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 책넋 돌보기

38. 빨리 읽는 책, 오래 읽는 책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인천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며 ‘책’이 많이 고팠습니다. 내가 다닌 고등학교는 문을 연 지 얼마 안 된 곳이었고, 학교도서관은 1992년에 비로소 조그맣게 문을 열었습니다. 열린 도서관은 아니고 닫힌 도서관이라서 쪽글에 ‘빌리고 싶은 책’을 적어서 내밀어야 비로소 며칠 동안 빌릴 수 있었습니다. 이때 이 학교에서는 빈 교실 한 칸을 도서관으로 바꾸었습니다. 책꽂이는 작고 책조차 몇 가지 없었습니다. 이무렵 인천에 있는 다른 고등학교도 도서관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거나 모양만 있기 일쑤였습니다. 시립도서관에도 새로운 책보다 낡은 책이 훨씬 많았고, 이때에는 아직 구립도서관이 없었습니다. 학교마다 학교 앞에 조그마한 책방이 있기는 하지만, 온갖 책을 두루 갖추는 곳이 아니라 수험서와 교재가 훨씬 넓게 자리를 차지하는 곳이면서 문방구 노릇을 했습니다. 나는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책이 읽고 싶을’ 적에는 제법 큰 새책방에 갔습니다. 제법 큰 새책방에는 새로 나오는 책도 있지만, 나온 지 꽤 지난 책을 쏠쏠히 만날 수 있었습니다. 제법 큰 새책방은 ‘많이 팔리지 않더라도 오래도록 읽힐 만한 알찬 책’을 갖추었습니다. 도서관이 제대로 없고, 도서관이 있어도 책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던 지난날에는, 동네에 있는 제법 큰 새책방, 그렇지만 아주 크지는 않은 이곳이 몹시 고마운 책쉼터 구실을 했습니다.


  새책방에 찾아가서 가만히 서서 책을 읽자면 눈치를 봅니다. 새책이란 ‘팔 물건’입니다. 손때를 타면 다른 사람이 사들이기에 나쁩니다. 새책방에 갈 적에는 옷차림부터 깨끗이 하고 손도 깨끗이 씻습니다. 책방에 닿을 때까지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걸어갑니다. 책방에 닿고서 책을 살필 적에는 눈으로만 살핀 뒤, ‘아, 읽고 싶어라’ 하는 마음이 드는 책이 있을 적에 비로소 손바닥을 비벼서 한 번 더 깨끗이 한 뒤 집습니다. 손때가 탈세라 살며시 쥐고 살며시 넘깁니다. 그리고 아주 빠르게 읽습니다. 책 하나를 든 채 너무 오래 가만히 서면 ‘책은 안 사고 그냥 읽고 가는’ 줄 알아챌 테니까요. 책방은 도서관이 아니라 ‘책을 팔아서 장사를 해야 하는 곳’이니 ‘책읽기’만 즐길 수 없습니다. 어느 만큼 책읽기를 즐겨도 되지만, 다른 사람이 사서 볼 책을 너무 오래 만지면 안 되지요.


  그래서, 새책방으로 ‘책을 읽으러 갈’ 적에는 ‘돈을 치러서 장만할 책’을 먼저 고릅니다. ‘돈을 치러 장만할 책’은 어깻죽지에 꽂습니다. ‘나, 이 책 살 생각이에요’ 하고 알리는 모습이라고 할까요. 한두 권을 사면서 적어도 서너 권은 읽으려는 마음이니 책을 아주 빨리 눈치껏 읽을밖에 없습니다. ‘빨리읽기(속독)’를 그리 좋아하지 않으나, 눈치를 보면서 읽다 보니 줄거리를 잽싸게 헤아려서 알아내려고 여러모로 용을 씁니다.


  그런데, 이렇게 ‘새책방에 서서 눈치 보며 읽기’를 하다 보면, 마음이 더 무겁습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어느 책 하나를 빨리 훑어서 줄거리를 헤아리더라도 ‘다 읽은 책을 장만할 수 없다’는 생각 때문에 마음이 무겁습니다. 이렇게 아름답고 멋진 책도 장만하고 싶다는 생각을 지울 길이 없습니다.


  고등학생 적에 새책방에서 ‘몰래 빨래 읽기’를 하면서 생각했습니다. 나중에 돈을 넉넉히 벌어서 ‘내 마음을 아름답게 움직인 모든 책을 기쁘게 장만하자’고 생각했습니다.


  루이제 린저 님이 쓴 《분수의 비밀》(한빛문화사 펴냄,1979)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아이들이 누리는 삶과 어른들이 아이를 다루거나 마주하는 삶이 어떠한가를 찬찬히 밝히는 사랑스러운 어린이문학입니다. 1979년에 처음 나온 책이지만 오랫동안 판이 끊어졌기에 헌책방에서만 만날 수 있었는데, 2010년에 새옷을 입고 다시 태어났습니다. 1979년에 나온 낡은 책으로 읽으면, 27쪽에 “나는 스스로에게 말하고 있었고, ‘수지, 너는 잘 못 보았어.’ 하긴 그때 사람들이 흘깃 보았을 때 볼 수 있는 것 이상은 보지 못했거든요.” 같은 이야기가 흐릅니다. 이 대목은 어떤 이야기일까요. 내가 나한테 하는 말이란 무엇일까요. 잘 보는 눈과 잘 못 보는 눈이란 무엇일까요. 남이 흘깃 보는 만큼 보는 눈과 내가 깊이 들여다보는 눈이란 무엇일까요.


  내가 나한테 하는 말은 내가 오늘 어떻게 사느냐 하는 이야기입니다. 잘 보는 눈이란 꾸미지 않고 고스란히 보는 눈입니다. 잘 못 보는 눈이란 참모습 앞에서는 눈을 감거나 가린 채 내 길을 제대로 못 걷는 모습입니다. 남이 흘깃 보는 만큼 보는 눈이란 사랑이 없이 지나치는 눈입니다. 내가 깊이 들여다보는 눈이란 내 손길에 사랑을 담아서 삶을 가꾸려는 몸짓입니다.


  책은 빨리 읽어도 됩니다. 책은 천천히 읽어도 됩니다. 책은 많이 읽어도 됩니다. 책은 적게 읽어도 됩니다. 책은 백만 권을 읽어도 됩니다. 책은 하나도 안 읽어도 됩니다. 삶을 살찌울 수 있으면, 책을 빨리 읽든 천천히 읽든 대수롭지 않고 모두 똑같습니다. 내 오늘을 스스로 사랑할 수 있으면, 책을 많이 읽어도 즐겁고 적게 읽어도 즐겁습니다. 이웃과 어깨동무를 하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으면, 책을 몇 권 읽더라도 생각을 슬기롭게 빛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스스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학교에서 전교 1등을 한 아이와 전교 꼴등을 한 아이가 있다면, 전교 1등을 한 아이가 마음까지 착할까요? 전교 꼴등을 한 아이가 마음까지 나쁠까요? 아니지요. 전교 1등은 그저 전교 1등일 뿐입니다. 전교 꼴등은 그예 전교 꼴등일 뿐입니다. 우리는 모두 전교 1등이 되거나 전교 꼴등이 되어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책을 빨리 읽거나 많이 읽어야 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책을 느리게 읽거나 안 읽어야 하지 않습니다. 저마다 내 삶을 가꿀 수 있는 결이 무엇인지 스스로 똑바로 살펴서 기쁘게 책을 마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착한 아이는 그저 착합니다. 착한 아이는 학교에서 시험성적이 몇 등이건 따지지 않으면서 착합니다. 착한 아이는 그 아이네 어버이가 부자이건 가난뱅이이건 따지지 않으면서 착합니다. 착한 아이는 얼굴이 이쁘건 못생기건 언제나 착합니다.


  어느 책을 읽든, 내가 손에 쥔 책에서 흐르는 이야기를 찬찬히 살필 수 있으면 됩니다. 빨리 읽더라도 이야기를 못 살핀다면 읽으나 마나입니다. 천천히 읽더라도 이야기를 못 깨닫는다면 읽으나 마나입니다. 생각해 보셔요. 42킬로미터를 두 시간 만에 달리는 사람과 열 시간이 걸려도 못 달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삶결이 다른 두 사람더러 똑같은 길을 똑같이 달리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한 사람은 42킬로미터를 두 시간 만에 달리면서 이녁대로 이녁 삶을 일구면서 새롭게 누립니다. 한 사람은 42킬로미터를 달릴 엄두를 안 내면서 이녁대로 다른 삶을 스스로 재미나게 일구면서 새롭게 누립니다.


  책 한 권을 ‘빨리’ 읽는다고 여길 수 없습니다. 사람마다 읽는 빠르기가 다릅니다. 사람마다 몸이 달라, 누구는 밥을 많이 먹으면서 살이 안 찌고 누구는 밥을 적게 먹어도 살이 찝니다.


  다만, 한 가지를 덧붙일 수 있어요. 책을 빨리 읽는 사람은 그만큼 책읽기에 온마음을 쏟습니다. 다른 것은 안 쳐다보고 오로지 책만 쳐다보기에 책을 빨리 읽을 수 있습니다. 세포 하나까지, 머리카락 하나까지, 핏줄 하나까지, 그야말로 온몸과 온마음을 쏟아서 책으로 빠져들면 누구나 책을 무척 빨리 읽을 수 있습니다. 마음을 오롯이 기울이면서 쏟을 적에는 어떤 일이든 아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4347.12.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청소년 책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