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133) -화化 109 : 진화 1
이처럼 아이들이 놀이에 몰두하게 되면 놀이 또한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진화하게 마련이다
《편해문-아이들은 놀기 위해 세상에 온다》(소나무,2007) 239쪽
진화하게 마련이다
→ 나아지게 마련이다
→ 달라지게 마련이다
→ 거듭나게 마련이다
→ 새로워지게 마련이다
…
차츰 발돋움하는 일을 한자로 적으면 ‘나아지다(進) + 되다(化)’입니다. “나아지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한국말로 적자면, 말 그대로 ‘발돋움하다’입니다. 또는 ‘나아지다’이고요. 한결 나아지는 일은 ‘거듭나’거나 ‘새로워지’는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모습에서 저 모습으로 옮아 가는 만큼 ‘달라지다’나 ‘바뀌다’라는 낱말로 가리킬 수 있습니다.
오랜 진화를 거친 것이다
→ 오랫동안 발돋움해 왔다
→ 오랫동안 거듭났다
생물체의 진화 과정을
→ 생물체가 발돋움한 발자취를
→ 생물체가 새로워진 발자취를
한국사람은 아직 한국말로 생물학을 다루지 못합니다. 어쩌는 수 없이 ‘진화론’이라고 이야기해야 합니다. 생물학을 일구는 분들이 맨 처음부터 ‘발돋움’ 같은 낱말로 이녁 학문을 펼쳤으면, ‘발돋움 이야기’쯤으로 말할 수 있을 테고, ‘거듭나다’ 같은 낱말로 이녁 학문을 펼쳤으면, ‘거듭나는 이야기’쯤으로 말할 수 있을 테지요.
이제 와서 이렇게 쓰기란 꿈조차 꾸기 어렵습니다. 어쩌면 먼먼 뒷날에는 아주 다른 말마디를 새롭게 일구어 나눌는지 모릅니다. 어쩌면 먼먼 뒷날에는 몹시 살가우며 손쉬울 낱말이 아닌 영어로 탈바꿈할는지 모르지요.
그러고 보니, 한국말사전에서는 ‘진화’라는 한자말을 풀이하면서 ‘발달(發達)’이라는 한자말을 더 씁니다. ‘발달’은 “무럭무럭 자람”이나 “차츰 커짐”을 뜻합니다. 그래서 “점점 발달하여 감”처럼 적으면 올바르지 않습니다. “점점 점점 커짐”이라 적바림한 셈이니까요. 그나저나, 한국말사전에서 ‘점점(漸漸)’이라는 한자말까지 쓰는데, 한국말은 ‘차츰’입니다. 한국말사전에서 토박이말 ‘차츰’을 찾아보면 “차츰 = 차차”로 풀이를 하더군요. ‘차차(次次)’ 또한 살가이 나눌 한국말이 아닙니다. ‘次次’와 ‘漸漸’과 ‘漸次’는 모두 똑같은 한자말이면서, 일제강점기 즈음부터 이 땅에 파고든 얄궂은 낱말입니다. 우리가 알뜰살뜰 나눌 낱말은 ‘차츰’이랑 ‘조금씩’이랑 ‘꾸준히’랑 ‘자꾸’랑 ‘하나하나’랑 ‘차근차근’입니다.
낱말을 하나하나 곰곰이 새기면서 말투를 하나하나 차분히 가다듬을 줄 아는 매무새를 기르지 않고서야 말이고 글이고 옳게 가누기 어렵습니다. 낱말을 하나부터 차근차근 되짚으면서 말투를 하나하나 알맞게 추스를 수 있기를 바랍니다. 4341.6.10.불/4343.12.4.흙/4348.1.28.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처럼 아이들이 놀이에 빠져들면 놀이 또한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새로워지게 마련이다
‘몰두(沒頭)하게’는 ‘빠져들게’나 ‘파고들게’나 ‘푹 빠지게’로 다듬습니다. 어쩌면 “아이들이 놀이에 신나게 빠져들면”이나 “아이들이 놀이에 흠뻑 빠져들면”이나 “아이들이 놀이를 신나게 즐기면”쯤으로 다듬을 때에 한결 낫다 할 수 있습니다.
진화(進化)
1. 일이나 사물 따위가 점점 발달하여 감
- 오늘날 우리가 쓰는 달력은 오랜 진화를 거친 것이다
2. [생물] 생물이 외계(外界)의 영향과 내부의 발전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에서 복잡한 구조로, 하등(下等)한 것에서 고등(高等)한 것으로 발전하는 일
- 진화 경로 / 진화 경향 / 진화를 겪다 / 생물체의 진화 과정을 규명하다
..
'-화(化)' 씻어내며 우리 말 살리기
(194) -화化 194 : 진화 2
생물 집단들은 생태계에서 서서히 자리를 잡고 느린 속도로 계속 진화해 갑니다
《얀 리고/이충호 옮김-바다가 아파요》(두레아이들,2015) 13쪽
계속 진화해 갑니다
→ 꾸준히 거듭납니다
→ 차츰 발돋움합니다
→ 차근차근 나아갑니다
→ 늘 새롭게 태어납니다
…
풀도 나무도, 벌레도 짐승도, 물고기도 사람도, 언제나 새롭게 태어납니다. 참말 새롭게 태어납니다. 날마다 새로 일어나서 새로 자랍니다. 우리는 모두 차츰 발돋움하는 숨결입니다. 꾸준히 거듭나는 바람과 같으며, 차근차근 나아가는 멋진 이웃입니다. 다 함께 자라고, 다 같이 어우러집니다. 4348.1.28.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뭇목숨은 이 별에서 천천히 자리를 잡고 느리게 꾸준히 거듭납니다
“생물(生物) 집단(集團)들은”은 “뭇목숨은”으로 손보고 ‘생태계(生態系)에서’는 ‘이 별에서’로 손봅니다. ‘서서(徐徐)히’는 ‘천천히’로 손질하고, “느린 속도(速度)로”는 “느리게”로 손질하며, ‘계속(繼續)’은 ‘꾸준히’로 손질합니다.
(최종규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