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55] 점점



  일곱 살 큰아이가 어느 만화책을 보면서 노래를 합니다. 초등학교 높은학년 어린이가 보는 만화책을 일곱 살 아이가 읽는데, 이 만화책에 “점점 …….” 하는 말이 자주 나오는 듯합니다. 아마 일곱 살 아이도 열두 살 어린이도, 또 이 만화를 그린 어른도, 이 만화책을 펴낸 출판사 편집부 어른도, 이 만화책을 사 줄 수많은 여느 어버이도 ‘점점(漸漸)’이 어떤 말인지 잘 모르리라 생각합니다. 잘 모르니 섣불리 이런 낱말을 쓸 테지요. 그런데 나도 스물서너 살 언저리까지 ‘점점’이라는 일본 한자말을 멋모르고 썼어요. ‘점점’뿐 아니라 ‘점차(漸次)’도 일본 한자말이고 ‘차차(次次)’도 일본 한자말이에요. 한국말사전에서 이런 낱말을 처음 찾아보았을 때 깜짝 놀랐어요. 그리고 내 둘레 어느 어른도 이런 대목을 안 짚고 안 가르쳤네 싶어 다시 놀랐어요. 한국말은 ‘자꾸’입니다. 또, ‘차츰’이 있고 ‘조금씩’이 있으며, ‘시나브로’가 있어요. 흐름에 따라 ‘거듭’이나 ‘천천히·찬찬히’를 쓸 수 있어요. 일곱 살 아이는 아직 ‘점점’이나 ‘자꾸’가 어떻게 다른지 모를 만합니다. 어느 쪽 낱말을 쓰든 아이로서는 아이 마음을 담으리라 느낍니다. 다만, 예부터 늘 하는 말,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가 있어요. 우리 마음을 담아서 어떤 말을 쓰느냐에 따라 넋과 삶이 모두 달라집니다. 4347.8.8.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