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좀 안 될까요 2
아소우 미코토 지음 / 시리얼(학산문화사)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375



안 되기는 뭐가 안 되니

― 어떻게 좀 안 될까요 2

 아소우 미코토 글·그림

 최윤정 옮김

 시리얼 펴냄, 2010.12.25.



  아소우 미코토 님 만화책 《어떻게 좀 안 될까요》(시리얼,2010) 둘째 권을 읽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내가 왜 이 만화책을 읽는가 했더니, 나는 이 만화책에 붙은 이름 ‘어떻게 좀 안 될까요’와 같은 말을 몹시 싫어하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면서 살았습니다.



- “우린 늘 랏코의 도움을 받고 있다 보니, 랏코가 이상한 남자에게 걸리는 건 싫거든요.” (13쪽)

- “생각 없이 덜컥 수임하고는 후회 중인가?” “아니요, 전혀! 그런 비겁자는 내가 꽁꽁 묶어서라도 끌고 와, 책임지게 해 주겠어요!” “책임이 있는 건 남자만이 아니잖아. ‘낳지 않는 것’도 하나의 선택인데.” “그 남자 입에 발린 소리만 하고 도망쳤잖아요? 그녀는 그 사람 입장까지 그렇게 신경써 주는데.” “그야, 남자에게 양육비를 지불할 능력이 없어지면 손해잖아?” (24쪽)




  곰곰이 돌아봅니다. 나는 내 이웃이나 동무한테 ‘어떻게 좀 안 될까?’ 하고 말한 적이 없습니다. 한 차례도 이런 말을 안 썼습니다. 같이 하기를 바라면 ‘같이 하자!’ 하고 말하지, ‘어떻게 좀 안 될까?’ 하고 말하지 않습니다. 안 될 줄 뻔히 아는 일이면 처음부터 안 바랍니다. 나 스스로 그런 일이 안 내키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좀 안 될까요?’ 하고 말하면서 묻는 사람은 거의 똑같은 모습입니다. 잘못을 했거나 올바르지 않은 길을 그대로 이으려고 할 적에 으레 이런 말을 씁니다.


  잘못을 했으면 뉘우치면 됩니다. 잘못을 했으니 뉘우칠 노릇입니다. 올바르지 않은 길을 여태 걸었으면, 이제부터 올바른 길을 찾아서 씩씩하게 걸어가면 됩니다.


  사람들은 똑바로 알아야 합니다. 자그마치 예순 해에 걸쳐 엉터리로 살았다 하더라도 예순한 해째부터 지난 잘못을 말끔히 씻어서 아름답게 살아간다면, 이녁 삶은 아름다움으로 가득합니다. 잘 생각해 보셔요. 예순 해나 엉터리로 살았지만, 예순한 해째에 크게 깨우쳐서 지난 모든 잘못을 씻으면서 아름답게 거듭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사람은 얼마나 대단하면서 멋질까요?


  처음부터 아름답게 살아도 아름답지요. 그러나, 잘못을 스스로 씻으면서 아름답게 살려고 해도 아름답습니다. 예순 해씩이나 잘못된 길을 걸었으니 앞으로도 그냥 잘못된 길을 가겠다고 하는 사람은 참으로 안쓰럽고 바보스럽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생각해 봐요. 예순 해를 아름답게 살았다가 예순한 해째부터 바보스럽게 산다면? 이때에는 이런 사람을 바라보며 모두들 안타깝게 여깁니다. 어떤 사람은 ‘변절’이라는 낱말을 쓰기도 합니다. 민주와 자유를 지키는 일에 오래도록 몸바치다가 마지막에 가서 수구 기득권 세력에 빌붙는 사람을 보면 얼마나 안타깝겠습니까.





- “엄청 노력했을 거야, 그녀. 그런 식으로 비자를 따서 전문직에서 일하고 있다니, 아주 진지하게, 열심히 살아왔을 거라고.” (30쪽)

- “인지를 청구해 주세요. 그 사람에게 버림받은 이상 내게 소중한 건 이 아이뿐. 내가 부인에게 고소를 당하는 한이 있어도 상관없고, 배상금을 지불해야 한다면 몇 년이 걸리더라도 돈을 내겠어요. 이 아이의 권리를 찾기 위해서라면 뭐든 다 하겠어요.” (36쪽)



  아소우 미코토 님 만화책 《어떻게 좀 안 될까요》는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까 헤아려 봅니다. 법을 다루는 만화책입니다만, 이야기를 법으로 풀지는 않습니다. 법 이야기를 살살 곁들입니다만, 법으로 삶을 풀지는 않아요. 삶은 삶으로 풀 수밖에 없기에, 법정에서만 법을 따질 뿐, 법정을 벗어난 삶자리에서는 언제나 삶으로 삶을 바라봅니다.



- “사람이 자꾸 닳거든요. 일을 하다 보면. 매일 거친 사람들을 상대하다 보니. 부끄러운 건 오히려 저예요. ‘선량’이란 미덕을 성가시게 여기다니.” (81쪽)

- “‘지금’보다 더 중요한 게 어디 있냔 말이야.” (130쪽)

- “상처가 아물어도 돈으로 보상한다 해도, 결코 돌이킬 수 없는 소중한 것.” (145쪽)




  법은 사람을 지키지 않습니다. 거짓말이 아닙니다. 법은 사람을 지키지 않습니다. 사람을 지키는 것은 오직 하나입니다. 무엇인가 하면, 사랑입니다. 오직 사랑이 사람을 지킵니다.


  법은 그저 법입니다. 사회나 정치나 제도라는 얼거리를 지키려고 만드는 법입니다. 사람을 지키려고 법을 만들지 않습니다.


  누구나 조금만 생각하면 알 수 있어요. 아름다운 마을에는 법이 없습니다. 아름다운 보금자리에는 법이 없습니다. 오직 사랑이 있고, 언제나 삶이 흐릅니다.


  아버지가 먼저 밥술을 들어야 다른 사람이 밥술을 들어야 하지 않아요. 갓난쟁이 아기가 먼저 밥술을 들 만합니다. 게다가, 배고픈 아이한테 먼저 밥을 주어야지요. 우는 아기한테 먼저 젖을 물리고 나서 어른들은 나중에 밥을 먹어야지요.


  아이가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면 무엇을 하겠습니까. 집에 불이 나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그리고, 이런 생각을 해 보셔요. 우리가 숲에 깃들어 바람을 마신다고 할 적에, 어버이가 먼저 마신 뒤 아이가 나중에 마시지 않습니다. 함께 바람을 마십니다. 햇볕은 할머니와 할아버지를 먼저 내리쬐지 않습니다. 햇볕은 할머니와 할아버지뿐 아니라 아이들한테 똑같이 내리쬘 뿐 아니라, 풀과 나무한테도 똑같이 내리쬡니다.





- “할머님께 들었는데, 그들은 대학에 들어가고 나서 사귄 친구들이라고요.” “네.” “당신 집에서 거의 살다시피 했다고, 당신이 운전하는 차로 자주 드라이브도 하고, 함께 놀면서 비용도 거의 당신이 댔고요.” “그게 뭐 어떻다고.” “실례지만, 그게 친구인가요?” (183쪽)

- “말끝마다 돈, 돈. 뭐, 좋아요, 그것도. 그런데, 변호사 비용에 재판 비용에 합의금, 거기에 BMW 몇 백만 엔? 겨우 라면 한 그릇 먹는데, 왕복 택시비 3000엔이면 끝날 것을. 왜 그런 간단한 계산은 못 하나 몰라.” (200∼201쪽)



  어지러운 사회이기 때문에 법이 섭니다. 아름다운 마을에는 법이 없습니다. 지저분하고 퀴퀴하며 슬픈 사회이기 때문에 법을 놓고 다툽니다. 사랑스러운 마을에는 법이 없습니다. 서로를 아끼지 않고, 서로 믿음직하지 않으니, 자꾸 법을 내세워 툭탁거리고야 맙니다. 어깨동무를 하고, 두레와 품앗이를 하며, 오순도순 마을잔치를 여는 곳에서는 법이라는 낱말을 아무도 모르겠지요.


  안 되기는 뭐가 안 될까요. 법으로 사회를 옥죄려 한다면 법으로 구멍을 만듭니다. 사랑으로 삶을 가꾸는 곳이라면 언제나 사랑으로 웃고 노래하면서 즐겁습니다. 잘못된 길을 바로잡을 마음이 없으면 법에서 구멍을 자꾸 파내어 요리조리 빠져나가면서 스스로 삶을 등지고 맙니다. 아름답게 살아가고 싶은 사람은, 법 따위는 말끔히 잊거나 모르면서 언제나 사랑을 생각하고 꿈을 짓습니다. 4347.9.20.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