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시 걸 3
야스다 히로유키 글.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364



쓸쓸한 사랑

― 스시걸 3

 야스다 히로유키 글·그림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4.8.15.



  짝사랑은 쓸쓸하지 않습니다. 한쪽이 외곬로 하는 사랑을 가리켜 짝사랑이라 하지만, 짝사랑에는 이녁을 헤아리는 따순 기운이 있습니다. 이 기운은 언제나 내 마음을 들뜨게 하고 즐겁게 이끕니다. 예쁜 사랑입니다.


  사랑이 아닌데 사랑이라고 잘못 생각할 때에 쓸쓸한 사랑입니다. 마음은 하나도 안 움직이지만 입으로는 사랑이라고 말할 적에 쓸쓸한 사랑입니다. 설레는 마음이나 기쁜 마음이나 따순 기운이나 고운 빛이 흐르지 않으면서도 겉으로는 사랑인 척할 적에 쓸쓸한 사랑입니다.


  사랑은 말로 하지 않아도 사랑입니다. 말로 떠들거나 글로 쓰기에 사랑이 되지 않습니다. 선물을 건네거나 잔치를 베푼다고 해서 사랑이 되지 않습니다. 마음으로 아낄 때에 사랑이 됩니다. 마음으로 바라보면서 손을 내밀 때에 사랑이 됩니다. 마음으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빙그레 웃음지을 때에 사랑이 됩니다.



- ‘똑같은 자랑을 몇 번이나 되풀이하지만, 휴대폰도 검사하지만, 싸우다가 밤길에 날 혼자 버려두고 간 적도 있지만, 섹스도 10분만에 끝나지만, 그 사람이라 다행이다. 이런 날 선택해 줬으니까.’ (5쪽)

- ‘아마도 이 아이는 내 마음을 비추는 거울. 하지만 이상한걸. 그날부터 난 계속 행복했는데?’ (12쪽)

- “넌 옛날부터 그랬었지. 툭하면 멍이 들거나 얼굴이 퉁퉁 부어서 학교에 왔는데도, 절대 아빠를 나쁘게 얘기하지 않았거든.” “아, 그거야 내가 잘못해서 맞은 거니까. 물론 좀 심할 때도 있었지만. 전부 날 위해서였는걸. 지금은 잘 지내고 있어.” “그 초밥 꼬마는 아마 거짓말쟁이인 너한테 가르쳐 주러 온 걸 거야. 네가 숨기고 있는 진짜 마음을.” (14∼15쪽)





  아이들을 입시지옥에 몰아넣으면서 이를 ‘아이 사랑’이라고 생각하는 어버이가 많습니다. 아이들을 놀지 못하게 하면서, 아이들 손에 참고서와 문제집만 쥐어 주면서, 아이들을 학원에 옭아매면서, 이를 사랑이라고 잘못 여기는 어버이가 많습니다.


  아이들을 입시지옥에서 건지지 않고 교과서 수업만 하면서 이를 ‘학생 사랑’이라고 생각하는 어른이 많습니다. 아이들 머리카락 길이나 치마 길이를 따지면서 이를 사랑인 줄 아는 어른이 많습니다. 아이들한테 ‘하지 말 것’만 잔뜩 늘어놓으면서 이는 모두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떠벌이는 어른이 많습니다.


  놀지 못하면서 살아야 하는 아이들은 어떤 꿈을 꿀 수 있을까요. 즐겁게 놀면서 노래하지 못하면서 몸이 커진 아이들은 어떤 사랑을 나눌 수 있을까요.


  즐거움이나 꿈은 성적표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기쁨이나 사랑은 은행계좌에 적히지 않습니다. 아름다움이나 노래는 졸업장으로 보여주지 않습니다. 따스함과 너그러움은 전쟁무기로 밝히지 못합니다.



- ‘종종 집안을 돌아다니던 파리잡이 거미가 깡충깡충 뛰어다니는 게 귀여워서 몇 시간이나 쫓아다녔다. 엄마에게는 그냥 해충이었다. 할 수 없는 일이다.’ (40∼41쪽)

- ‘옆집 하야카와 할머니는 혼자 살고 있다. 할머니는 지렁이를 손으로 만져도 야단치지 않았고, 쪼글쪼글한 손을 질릴 때까지 만지게 해 줬다.’ (42∼43쪽)

- ‘사랑받고 있지만 나는 무척 쓸쓸하다. 평범한 가족의 지극히 평범한 평화로운 풍경. 그것을 남몰래 지탱해 주고 있는 것은 이 작디작은 할머니다.’ (54쪽)





  야스다 히로유키 님 만화책 《스시 걸》(대원씨아이,2014) 셋째 권을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만화책 《스시 걸》은 셋째 권으로 마무리를 짓습니다. 이야기를 더 잇지 않는구나 싶어 아쉽지만, 그동안 읽은 세 권으로 마음이 포근합니다. 힘겹거나 아프게 살아가는 사람한테 조그맣게 빛이 되어 준 예쁜 벗님을 이야기하는 만화란 참으로 사랑스럽습니다.



- ‘지금까지 한 번도 남자와 사귀어 본 적이 없다. 내가 이상한 걸까. 휴일에는 가끔 도시락을 싸들고 반나절 동안 신사에 놀러가거나, 한방약이나 수상한 화석을 구경하거나, 충동적으로 만두를 잔뜩 만들어서 아무에게도 나눠 주지 않고 혼자 먹어치우거나, 가오리를 보며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왜 다들 이러지 않는 걸까. 오히려 신기하다.’ (57∼59쪽)

- ‘나는 즐겁고 기분 좋은 일들만 하면서 살아가고 싶어.’ (61쪽)

- ‘여전히 남자에도 결혼에도 흥미는 없다. 내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건 꼭 인간만은 아니니까.’ (72쪽)



  입으로는 “괜찮다” 하고 말하더라도 누구나 얼굴에 “안 괜찮다”는 빛이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입으로는 “좋아” 하고 말하더라도 누구나 얼굴에 “안 좋다”는 빛이 나타나기 마련입니다.


  그렇잖아요. 한식구라면 낯빛을 보면서 다 알아요. 동무라면 낯빛을 읽으면서 다 압니다. 이웃이라면 낯빛을 헤아리면서 다 알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서로 마음으로 사귑니다. 우리는 서로 지식으로 사귀지 않습니다. 우리는 서로 졸업장이나 자격증으로 사귀지 않습니다. 우리는 서로서로 아끼고 사랑하는 숨결로 사귑니다.





- ‘놀라웠다. 세상에 이렇게 온화한 남자가 있을 줄이야.’ (79쪽)

- ‘왠지 마음이 놓였다. 이 아이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것, 들려주고 싶지 않은 것들이 이 집에는 넘쳐나니까.’ (82쪽)

- ‘그 접시에 담은 요리는 마치 마법이라도 건 것처럼 맛있어졌습니다. 오늘은 뭘 만들어서 그 접시에 담을까. 그런 생각을 하는 것만으로도 하루하루가 반짝반짝 빛나기 시작했습니다.’ (117쪽)



  생각해 보셔요. 돈 때문에 사귀는 사이라면 얼마나 거북할까요. 이름값 때문에 가까이하는 사이라면 얼마나 못마땅할까요. 권력 때문에 눈치를 보아야 한다면 얼마나 고단할까요.


  신분이나 계급이 높기에 고개를 숙여야 한다면 얼마나 지칠까요. 주먹질 때문에 꼼짝을 못하면서 손바닥을 비벼야 한다면 얼마나 짜증스러울까요. 돈을 빌려주면서 마음에 생채기를 입힌다면 얼마나 쓰라릴까요.


  사랑은 아무것도 따지지 않습니다. 사랑은 다치게 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아프게 하지도 않고, 미움이나 따돌림을 불러들이지 않습니다. 사랑은 언제나 오로지 보드라운 산들바람과 같이 찾아옵니다. 사랑은 늘 오직 포근한 햇볕처럼 온누리를 비춥니다.





- “당연한 거야. 물고기는 살아 있으니까.” (136쪽)

- ‘전갱이 한 마리를 위해 우는 아이라. 이 녀석은 훌륭한 장인이 되겠구나.’ (138쪽)



  아이들을 자전거에 태우고 골짜기를 다녀오는 길에 전깃줄에 앉은 제비를 두 마리 만납니다. 안타깝지만 꼭 두 마리입니다. 우리 마을에도 이웃 여러 마을에도 제비가 매우 드뭅니다. 해가 갈수록 제비가 줄어듭니다. 왜냐하면, 해가 갈수록 마을마다 할매와 할배 나이가 더 들면서 농약을 더 많이 치기 때문입니다. 마을마다 한동안 ‘친환경농업’ 바람이 불었습니다만, 새마을운동 때부터 오랫동안 길든 농약사랑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기에 엄청난 농약을 엄청나게 뿌립니다. 이 탓에 제비는 농약에 맞아 죽어요. 때로는 자동차에 부딪혀 숨을 거둡니다. 중국에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한국까지 씩씩하게 찾아온 제비이지만, 애써 알을 낳아 새끼를 까고 날갯짓까지 가르쳐 주었으나, 이 제비들이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는 일이란 너무 어렵습니다. 도시에는 아예 가지 못하는 제비요 시골에 드문드문 남은 제비입니다만, 즐겁고 힘차게 날갯짓을 하지 못합니다.


  어쩌면 오늘날 이 나라에서 제비를 생각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제비가 이토록 고단한 나날을 누리다가 죽는지 모릅니다. 아무래도 오늘날 이 나라 도시에서는 제비가 까맣게 잊혔고, 시골에는 늙은 할매와 할배만 남으니 제비하고 동무를 삼을 아이들이 없기 때문에 제비가 이렇게 힘겹게 버티다가 죽는지 모릅니다.


  여느 때에 제비를 생각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아주 드뭅니다. 여느 때에 개구리나 뱀이나 사마귀를 헤아리며 살아가는 사람이 매우 드뭅니다. 여느 때에 잠자리나 나비나 도룡뇽을 돌아보며 살아가는 사람이 무척 드뭅니다. 여느 때에 매나 소쩍새나 꾀꼬리를 마주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너무 드뭅니다.


  온통 쓸쓸한 나라입니다. 그예 쓸쓸한 사회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그저 쓸쓸하기만 하니, 내 이웃과 동무도 쓸쓸한 빛에 갇힐는지 모릅니다. 이곳에도 저곳에도 쓸쓸한 빛만 떠오르니, 아름답거나 즐거운 사랑하고는 자꾸 멀어지지 않느냐 싶습니다. 요즈음 ‘도깨비’하고 놀 줄 아는 아이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4347.8.5.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 아버지 만화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