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72] 버스터·기차터



  노는 곳은 놀이터입니다. 일하는 곳은 일터입니다. 낚시를 하기에 낚시터이고, 쉬는 곳이기에 쉼터입니다. 책이 있으면 책터이고, 살림을 꾸리는 곳이라서 살림터입니다. 우리가 삶을 가꾸는 곳이라면 삶터가 되고, 나룻배가 오가는 곳은 나루터예요. 그래서, 한국에 처음 기차가 들어왔을 때에 ‘기차터’가 생길 만했습니다. 한국에 처음 버스가 다닐 적에 ‘버스터’가 생길 만했습니다. 그러나, ‘기차터·버스터·택시터·비행기터’ 같은 이름은 생기지 않았고 쓰이지 않았습니다. 한국에서는 기차를 타는 곳을 두고 ‘기차역(驛)’이라 하며, 버스를 타는 곳을 두고 ‘버스터미널(terminal)’이라 합니다. 하나는 한자이고 하나는 영어입니다. 그런데, 영어에서는 ‘station’도 있어요.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아무래도 먼먼 옛날부터 시골사람은 먼 데까지 말을 타고 다닌다든지 다른 탈거리를 얻어서 다닌 일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습니다. 시골사람이 시골말로 ‘나루터’를 지은 까닭은 시골사람은 냇물이나 바닷물을 건너려고 배를 탔기 때문입니다. 신분과 계급 때문에 시골사람은 말을 타지 못했으니 ‘말터’ 같은 낱말이 없습니다. 그렇지요. 이리하여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에 널리 퍼진 ‘기차를 타거나 버스를 타는 곳’을 가리키는 이름이 ‘驛’이라는 한자로 처음 붙었을 테고, 해방 뒤에는 ‘terminal’이라는 영어를 받아들였지 싶어요.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지식인과 권력자는 한자를 썼고, 해방 뒤 지식인과 권력자는 영어를 썼으니까요. 나는 아이들과 시골에서 살며 시골버스를 탑니다. 그래서 나는 시골말로 ‘버스터’와 ‘기차터’라는 낱말을 살며시 지어서 조용조용 읊어 봅니다. 4347.10.8.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