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마리를 푸는 글쓰기 (한국말사전 새로 쓰기, 하느님)
돌이키면 나는 어릴 적부터 ‘예배당 하느님’을 믿지 않았다. 개신교회에는 고등학교 다닐 무렵 이태쯤 다닌 적이 있고, 천주교회에는 곁님과 함께 인천에서 이태쯤 드나든 적이 있지만, 내 마음속에서는 아무것도 울리지 않았다. 나는 언제나 ‘예배당에서 하느님을 찾아본들 찾을 수 없다’는 대목을 알았다. 그러나, 하느님이 없다고는 느끼지 않았다. 널리 알려진 철학가나 작가가 밝히기 앞서, ‘내 마음에 하느님이 있다’고 느끼며 살았다. 그래서 누가 나한테 “너는 종교가 무어니?” 하고 물으면 “나는 종교가 없어. 굳이 따진다면 나는 내가 종교야.” 하고 말했다. “나는 내가 종교야”와 같은 말은 내키지 않았으나, 이 다음 말을 하자면 아무래도 누구도 못 알아듣겠다고 느껴서 뒷말은 하지 않았다. 내가 늘 하고 싶던 뒷말은 “하느님은 바로 내 마음에 있는데, 왜 종교를 믿거나 예배당에 가니?”였다. 이 말을 풀어서 다시 읊자면, “나는 내가 하느님이고, 너는 네가 하느님이야. 우리는 모두 저마다 하느님이야. 하느님을 딴 데서 찾지 말자. 예부터 ‘업은 아기 삼면 찾는다(동양)’ 같은 말을 왜 했는지, ‘파랑새는 우리 집 마당에 있다(서양)’ 같은 말을 왜 했는지 생각해야지.”가 된다고 할까.
국민학교를 다니며 처음 한국말사전을 보았을 적에 많이 답답했다. 낱말풀이를 읽고 또 읽어도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니며 한국말사전을 ㄱ부터 ㅎ까지 여러 차례 읽는 동안 새삼스레 깨달았다. 한국에서는 한국말사전이 엉터리인데 이런 엉터리를 꼬집는 사람이 없는 탓은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모를 뿐 아니라,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모르는 줄조차 알지 못하거나 느끼지 않기 때문이로구나 싶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교에 들어가서 다섯 학기를 다니다가 그만두면서 문득 ‘앞으로 내가 스스로 한국말사전을 만들어야겠네’ 하고 생각했고, 이 생각대로 오늘 나는 한국말사전을 새로 만드는 일을 한다. 이 일을 하면서 어렵거나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없다. 게다가 낱말풀이를 못 달 일이란 없다고 느낀다. 오늘날 한국에 있는 모든 한국말사전에서 드러나는 ‘겹말풀이(중복표현)’라든지 어설프거나 어렵거나 엉뚱한 낱말풀이를 달 까닭조차 없다고 느낀다. 낯선 낱말이든 비슷한 꾸러미가 많은 낱말이든, 오래도록 이 낱말을 지켜보면서 생각을 기울이면 실마리를 풀 수 있다. 낱말 하나를 오래도록 바라보면서 생각하면, 이 낱말을 어느 자리에 어떻게 쓰고, 이 낱말풀이를 어떻게 붙여서 열 살 어린이한테 알려줄 수 있는가 하는 대목을 모두 깨우칠 수 있다.
하면 된다. 안 하면 안 된다. 하니까 되고, 안 하니까 안 될 뿐이다.
나는 내가 쓰는 글을 곰곰이 생각한다. 내 글쓰기는 실마리를 푸는 글쓰기라고 느낀다. 왜 이 글 저 글 신나게 많이 쓸까? 나 스스로 글을 쓰는 길을 가다듬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왜 나 스스로 글을 쓰는 길을 가다듬으려 하는가? 이제껏 제대로 모르는 채 글쓰기만 신나게 했는데, 가만히 보니, 내가 어릴 적부터 스스로 바라던 ‘한국말사전 새로 쓰기’를 하려면 그야말로 글을 엄청나게 쓰되, 같은 글감으로 날마다 수없이 다른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아이와 살아가는 이야기이든, 책과 헌책방과 삶 이야기이든, 자전거 타는 이야기이든, 시골에서 사는 이야기이든, 참말 언제나 새로우면서 다른 이야기를 길어올리는 몸가짐을 갖출 때에, 비로소 한국말사전을 새로 쓰는 넋이 되는구나 하고 깨닫는다.
한국말사전에 담을 말풀이를 붙이거나 보기글을 달 적에는 ‘똑같은 풀이나 보기글’을 넣을 수 없다. 다만, 똑같은 풀이를 달더라도 여러 낱말이 어떻게 다르게 쓰는가를 밝혀야겠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고 느낀 적이 없다. ‘할 수 없는 일은 없다’고 느낀다. 곧, ‘할 수 있는 일만 있다’고 느낀다. 나 스스로 하느님인데 내가 할 수 없는 일이 무엇이겠는가. 이와 마찬가지로, 내 이웃과 동무는 그들 스스로 하느님이기에 그들 스스로 어떤 삶을 지어서 어떤 사랑을 나누고 싶은가 하는 대목을 생각한다면, 내 이웃과 동무도 그들 스스로 하루를 즐겁게 누릴 수 있다.
마음속에서 하느님을 찾아서 바라보고 아껴야지 싶다. 참다운 하느님을 찾는 실마리를 열어야지 싶다. 사랑스러우면서 즐거운 길을 걸어가도록 스스로 이야기꽃을 피워야지 싶다. 4347.10.15.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