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1046) 속 43


코끼리와 기린과 하마가 냄비 속에서 / “누구냐!” / 영식이 할머니 깜짝 놀라 냄비 속에 숨었네. / 쭈그렁 냄비 속에 숨었네

《위기철-신발 속에 사는 악어》(사계절,1999) 23쪽


 냄비 속에서 → 냄비에서

 냄비 속에 숨었네 → 냄비에 숨었네



  국을 끓이면서 서로 이야기합니다. “냄비에 파 넣었니?” “아직 안 넣었어요.” “그러면 냄비에 파를 넣으렴.” 파를 넣을 적에 “냄비에” 넣지, “냄비 속에” 넣지 않습니다. 달걀을 냄비에 넣고 삶습니다. 달걀을 잘 삶은 뒤에 불을 끕니다. 이러고 나서 서로 이야기합니다. “냄비에 달걀 있으니 꺼내 먹으렴.” “네, 냄비에서 꺼내 먹을게요.”


  냄비에 물을 넣습니다. 냄비에 쌀을 붓습니다. 냄비에 고구마와 감자를 넣고 찝니다. 냄비에 넣고, 냄비에서 꺼냅니다.


  보기글은 동시입니다. 동시에서 생각날개를 펼쳐서, 조그마한 냄비에 코끼리도 기린도 하마도 할머니도 숨는다고 읊습니다. 그럼요, 작은 냄비에 우리 모두 숨을 수 있어요. 그런데, “냄비에” 숨을 뿐입니다. “냄비 속에” 숨지는 않습니다. 어린이부터 읽는 동시인 만큼, 이러한 동시에 쓰는 말은 더 살피고 옳게 가다듬을 수 있어야 합니다. 동시에 쓰는 말마디가 잘못되거나 그릇되면, 아이들은 그만 말을 잘못 배웁니다. 4348.1.10.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코끼리와 기린과 하마가 냄비에서 / “누구냐!” / 영식이 할머니 깜짝 놀라 냄비에 숨었네. / 쭈그렁 냄비에 숨었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1047) 속 44


하얀 눈이 소복소복 내리는 / 깊은 산 속 오두막집에 / 우는 아이 달래는 어머니의 목소리

《위기철-신발 속에 사는 악어》(사계절,1999) 83쪽


 깊은 산 속 오두막집에

→ 깊은 산 오두막집에

→ 깊은 멧골 오두막집에

 …



  사람들은 “산에 갑”니다. 그저 산을 오르려고 산에 가고, 나물을 캐려고 산에 갑니다. 봉우리에 오르고 싶기도 하지만, 그저 멧길을 타고 싶어서 산에 갑니다. 그러니까, 사람들은 “산에 갈” 뿐, “산 속에 가”지는 않습니다.


  절집은 으레 “산에 있”습니다. 요즈음은 “산 속에 있”는 절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산 속”이 아닌 “산에” 있다고 말해야 올바릅니다.


  그런데, 어린이노래를 보면 “깊은 산 속 옹달샘 누가 와서 먹나요”처럼 흐릅니다. 아주 잘못 부르는 노래입니다. “깊은 산 속 옹달샘”이 아니라 “깊은 산 옹달샘”입니다. 노랫가락을 맞추려 한다면 “깊은 산에 옹달샘”이나 “깊은 멧골 옹달샘”처럼 손질할 수 있습니다.


  이 보기글에 나오는 “깊은 산 속”도 “깊은 산”이나 “깊은 멧골”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4348.1.10.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하얀 눈이 소복소복 내리는 / 깊은 멧골 오두막집에 / 우는 아이 달래는 어머니 목소리


“어머니의 목소리”는 “어머니 목소리”로 다듬습니다.


(최종규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