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몸에서 뿌드득
저녁 일곱 시 반에 아이들과 잠자리에 든다. 저녁 다섯 시가 넘을 무렵이면 아이들 얼굴과 눈망울에서 졸음이 가득한 빛을 읽을 수 있다. 이 아이들이 낮잠을 잤다면 여덟 시에도 제법 눈망울이 똘망똘망하지만, 낮잠을 건너뛰었으면 다섯 시 부터 잠들기까지 아주 졸린 눈치이다. 그리고, 나도 졸리면서 고단하다. 여섯 시 반 즈음부터 아이들한테 노래를 한다. 얘들아 우리 자자, 얘들아 너희 자야지.
아이들을 재우려고 함께 자리에 누우면 등허리와 팔다리가 얼마나 결리는지, 온몸에서 뿌드득 소리가 난다. 오늘 하루는 어떻게 살았나 하고 되새기면서 노래를 몇 가락 부르다가 스르르 힘이 풀리면서 먼저 곯아떨어지는 날이 있고, 두 아이가 곯아떨어진 소리를 듣고 조용히 자리에서 일어나 부엌일을 마저 하는 날이 있다.
엊저녁에 아이들을 재우며 몇 시쯤 되었나 헤아리니 일곱 시 반인데, 문득 예전 일이 떠올랐다. 아이들이 우리한테 오지 않던 날이 떠오르고, 곁님과 둘이 보낸 첫 해가 떠오르며, 혼자 살던 지난날이 떠오른다. 그무렵 ‘저녁 일곱 시 반’은 바지런히 움직이는 때였다. 한창 움직이면서 일하는 때라고 할까. 혼자 살던 때에는 책방마실을 다니든 책을 읽든 하던 때요, 둘이 같이 살던 때에도 아직 잠들려면 한참 먼 때이다.
일곱 시 반에 불을 다 끄고 잠자리에 들며 가만히 생각해 본다. 시골마을에서 저녁 일곱 시만 넘어도 거의 모든 집이 불을 다 끄고 조용한데, 도시에서 저녁 일곱 시는 사람들이 어마어마하게 움직이면서 시끌벅적하다. 도시사람은 생각할 수나 있을까? 시골에 이웃이나 동무가 있다면, 시골에는 저녁 일곱 시나 여덟 시에도 ‘전화를 하면 안 되는’ 줄 생각이나 할 수 있을까? 나는 저녁 일고여덟 시에 오는 전화나 쪽글(손전화 쪽글)은 안 받기 일쑤이다. 피식 웃음이 난다. 그저 삶이 재미있어서, 아이들과 노니는 삶을 돌아보며 웃는다. 4347.11.26.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아버지 육아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