를 거닐다 보면, 골목이나 빈터는 어김없이 주차장입니다. 좀 놀 만하다 싶은 자리는 으레 자가용이 차지합니다. 아이들은 도시에서 인라인조차 타기 벅찹니다. 자동차 때문에 아예 엄두를 못 냅니다. 자전거도 마음 놓고 타지 못합니다. 공원이라도 있으면 겨우 이런저런 끄트머리에서 바퀴를 조금 굴리다가 그칩니다.


  아이들이 몸을 쓸 틈이 없습니다. 아이들이 숨을 쉴 겨를이 없습니다. 아이들이 넋을 살찌울 자리가 없습니다. 아이들이 꿈을 꿀 바탕이 없습니다.


  도시에서 며칠 지내면서 아이들한테 해야 하는 말이 몇 가지 있습니다. ‘길에서 달리지 마라’와 ‘집에서 뛰지 마라’와 ‘전철에서 노래 부르지 말거나 목소리를 낮추어라’와 ‘버스에서 손잡이를 잡아라’ 같은 말입니다. 이런 말을 쉬잖고 해야 합니다. 그야말로 잔소리뿐입니다. 잔소리를 들어야 하는 아이도 고달프고, 잔소리를 해야 하는 어버이도 고단합니다. 우리 아이들이야 며칠 머물다가 시골집으로 돌아가면 그만이지만, 도시에서 나고 자라는 모든 아이들은 하루 내내 잔소리에 시달리다가 아예 ‘뛰놀기’와 ‘노래하기’를 몽땅 잊거나 잃을밖에 없습니다.



.. 산 넘어온 비가 / 산 넘어간다 / 비단옷으로 와서 / 무명옷으로 간다 ..  (장마 끝물)



  장석남 님이 빚은 시집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문학동네,2012)를 읽습니다. 인천을 거쳐 일산으로 전철을 타고 두 시간 남짓 달리는 길에, 아이들이 뛰노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보다가, 타이르다가, 어르다가, 미리 썰어서 통에 담은 감을 내밀다가, 한 쪽 두 쪽 읽습니다.


  장석남 님은 고요더러 내빼지 말라고 말하지만, 도시에는 고요가 없습니다. 아침에도 낮에도 저녁에도 밤에도 새벽에도, 도시에는 시끄러움과 부산함이 있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도시에 개구쟁이 놀이나 말괄량이 노래가 있지는 않아요. 기쁜 노래라든지 즐거운 춤사위가 있지도 않습니다.


  연예인이나 가수나 배우나 이런저런 전문가와 작가와 기자는 죄다 서울에 모여서 일하거나 산다지만, 막상 서울에서 노래나 춤이나 이야기나 웃음을 마주하기는 아주 어렵습니다. 이런 것을 마주하자면 ‘돈’을 들여야 합니다.



.. 옥수수밭가에 와 살고부터 / 나는 지금 옥수수밭가에 살고 있구나 생각했다 ..  (옥수수밭의 살림)



  먼 옛날부터 놀이는 몸에서 몸으로 물려주고 물려받았습니다. 먼 옛날부터 춤과 노래는 삶에서 삶으로 물려주고 물려받았습니다. 먼 옛날부터 전문 노래꾼이나 춤꾼이나 이야기꾼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이 노래꾼이면서 춤꾼이고 이야기꾼입니다. 모든 사람이 살림꾼이면서 사랑꾼이자 숲지기요 들지기요 집지기입니다. 예부터 모든 사람이 집과 옷과 밥을 손수 지어서 삶을 가꾸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이 땅 거의 모든 사람은 집을 지을 줄 모르고, 옷이나 밥을 짓는 길을 모릅니다. 가르칠 사람도 배울 사람도 없습니다. ‘돈’을 벌려고 시멘트를 이기는 몸짓이 아닌, 수백 해를 이을 보금자리로 집을 짓는 몸짓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대단한 요리나 맛집이 아니라, 삶을 북돋우는 밥을 날마다 웃으면서 기쁘게 차리는 사람이 매우 드뭅니다.


  왜 그런가 하면, 밥을 지으면서 춤추거나 노래하는 사람을 보기 어렵거든요. 쌀을 씻거나 밥을 안치면서 춤추거나 노래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빨래를 하거나 비질을 하면서 춤추거나 노래하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아기한테 젖을 물리면서 노래를 즐기거나, 아이를 가만가만 재우면서 노래를 누리는 어버이는 어디에 있을까요?



.. 내 신발 속 파도 소리 / 내 단춧구멍 속 파도 소리 / 모든 풍문도 음악도 다 이긴 / 나의 파도 소리 ..  (파도 소리)



  텔레비전 유행노래가 아니라, 내 삶에서 저절로 샘솟는 춤과 노래를 아이한테 물려주는 어버이는, 참다운 어른은 이 땅 어느 곳에서 살림을 가꾸는지 궁금합니다. 돈이 아니면 시도 시집도 없는 오늘날이고, 돈이 될 만하지 않으면 시집을 낼 수 없는 오늘날이며, 돈을 벌지 않으면 시를 쓸 살림이 안 되는 오늘날입니다.


  예부터 모든 사람이 시골지기요 흙지기이고 삶지기이자 시인이었습니다. 글을 알거나 한문을 익혀야 쓰는 시가 아니라, 삶을 짓는 사람은 누구나 ‘일하면서 스스로 노래를 불렀’고, 일하며 부르는 노래(일노래, 노동요, 민요)가 바로 시입니다. 아이들은 제 어버이나 둘레 어른이 일하며 부르는 노래를 가만히 들으면서 놀이노래를 짓고, 놀이노래를 부르며 놀던 아이들이 자라서 일노래를 부르며 일하는 씩씩한 어른이 되었습니다. 다만, 이 흐름과 이음고리는 어느새 끊어졌습니다. 새마을운동이나 일제강점기나 군사독재나 영어에 미친 정책이나 입시지옥 같은 핑곗거리(?)도 많을 테지만, 우리 스스로 ‘돈’만 바라보는 삶이 되면서, 모든 춤과 노래와 이야기를 텔레비전과 몇몇 전문가한테 떠넘기고 말았습니다.


  시집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는 무엇을 길어올리려는 그물일까요? 시집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는 어떤 이야기를 손수 낚아서 이 땅 이웃한테 들려주려는 선물일까요? 시집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는 글쓴이 장석남 님이 이녁 삶을 스스로 노래하는 이야기라고 할 만할까요? 그러면, 장석남 님한테는 삶이 무엇이고, 어른 몸뚱이인 오늘날 어느 만큼 홀가분하게 이 땅에서 뛰노는 하루일는지요? 4348.2.8.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