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급식과 추천도서



  교육과 복지라는 이름으로 단체급식을 한다. 더욱이 단체급식이 ‘무상급식’이 되도록 돈을 대단히 많이 쓴다. 교육과 복지라는 이름을 붙이기에 교육과 복지가 될 만하다고 느낀다. 그러나, 나는 어쩐지 찜찜하다. 왜냐하면, 아이들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아이마다 ‘몸에 맞는 밥’과 ‘몸에 안 맞는 밥’이 다르다. 학교에 학급이 하나씩 있고, 학급 한 곳마다 아이가 스물이 안 된다면, 이럭저럭 ‘다 다른 아이’를 조금은 살필는지 모르나, 한 학교에 백 사람이 넘어가기만 해도 ‘다 다른 아이한테 다 똑같은 밥’을 줄 수밖에 없다. 너무 바쁘고 힘들기 때문이다.


  내가 국민학교를 다닐 무렵, 학교에서는 ‘거의 강제 우유급식’을 했다. 우유가 몸에 안 받는 아이가 틀림없이 있는데, 학교에서는 ‘강제 우유급식’을 해서 돈을 걷었다. 우유가 몸에 안 받는 아이는 담임교사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억지로 우유를 집어넣어야 했다. ‘마시기’가 아니라 ‘집어넣기’이다. 집어넣고 또 집어넣으면 ‘체질이 바뀐’대나 뭐라나.


  단체급식도 이런 ‘논리’가 되리라 느낀다. 어느 아이는 밀가루를 먹으면 안 될 수 있고, 어느 아이는 달걀을 먹으면 안 될 수 있으며, 어느 아이는 고기를 먹으면 안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몸에서 안 받기 때문이다.


  나는 김치가 몸에 안 받는다. 어쩌다가 한 점 집어먹을 때가 있기는 하지만, 어쩌다가 먹어도 뱃속이 더부룩하다. 나는 찬국수(냉면)도 못 먹는다. 찬국수를 한 점 잘못 집어먹다가 여러 날 배앓이를 하기 일쑤이다. 고작 한 점 집어먹고 말이다. 찬국수뿐 아니라 비빔국수도 똑같다.


  그러면, 이렇게 사람마다 다 다른 몸을 ‘단체급식’은 얼마나 어떻게 헤아리겠는가? 나물을 좋아하는 아이한테 나물 반찬을 넉넉히 줄 수 있을까? 누런쌀로 짓는 누런밥을 좋아하는 아이한테 따로 누런밥을 줄 수 있을까? 보리밥을 좋아하는 아이가 보리밥을 먹을 수 있을까?


  아이들은 도시락을 손수 싸서 먹을 수 있어야 한다. 여덟 살이나 아홉 살은 아직 이르다 할 텐데, 열 살 나이가 되면 이때부터 도시락을 손수 싸서 먹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교육’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손수 밥을 짓는 삶을 배워야 한다. 어른들은 손수 밥을 짓는 삶을 가르쳐야 한다.


  집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아이한테 ‘밥짓기’와 ‘도시락 싸기’를 차근차근 가르칠 수 있어야 하고, 아이는 집에서 ‘밥짓기’와 ‘도시락 싸기’를 즐겁게 배워서, 동무들과 학교에서 기쁘게 밥 한 끼니 누리는 사랑을 받아먹을 수 있어야겠지. 왜냐하면, 교육이기 때문이다.


  복지로 헤아린다면, 집집마다 아침에 아이 도시락을 느긋하게 싸서 내줄 수 있을 만한 겨를을 누려야 한다.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일터(회사)에서 ‘아이 도시락을 싸서 챙긴 뒤 일터로 오는 겨를’을 한 시간쯤 챙겨 줄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복지’이기 때문이다. 아이를 돌보는 어른은 일터에서 아침 한 시간을 ‘늦게 출근하도록’ 법이나 제도를 마련해야 올바르다. 한 시간 늦게 학교에 가도록 제도를 바꾸는 일도, 학교 울타리에서만 끝낼 노릇이 아니라, 회사에서 어른들도 똑같이 이에 맞추어야 올바르다. 왜냐하면, ‘복지’이기 때문이다.


  다 다른 아이들은 다 다른 삶과 몸에 맞추어, ‘제 몸에 맞는 밥을 스스로 챙길’ 수 있어야 즐겁고 아름답다. 중학교나 고등학교쯤 다니면, 아주 마땅히 제 도시락은 손수 싸야 맞다. 열서너 살이나 열예닐곱 살이나 되고서도 밥짓기도 못한다면, 이 아이는 ‘반쪽짜리 삶’조차 아니다. 제 밥을 제가 차려서 못 먹는다면, 이 아이는 그동안 무엇을 배운 셈일까. 삶과 사랑과 살림을 배우지 못하는 아이가, 나중에 사회에 나가서 무슨 일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우리는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 한다. 저녁에 식구들이 모두 모여 도란도란 밥을 먹는 즐거움을 아이들도 학교에서 누려야 즐겁고 아름답다. 왁자지껄 시끄러운 급식실에서 ‘스텐 밥판’을 쨍그랑 소리 나게 들면서 허둥지둥 입에 집어넣어야 하지 않다. 단체급식은 군대질서와 똑같다. 단체급식을 교육과 복지라는 이름으로 자꾸 늘리는 짓은 군대질서를 학교와 사회로 자꾸 퍼뜨리는 짓과 같다. 단체급식을 하는 데에 들일 돈은, 집집마다 ‘도시락 쌀 돈’으로 돌려주어야 맞다. 무상급식을 하느라 돈을 쓰지 말고, 이 돈을 집집마다 주어야 옳다. 집집마다 ‘도시락 쌀 돈’과 ‘도시락 쌀 겨를’을 주어서, 집집마다 ‘참다운 교육과 복지’가 즐겁게 피어나도록 이끌어야 올바르다.


  내가 나한테 ‘내 밥을 짓는 겨를’을 내지 못할 만큼 사회 얼거리에 얽매인 채 일을 해야 한다면, 이러한 일이 나를 얼마나 가꾸거나 살찌울 수 있는가 하고 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 도시락 하나 쌀 겨를이 없는 삶이란 얼마나 메마른가? 아이들이 손수 도시락을 못 싼다면, 이런 교육은 무슨 보람이 있는가?


  아이들은 밥을 사랑으로 먹어야 한다. 그저 ‘배만 부르게 채우는 밥’이나 ‘사랑을 받아 즐겁게 먹는 밥’을 느끼고 배우고 알아야 한다.


  아이들은 추천도서가 아닌 ‘책’을 읽어야 한다. 똑같은 틀에 맞추어 똑같이 건네는 책이 아니라, 다 다른 아이들이 스스로 제 삶에 맞는 이야기를 찾아, 즐겁고 아름답게 ‘책’을 ‘사랑’으로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단체급식도 추천도서도 모두 사라질 수 있기를 빈다. 4347.11.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