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봄까지꽃을 만나면서



  꽃이 필 무렵까지 겨울나물로 삼던 봄까지꽃을 바라본다. 봄나물이기도 한 이 아이는 풀이름이 그예 ‘봄까지꽃’이다. 참으로 멋스러운 아이라고 할 만하다. 그러고 보면 ‘꽃마리’와 ‘꽃다지’ 같은 나물도 풀이름이면서 ‘꽃’이라는 낱말이 깃든다. 세 가지 들풀은 꽃송이 크기가 몹시 작지만, 추위를 딛거나 찬바람을 견디면서 피어나는 꽃송이가 아주 곱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받았겠구나 싶다.


  사람 눈으로 볼 적에 아주 조그마한 이 아이들을 마주한다. 흙바닥에 쪼그려앉거나 아예 흙바닥에 고개를 처박으면서 바라본다. 조그마한 꽃송이를 바라보는 동안 때와 곳이 멎는다. 소리와 흐름이 멈춘다. 그저 조그마한 꽃송이만 나한테 있다. 아주 조그마한 꽃송이가 내 마음 가득 스며든다.


  어떤 힘이 나를 이끌어 이렇게 자그마한 꽃송이에 빨려들도록 하는가. 어떤 기운이 나를 사로잡아 이처럼 자그마한 꽃송이를 들여다보도록 하는가. 겨울에 손을 비비면서 마주하는 봄까지꽃을 오래도록 지켜본다. 4348.1.31.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꽃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