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 유교수의 생활 34
야마시타 카즈미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만화책 즐겨읽기 394



삶을 배우는 길

― 천재 유교수의 생활 34

 야마시타 카즈미 글·그림

 학산문화사 펴냄, 2013.11.25.



  밥을 차릴 수 있는 사람은 무척 즐겁습니다. 밥 한 그릇을 베풀 수 있으니까요. 배고픈 아이들한테 밥을 차려서 함께 먹고, 배고픈 이웃이 있으면 밥 한 그릇 덜어서 함께 나눕니다. 가만히 앉아서 밥상을 받을 수 있는 사람도 매우 즐겁습니다. 살붙이나 이웃이 지은 사랑을 고맙게 받을 수 있어 즐겁습니다. 내 살붙이나 이웃은 사랑을 베풀 사람이 있어 즐겁고, 나는 내 살붙이나 이웃한테서 사랑을 받을 수 있어 즐겁습니다.


  새벽에 일어나서 쌀을 씻어 불립니다. 아이들은 아침 일찍 일어나서 놀고, 도란도란 오순도순 온갖 놀이를 아침부터 누리고 싶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노는 아이들은 곧 배가 고플 테며, 아이들이 배고프다는 소리가 나올 즈음 천천히 밥을 지으면, 아이들은 밥 익는 냄새를 맡고는 더 신나게 놉니다.


  밥은 입으로 먹어도 배가 부르지만, 밥내음을 코로 맡아도 즐겁습니다. 우리는 입으로 밥을 씹어서 먹는 한편, 코와 살갗으로 밥기운을 맞아들이면서 새롭게 기운을 내는구나 싶어요. 그러니, 햇볕을 쬐면서 뿌듯하고 즐겁습니다. 바람을 마시면서 개운하며 기쁩니다.





- ‘나는 지금, 무척 동요하고 있다. 중증이 아니라는 설명을 그토록 듣고 왔는데도, 나는 어쩌면, 자신의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던 게 아닐까? 내 연구에 언젠가 끝이 온다는 것을, 나는 몰랐던 게 아닐까?’ (13쪽)

- ‘그렇다. 수많은 인생계획을 생각했지만, 우선순위는 뻔하지 않은가. 처음에 떠올린 것은 아내의 얼굴이 아니었나. 오늘 이날도 마치 그날처럼.ㅣ 나는 앞으로도 변함없는 하루하루를 살 것이다.’ (25쪽)



  아직 내 몸에 힘이 크게 솟지 않으면 힘을 많이 써야 하는 일을 하지 못합니다. 이를테면, 너덧 살 아이가 제 신을 스스로 복복 비벼서 빨기란 수월하지 않습니다. 대여섯 살 아이가 제 옷가지를 스스로 복복 비벼서 빨기란 만만하지 않습니다. 이무렵에는 어른이 거의 모든 일을 도맡아서 합니다.


  아이들이 차츰차츰 자라면서 몸과 손에 힘이 붙으면, 이제 스스로 신을 빨고 옷가지를 복복 비빌 수 있습니다. 스스로 이를 닦고, 스스로 손발을 씻습니다. 스스로 걸레를 빨아서, 스스로 방바닥을 훔칩니다.


  어른이 스스로 즐겁게 방바닥을 훔치면, 아이들은 이 모습을 가만히 지켜봅니다. 이러다가 어느 날 스스로 걸레를 빨아 보고, 물을 짜 보며, ‘아이인 탓에 물을 덜 짠 물걸레’로 방바닥을 물바다로 만듭니다.


  내 어릴 적을 가만히 돌아봅니다. 내가 방바닥이나 마룻바닥을 물바다로 만들었을 적에, 어머니는 “이리 줘 봐.” 하면서 걸레를 비틀어 물을 죽죽 짰습니다. 물기를 쪽쪽 빼낸 걸레를 건네셨어요. ‘아하 그렇구나’ 하면서 다음에는 물기를 짜려고 악착같이 용을 씁니다. 어려서 물기짜기가 도무지 안 되겠다 싶으면, 젖은걸레로 한 차례 닦은 뒤 마른걸레로 다시 닦습니다.





- ‘그도 나쁜 뜻은 없었을 테고, 그의 개성으로서 존중할 필요는 있지만, 경영자로서는 다소 문제가 있다. 그는, 실패할 만했기에 실패한 것이 아닐까? 나는 쿠루스 군의 실패를, 음미하고 있나?’ (52쪽)

- “아무리 우여도 아빠는 몰라. 그러니까 언니야가 엄마 해 주께. 아빤 공부할 땐 아무 쓰모가 없쪄. 엄마가 그랬거든? 아빤 언제나 ‘공부’란 놀이만 하고, 힘들고 지저분한 건 다아 내 차지라고. 다아 나한테만 떠맡겨서 힘드여 주께쩌.” (71∼72쪽)



  나는 즐겁게 걷습니다. 먼 길이건 안 먼 길이건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그냥 걷습니다. 두 시간이나 서너 시간이 걸리는 길도 그냥 걷습니다. 그냥 걸어 봅니다. 한참 걷다가 다리가 아프면, 좀 멀다 싶은 길을 걸으려 했네 하고 생각합니다. 어디 마땅한 곳을 찾아 앉습니다. 다리를 쉬면서 바람을 마십니다. 하늘을 바라보고 동네를 살핍니다. 다리를 툭툭 두들긴 뒤 일어나 다시 걷습니다. 걷고 걸으며 또 걸어서 드디어 내가 가려는 곳에 닿습니다.


  여덟 살 적 일을 떠올립니다. 나는 여덟 살 적부터 그예 씩씩하게 걸었습니다. 혼자 학교까지 걸었습니다. 학교에서 다시 집까지 걸었습니다. 이무렵, 나와 함께 그 길을 걸어서 다닌 동무는 없습니다. 모두 버스를 타고 그만 한 길을 다녔어요. 중학교 적에도 고등학교 적에도 똑같습니다. 삼십 분이나 한 시간 즈음 걸어서 학교를 다닌 동무를 만나기 어렵습니다. 함께 길을 걸으면서 생각에 잠기거나 하늘바라기를 할 만한 동무는 좀처럼 못 만납니다.


  걸음동무는 사귀지 못했지만, 혼자 오랫동안 길을 걸으면서 생각에 잠깁니다. 오직 내 생각에 사로잡힙니다. 오로지 내 생각에 젖어듭니다. 이제껏 내가 걸은 길을 헤아리고, 앞으로 내가 걸을 길을 돌아봅니다. 어제까지 내가 걸은 길을 되짚고, 오늘부터 내가 걸을 길을 톺아봅니다.





- “이츠코는 어떻게 이런 걸 잘하게 됐지?” “아빤 좀 가만 있어요.” “미안하다. 계속하거라.” (79쪽)

- ‘나는 집에서 일어나는 일을 아무것도 보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다. 집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늘 눈여겨보던 이츠코는, 내가 모르는 사이 놀랄 만큼 자라 있었다. 이 순간의 감동을 기록하고 싶다. 가족의 기록을 남기고 싶다.’ (82∼83쪽)

- “당신 그럼, 밤엔 이츠코한테만 맡겼다고요?” “응?” “그런 갓난쟁이를? 애가 밤새 콜콜 잠만 자는 줄 알아요? 난쟁이 요정이 밤마다 기저귀를 갈고 분유를 타 줬을 리도 없는데, 밤엔 애를 대체 어떻게 한 거야!” (88쪽)



  야마시타 카즈미 님이 빚은 만화책 《천재 유교수의 생활》(학산문화사,2013) 서른넷째 책을 읽으며 생각합니다. 만화책에 나오는 유택 교수는 언제나 삶을 배웁니다. 언제나 삶을 찬찬히 지켜보면서 생각을 기울이고, 생각을 기울인 끝에 스스로 즐겁게 배웁니다.


  다만, 유택 교수는 혼자 생각해서 혼자 배울 뿐, 좀처럼 이 슬기와 즐거움을 둘레에 나누어 주지 못해요.


  이러던 어느 날, 유택 교수는 ‘죽음’을 생각하지 않고 살아온 줄 깨닫습니다. 그러나, ‘죽음 뒤 인생설계’는 생각하면서도 정작 ‘유택 교수 곁에 있는 사람과 나눌 이야기’까지는 생각하지 못합니다. 스스로 생각을 기울이고 갈고닦아서 ‘옳구나!’ 하고 깨달으면서, 이 기쁨을 이야기꽃으로 펼치지 못해요.





- “내가 죽은 다음에는 어떻게 될까? 어쩌면 새로 사귀는 친구들 중에는, 손 한 번 잡을 일 없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구나.” (122쪽)

- “너는 참 이유도 많구나. 벚꽃을 보면, 나는 네 어머니가 생각난다. 오오, 벚꽃처럼 덧없고 아름다운 나의 추억이여. 오오, 신이여!” (168쪽)

- “유택이는 감정이 없는 게 아닐까?” “그렇지 않아요. 나는 저 아이가 웃는 얼굴을 자주 보거든요.” “그런가? 그렇다면 좋겠지만.” (185쪽)



  《천재 유교수의 생활》에 나오는 유택 교수네 아버지는 이 대목을 날카롭게 짚습니다. ‘내 아들’이면서도 이런 모습이 참으로 못마땅하다고 말하지요. 그리고, 아들인 유택 교수는 이런 아버지 말을 알아듣지 못합니다.


  참말 그렇지요. 유택 교수는 아직 배울 것이 많습니다. 배울 것이 많다는 얘기는 모르는 것이 많다는 뜻입니다. 유택 교수는 새롭게 배울 생각을 하면서 참말 스스로 새롭게 배우는데, 새롭게 배우면서 이러한 이야기를 이웃하고 나누는 일에서는 퍽 어리숙합니다. 어릴 적 유택 교수네 어머니가 어린 유택한테 들려주던 이야기도 ‘유택 교수가 손녀를 본 나이’가 되어서야 어렴풋하게 헤아릴 뿐입니다.



- ‘어머니와 벚꽃을 보던 시절, 앞으로 몇 번이나 이렇게 벚꽃을 볼 수 있을지는 생각한 적도 없었다. 봄이 매년 오는 것이 당연하던 그 시절, 벚꽃이 그렇게 아름다운 줄은 몰랐다.’ (187쪽)



  예순 줄 나이를 한참 넘겨서야 벚꽃을 벚꽃 그대로 바라본 유택 교수입니다. 유택 교수는 아기 기저귀를 갈 줄조차 몰랐습니다. 유택 교수는 밥짓기도 못하고, 집살림은 영 할 줄 모릅니다. 생각조차 하지 않고, 쳐다보지도 않으니까요.


  다시 말하자면, 유택 교수는 스스로 쳐다보고 생각한 것만 스스로 깨닫습니다. 스스로 쳐다보지 않은 것은 아예 유택 교수 마음에 없고, 마음에 없는 것은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어떻게 되든 아랑곳하지 않아요.


  앞으로 유택 교수는 이녁 삶에서 무엇을 더 바라보고 새롭게 배우면 즐거울까요? 집 바깥에서 다른 삶을 바라보고 배워야 할까요? 아니면, 유택 교수 스스로 ‘맨 먼저 떠올리는 곁님 얼굴’처럼, 곁님이 무엇을 좋아하고 사랑하고 아끼고 돌보는가 하는 대목을 서로 조곤조곤 이야기꽃을 피우면서 ‘내 마음에서 바라볼 것’을 바라보면서 배울까요?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배웁니다. 우리는 늘 배웁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배웁니다. 마음을 열면 다 보이고, 마음을 열 때에 다 깨닫습니다. 4347.10.17.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