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29. 바로 오늘 이곳



  오늘 이곳에서 사진을 찍습니다. 나중에 찍지 않습니다. 미리 찍지 않습니다. 내가 찍는 사진은 언제나 오늘 이곳에서 찍습니다. 나중에 찍을 수 있다고 여겨 미룰 수 있지 않습니다. 내가 찍고 싶은 사진을 미리 찍어 놓을 수 없습니다.


  아침에 뜨는 해를 바라보면서 ‘해야 좀 기다려, 내가 나중에 올 테니, 그때까지 이 모습대로 있어야 해!’ 하고 바랄 수 없습니다. 아침에 뜨는 해가 아름답구나 싶으면, 바로 오늘 이곳에서 아침에 뜨는 아름다운 빛을 사진으로 담을 노릇입니다. 바로 오늘 이곳에서 온몸으로 아침빛을 느끼면서 바로 오늘 이곳에서 사진기를 손에 쥐어 찰칵 하고 누를 노릇이지요.


  사진을 찍는 얼거리는 세 가지입니다. ‘바로’와 ‘오늘’과 ‘이곳’입니다. 다만, ‘바로 오늘 이곳’에서 찍는 사진은 ‘스냅사진’이 아닙니다. 그저 ‘바로 오늘 이곳’에서 찍는 사진일 뿐입니다. 어떤 사진을 찍든 우리들은 이 세 가지 얼거리로 찍습니다. 바로바로 찍고, 오늘 찍으며, 이곳에서 찍습니다.


  생각해 보면, 우리 삶은 늘 이 세 가지 얼거리로 움직입니다. 언제나 흐르는 오늘이요, 언제나 맞닥뜨리는 바로이며, 언제나 맞이하는 이곳입니다. 흐르는 우리 삶을 돌아보면, 늘 ‘바로 오늘 이곳’인데, ‘바로 오늘 이곳’은 늘 오늘(현재)이면서 어제(과거)가 되고 다시금 모레(미래)가 됩니다. 우리가 보내는 하루는 늘 세 가지 때가 함께 어우러지는 흐름입니다.


  사진찍기에서 바로와 오늘과 이곳이라는 세 가지 얼거리를 살피기에, 사진읽기에서도 바로와 오늘과 이곳이라는 세 가지 얼거리를 살핍니다. 사진을 읽는 우리 스스로 ‘바로 오늘 이곳’에서 내 나름대로 바라보면서 느낍니다. 다른 사람 눈길로 읽는 사진이 아닙니다. 바로 내 눈길로 읽는 사진입니다. 어제라면 어떻고 모레라면 어떻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늘 오늘 이곳에서 내 가슴에 다가오는 빛을 느끼면서 읽습니다. 이리하여, 오늘 이곳에서는 이렇게 느끼고, 며칠이 지난 뒤에는 그때대로 다르게 느끼며, 몇 해가 지난 뒤에는 그때대로 다르게 느껴요.


  다시 말하자면, 똑같은 자리에서 똑같은 사람을 찍더라도, 오늘 찍을 때하고 며칠 뒤에 찍을 때하고 몇 해 뒤에 찍을 때에는 늘 다릅니다. 그때그때 삶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4347.8.3.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이에자이트 2014-08-03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집 근처입니까? 골짜기 물이 시원해보입니다.고흥 하면 바다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런 사진을 통해서 산과 골짜기도 아름다운 곳임을 알 수 있겠지요.

숲노래 2014-08-03 12:52   좋아요 0 | URL
집에서 걸어가면 30분, 자전거로 달리면 10분이면 닿는 곳에 있어서
비가 안 오는 여름에는 거의 날마다 가는 곳이에요.

그나마 이곳은 아주 조용하고 고즈넉한 곳이었는데
'4대강사업 지류사업'으로 바닥을 다 뒤엎고
시멘트로 발랐답니다. 우리 식구가 놀러가는 골짜기는
시멘트로 안 덮은 깊은 곳이에요.

요새는 고흥 같은 두멧시골도
골짜기에 시멘트를 덮는다고 관청에서 '토목공사'를 벌이느라
참... 볼꼴사납답니다... ㅠ.ㅜ

이래서, 지난해와 올해에는
아직 개똥벌레를 못 봤어요...

노이에자이트 2014-08-03 22:16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요즘엔 사람들 출입 편하게 하려고 자연을 너무 파헤져서 문제입니다.

개똥벌레가 안 오는군요.얘들이 공해에 민감하죠.

숲노래 2014-08-04 07:37   좋아요 0 | URL
개똥벌레는 다슬기를 먹는데,
다슬기도 개똥벌레도
'흙땅'에 알을 낳고 살아요.

그리고 농약이 있으면 다 죽고
시멘트를 퍼붓거나
골짜기 모양을 바꾸면
또 죽고... 그러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