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왜 오지않는가
이기형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말하는 시 58



시와 봄

― 봄은 왜 오지 않는가

 이기형 글

 삶이 보이는 창 펴냄, 2003.10.24.



  저녁에 빨래를 걷는데, 우리 집 마당으로 갑자기 참새떼가 파라락 들어옵니다. 쉰 마리쯤 될 듯한 참새떼는 후박나무에 내려앉다가 헛간 지붕에 앉다가 전깃줄에 앉다가 하면서 놉니다. 너희들, 사람이 가까이 있어도 괜찮구나. 게다가 우리 집은 우리 마을에서 농약 한 방울 안 치는 곳이야. 너희들이 숨을 돌릴 만한 곳이고, 후박알을 따먹든 애벌레를 잡아먹든 재미난 곳이기도 하지.


  깊은 밤에 소쩍새와 휘파람새를 비롯해 온갖 새들이 노래합니다. 새벽이 되니 부지런한 멧새가 깨어나 우리 마을과 집 둘레에서 맑은 노래를 들려줍니다. 곧 처마 밑 제비집에서도 제비들이 깨어나서 돌아다닐 테지요.



.. 80년 전 내 어린 날을 회상한다 / 오늘은 옛날의 시냇가 돌 도마 대신 / 세탁기 버튼만 누르면 / 십여 벌 옷가지도 후딱 빨아버린다 / 트랙터로 수천 평의 땅도 단숨에 갈아 제낀다 ..  (돈때 묻은 오늘을 침 뱉는다)



  새끼 제비는 처마 밑 둥지에서 한참 기다립니다. 몸뚱이가 어른 제비만큼 자랐어도 새끼 재비는 좀처럼 날아오르려 하지 않습니다. 다른 새도 이와 같을까요? 아마, 어느 새이든 비슷하리라 느낍니다. 아무래도 둥지는 처마 밑이든 우듬지이든 나뭇가지이든 높은 곳에 있어요. 뜸부기처럼 논에 둥지를 짓는 새가 있고, 꿩처럼 수풀에 둥지를 마련하는 새가 있지만, 웬만한 새는 높다란 곳에 둥지를 마련해요. 높다란 곳에 둥지가 있으니 아직 날개에 힘이 제대로 붙지 않았을 때에 섣불리 날갯짓을 하다가는 둥지로 돌아가지 못합니다. 제대로 날개를 펼쳐 훨훨 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지 싶어요.


  처마 밑 제비집을 날마다 바라보고 새끼 제비 움직임을 살핍니다. 새끼 제비는 처음 날갯짓을 익혀 둥지를 떠나 빨랫줄이나 전깃줄이나 이곳저곳에 내려앉습니다. 이렇게 한 번 내려앉고서 다시 날갯짓을 해 본 뒤, 십 분쯤 지나면, 집을 떠나요. 홀가분하게 하늘을 가르는 즐거움을 누립니다.


  하늘을 나는 즐거움을 누리는 제비는 새벽같이 둥지를 떠나서 해가 기울 무렵에 돌아옵니다. 여름이 저물어 찬바람이 불 무렵까지 이렇게 날아다니면서 힘을 기르고 몸을 더 키웁니다. 제비와 함께 찾아오는 봄이 지나고, 새끼 제비가 깨어난 여름이 흘러서, 가을이 코앞에 이르면, 제비는 무리를 지어 태평양을 건넙니다. 머나먼 바닷물을 쉬잖고 날아갑니다.



.. 동강 어라연엘 가 봐도 분통은 풀리질 않아 / 돌아온 들에 봄은 왜 오지 않는가 / 꿈별을 바라 밤마다 통곡한다 ..  (봄은 왜 오지 않는가)



  예부터 봄은 제비와 함께 느낍니다. 옛날부터 봄은 개구리 노래잔치와 함께 느낍니다. 예전부터 봄은 들꽃과 함께 느낍니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들은 스스로 제비와 개구리와 들꽃을 잊습니다.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들은 제비와 개구리와 들꽃이 깃들 터를 모조리 없애거나 뒤집어엎습니다.


  이제 시골에서도 제비와 개구리와 들꽃을 누리기 만만하지 않습니다. 도시에서도 제비와 개구리와 들꽃을 누리기 어렵지만, 시골에서도 시멘트와 농약이 물결치니, 이들 봄동무를 만나기 어렵습니다.


  달력에 적힌 숫자로는 틀림없이 봄이라지만, 사회는 봄이 아닙니다. 방송 광고에서는 봄을 외치고, 가게마다 봄 물건을 사고팔지만, 나라는 봄이 아닙니다.


  국가보안법이나 4대강사업이나 한미자유무역협정이나 주한미군이나 밀양송전탑이나 세월호사고 때문에 봄이 봄이 아니지는 않습니다. 이런 짓 때문에도 봄을 봄답게 누리지 못하기도 하지만, 봄에 봄바람을 누리지 못해요. 봄에 봄비를 누리지 못합니다. 봄에 봄볕을 쬐지 못하고, 봄에 봄노래를 부르지 못해요.


  여름에는 어떤가요. 여름에 여름바람을 누리는가요,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을 누리는가요. 여름에 여름비를 누리는가요, 수돗물이나 정수기나 페트병을 누리는가요. 여름에 몇 사람이나 여름볕을 쬐는가요. 여름에 몇 사람이나 여름노래를 부르는가요.



.. 신새벽 시를 쓰는데 / 느닷없이 문을 두드리는 소리 / 검은 제복 셋이 신분증을 내민다 / “경찰입니다.” / 가잔다 / “전화면 되지, 이런 식으루…….” / 나는 나무랐다 / 다리 아픈 아내는 같이 간다고 우긴다 / 옥인동 서울경찰청 보안과로 끌려가니 / 여든 셋의 나를 문초한다 / 도대체 통일하자는 게 뭔 죈가 / 국가보안법이 망가뜨려놓은 막된 세상 ..  (신은 죽었는가)



  1917년에 태어나 2013년에 숨을 거둔 이기형 님은 지난 2003년에 《봄은 왜 오지 않는가》(삶이 보이는 창)라는 이름을 붙여 시집을 선보였습니다. 참말 봄은 왜 오지 않을까요. 참말 우리들은 왜 봄을 헤아리지 않을까요. 참말 사람들은 왜 ‘철’을 잊은 채 철부지로 살아가는가요.



.. 철창 속 0.75평 암흑방 가시방석 32년에도 어쩌면 저리 고운 홍안에 빛나는 눈을 지녔을까 일흔 다섯 나이를 뺨치는 단단한 구슬 몸매 해방 전 일본 동경에서 신문 배달을 하며 사회주의에 경도 독립과 통일의 가시밭길을 헤쳐왔다 ..  (통찰의 더듬이)



  봄이 오지 않는 나라에서 봄노래를 부르지 않으니 봄제비를 맞이하지 않습니다. 봄제비를 맞이하지 않는 나라에서는 봄꽃과 봄풀을 어깨동무하지 않으니 봄글을 쓰거나 읽지 않습니다.


  봄이 한껏 꽃피우다가 천천히 가라앉으면서 여름입니다. 여름은 한껏 무르익을 테며, 소나기와 뭉게구름과 무지개와 잠자리와 나비와 풀벌레를 잔뜩 이끌면서 찾아오고 싶습니다. 그러나, 이 나라에 여름이 머물 자리는 어디인가요. 이 나라에 여름이 깃들어 춤출 자리는 어디에 있는가요.


  봄에 봄을 부르는 시를 읽고 싶습니다. 여름에 여름을 꿈꾸는 시를 읽고 싶습니다. 가을에 가을을 사랑하는 시를 읽고 싶습니다. 겨울에 겨울을 그리는 시를 읽고 싶습니다. 4347.6.23.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