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 손님 (사진책도서관 2014.12.12.)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서울에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두 분이 손님으로 찾아온다. 바야흐로 겨울로 접어들어 쌀쌀한 고흥이지만, 서울 날씨에 대면 고흥은 무척 포근한 곳이리라. 먼길 마실을 하는 국립중앙도서관 일꾼 두 분은 시골마을 폐교에 깃든 도서관을 보면서 무엇을 느끼실까. 도시만이 아니라 조그마한 시골마을에 도서관을 어떻게 꾸려서 어떻게 가꾸면 아름다울까 하는 생각을 어떻게 북돋울 수 있을까.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 도서관을 고흥 시골마을에 두면서 해마다 내는 임대료는 100만 원이다. 2015년에는 우리가 정식 임대자가 되든 이 터를 우리 것으로 장만하든 해야 한다. 우리 도서관은 아직 지자체나 공공기관 도움을 받은 적이 없는데, 새해에는 무엇인가 달라질 수 있을까. 임대료뿐 아니라, 폐교이기 때문에 비가 새는 천장을 교육청이건 지자체이건 중앙정부이건, 시골자락 도서관이 튼튼하게 서도록 돕는 길이 생길 수 있을까.


  서울에 있는 국립중앙도서관 손님을 받으면서 우리 도서관을 새삼스럽게 돌아보다가 오늘도 문득 깨닫는다. 나는 우리 도서관에 깃든 책을 장만하느라 그동안 참으로 돈을 많이 썼다. 그동안 책에 들인 돈을 헤아리면 우리 도서관 건물과 터를 사들이고도 남을 만한 돈을 책값에 썼다. 그런데, 책을 안 샀다면 이 도서관이 될 폐교를 살 수 있었을 테지만, 돈을 책값에 안 썼다면 도서관을 열 꿈을 꿀 수 없었을 테지.


  돈이 있는 사람 가운데 도서관을 열려고 마음을 기울이는 사람은 아주 드물다. 책이 있는 사람 가운데 도서관을 열 목돈을 손에 쥔 사람은 아주 드물다. 돈이 있는 사람과 책이 있는 사람은 왜 이렇게 못 만날까? 돈이 있는 사람이나 중앙정부나 지자체는 왜 도서관을 가꾸는 데에 돈을 못 쓰고, 책이 있는 사람은 왜 돈이 있는 사람한테서 ‘도서관 건물과 터’를 도움받기가 이토록 어려울까. 둘은 함께 있을 수 없을까? 둘은 어깨동무를 하면서 서로 돕고 사랑하는 길로 나아갈 수 없을까?


  책을 그러모아 갖춘 사람은 즐겁게 알맹이를 여미고, 돈을 넉넉히 모은 사람은 기쁘게 도서관 터를 마련하면서 도서관 건물을 세운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찾아온 손님한테 ‘도서관 소식지’와 내 책을 몇 권 선물로 드린다. 아무쪼록 즐겁게 읽고 어여쁜 마음밥을 얻으실 수 있기를 빈다. 아침부터 구름이 짙게 낀 하루인데, 마당에 넌 빨래가 잘 마르기를 바라면서 ‘구름아, 오늘은 좀 걷혀 다오’ 하고 하늘에 대고 빌었더니 구름이 꽤 많이 사라진다. 고맙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