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방 단골 되기
‘책방 단골’은 아무나 될 수 없다고 한다. 책방을 자주 드나드는 사람은 ‘자주 오는 손님’은 될 수 있으나 ‘책방 단골’이라는 이름을 얻지는 못한다. ‘단골’은 어떤 책손한테 붙이는 이름일까? 글쎄, 나는 어느 책방을 두고도 나 스스로 ‘단골’이라고 느끼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살아가니, 시골에서는 달포에 한 차례 책방마실을 하기에도 만만하지 않다. 자주 드나들지 못하는 책방이기에 한 차례 찾아가더라도 책을 잔뜩 장만하기는 하지만, 단골은 ‘책을 많이 사들이는 사람’을 뜻하지 않는다.
얼추 열다섯 해쯤 앞서이지 싶은데, ‘책방 단골’을 놓고 ‘책방에 자주 오는 아저씨’들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다. 서울 용산에 있는 헌책방 〈뿌리서점〉이었다. 그곳을 날마다 드나드는 아저씨들이 꽤 많은데, 그분들이 서로 옥신각신 얘기를 주고받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서로 생각을 모두었다. 그분들이 말하는 ‘책방 단골’은 이렇다.
ㄱ. 서른 해 넘게 드나들기
ㄴ. 오천 권 넘게 장만하기
어느 한 군데 책방에서 ‘단골’이라는 이름을 얻자면, 그 책방을 서른 해 넘게 드나들되, 그동안 책을 오천 권 넘게 장만해야 한단다. 이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였다. 어느 한 군데 책방을 스무 해쯤 드나들었으면 아직 ‘단골’은 아니다. 스무 해 즈음 드나들었을 때에는 제법 자주 드나들었다고 할 만하지만, 아직 그 책방 속내까지 헤아리지는 못할 만한 햇수라 하겠지. 자주 드나든다고 하더라도 책을 어느 만큼 장만해서 읽지 않는다면, 그 책방이 어떤 책을 다루고 어떤 책으로 오래도록 책방살림을 꾸리는가를 알지 못한다고 할 만하다.
나한테는 아직 ‘단골이라 할 만한 책방’이 없다. 왜냐하면, 아직 서른 해 넘게 드나든 책방이 없기 때문이다. 가장 오래 드나든 책방은 스물세 해 드나든 곳이다. 이 다음으로는 스물두 해 드나든 곳이 있고, 스물한 해 드나든 곳이 꽤 많다. 앞으로 일곱 해는 더 있어야 나한테도 ‘단골 책방’이 생긴다. 나는 마흔일곱 살이 되어야 비로소 ‘단골 책방’을 이야기할 수 있구나. 4347.7.17.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
알라딘이 열다섯 돌이라 하는데,
나는 아직 알라딘에서도
열 돌이 안 되었다.
알라딘이라는 곳 단골이 되기에도
아직 스무 해가 남은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