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32) 중하다重 3


이 선생님은 상추, 들깨 등 재배 채소를 중히 여기고 그것 한 포기 살리기 위해서 주변의 야생초들을 깔아뭉개는 일을 서슴지 않고 하시는데 나는 그것이 못마땅해서 번번이 제동을 걸지

《황대권-야생초 편지》(도솔,2002) 54쪽


 중히 여기고

→ 알뜰히 여기고

→ 살뜰히 여기고

→ 알뜰살뜰 여기고

→ 고이 여기고

→ 높이 여기고

→ 크게 여기고

 …



  어느 것을 크거나 높이 여긴다고 하는 자리에 ‘重히’ 같은 외마디 한자말을 쓰는 분을 곧잘 봅니다. 이 외마디 한자말이 어울린다고 여겨 쓰는구나 싶은데, 크게 여긴다면 ‘크게’라는 한국말을 쓰면 되고, 높이 여긴다면 ‘높이’라는 한국말을 쓰면 됩니다. 나타내려는 뜻과 느낌을 그대로 살려서 쓰면 됩니다.


  밭을 일구는 모습을 살핀다면, 풀 한 포기를 알뜰살뜰 아끼는 모습이 될 테니 ‘알뜰살뜰’이나 ‘알뜰히’나 ‘살뜰히’ 같은 낱말을 넣을 수 있습니다. ‘고이’나 ‘곱게’나 ‘소담스레’ 같은 낱말을 넣어도 됩니다. 4347.9.29.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 선생님은 상추, 들깨 같은 남새를 알뜰히 여기고 그것 한 포기 살리려고 다른 풀을 깔아뭉개는 일을 서슴지 않고 하시는데 나는 워낙 못마땅해서 그때마다 막으려 하지


‘등(等)’은 ‘같은’으로 다듬고, “재배(栽培) 채소(菜蔬)”는 “남새”로 다듬으며, “살리기 위(爲)해”는 “살리려고”로 다듬습니다. “주변(周邊)의 야생초(野生草)”는 “둘레에 돋은 풀”이나 “옆에 난 풀”이나 “다른 풀”로 손봅니다. ‘번번(番番)이’는 ‘그때마다’로 손질하고, “제동(制動)을 걸지”는 “멈추게 하지”나 “막지”나 “막으려 하지”나 “막으려고 나서지”로 손질합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