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49. 시골을 등진 도시에서 사진은



  오늘날 한국 사회를 보면, 통계 숫자로는 91%가 넘는 사람이 도시에 산다고 나옵니다. 몇 해 앞서 나온 통계 숫자입니다. 요즈음은 92%가 넘는 사람이 도시에 산다고 나올는지 모르는데, 통계에 감추어진 속살을 살피면 99%나 99.9%는 도시에서 살아가지 싶습니다. 왜냐하면, 시골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아이들은 거의 모두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갑니다. 이 아이들은 도시로 가면서 아직 주민등록을 도시로 옮기지 않습니다. 나중에 한참 지나고서야 주민등록을 옮기기 마련이라, 막상 시골에 없이 도시에서 지내는 사람이 대단히 많아요.


  무슨 말인가 하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는 ‘시골을 아는 사람’이 대단히 적다는 뜻입니다. 시골에서 살지도 않고, 시골에서 지내는 일도 드물며, 시골사람을 이웃으로 두는 사람도 아주 적어요. 신문이든 방송이든 인터넷이든 으레 도시 이야기를 다룹니다. 시골 이야기는 거의 안 다룰 뿐 아니라, 시골로 기자가 취재를 가는 일조차 드뭅니다.


  도시에 살건 시골에 살건 밥을 먹습니다. 밥을 안 먹으면 빵을 먹거나 피자라든지 햄버거를 먹을는지 몰라요. 그러면, 밥이 되는 쌀은 어디에서 날까요? 빵이나 피자나 햄버거가 되는 밀은 어디에서 날까요? 돼지고기와 닭고기와 소고기는 어디에서 나오나요? 모두 시골에서 나옵니다. 시골이 없으면 시골사람도 굶고 도시사람도 굶어요. 손전화나 인터넷이 없어도 안 굶어죽지만, 시골이 없어 논밭을 못 일구고 돼지우리나 소우리나 닭우리가 없으면 모든 사람이 몽땅 굶어죽어야 합니다.


  우리는 어디에서 살건 시골이 무너지면 다 죽습니다. 그렇지만, 정작 시골 이야기를 제대로 다루는 매체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아예 없다고까지 할 만합니다. 대통령 곁에 달라붙든 시장이나 국회의원이나 장관한테 달라붙어서 기사를 쓰는 기자가 있고, 경찰서나 검찰 같은 데에 눌러앉아 기사를 쓰는 기자가 있습니다만, 시골 논밭에 앉아서 풀을 뜯으면서 기사를 쓰는 기자는 한 사람조차 없습니다. 시골 들이나 숲에 깃들어 풀내음이나 숲내음을 먹으며 기사를 쓰는 기자는 그야말로 한 사람도 없어요.


  오늘날 사람들은 쌀 한 톨이나 밥 한 그릇을 얼마나 안다고 할 수 있을까 궁금합니다. 쌀도 밥도 제대로 모르는 오늘날 사람들인데, 시골 이야기도 농사꾼 이야기나 쌀 이야기를 사진으로 찍거나 글로 쓰거나 그림으로 그리려 한다면, 무엇을 나타내거나 보여주거나 드러낼 수 있을까 궁금합니다. 시골이 없으면 굶어서 죽지만, 정작 학교에서 시골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시골 논밭이 없으면 밥을 못 먹지만, 막상 대학교이든 회사이든 공공기관이든 시골을 살리거나 가꾸려고 움직이지 않습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사진에는 어떤 이야기를 담아야 할까요? 사진길을 걷는 사람은 무엇을 보고,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꿈꿀 때에 아름다운 이야기를 길어올릴 수 있을까요? 4347.9.1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