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기 까치의 우산
김미혜 지음, 한수진 그림 / 창비 / 2005년 1월
평점 :
시를 사랑하는 시 31
동시와 관찰일기
― 아기 까치의 우산
김미혜 글
창비 펴냄, 2005.1.12.
가만히 지켜보면 모두 알 수 있습니다. 지켜보는 기운은 어느새 빛이 되기 때문에, 예부터 ‘잘 보라’고 했습니다. 잘 보는 일이 무척 대수롭기 때문에, 한국말에는 ‘눈여겨보다’라는 낱말이 있고, 찬찬히 보라는 뜻에서 ‘들여다보다’라는 낱말이 있어요. 그리고, 하나를 보면서 둘레를 함께 느끼라는 뜻에서 ‘살펴보다’라는 낱말이 있고, 오늘과 어제를 서로 비추면서 모든 삶은 한 갈래 흐름으로 잇닿는 줄 보라는 뜻에서 ‘돌아보다’가 있고, 다시금 흐름을 보라는 뜻에서 ‘되돌아보다’가 있으며, 더 깊이 흐름을 보라는 뜻에서 ‘뒤돌아보다’가 있습니다.
보면서 제대로 알라는 뜻에서 ‘알아보다’가 있어요. 내가 보는 눈길과 눈빛과 마음씨를 곰곰이 건사하라는 뜻에서 ‘두고보다(두고 보다)’가 있습니다.
.. 동글동글 / 몸을 만다 .. (콩벌레)
잘 보는 사람은 잘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보기만 해서는 볼 수 없습니다. 보면서 뜻을 헤아려야 볼 수 있습니다. 보면서 생각을 길어올려야 볼 수 있습니다. 보면서 생각을 씨앗으로 마음에 심어야 볼 수 있습니다.
그저 보기만 한다면 ‘관찰일기’는 쓸 수 있어요. 그리고, 관찰일기는 틀림없이 ‘본’ 대로 쓰는 글입니다만, 언제나 한 가지만 보고 다른 모든 것을 못 보기 일쑤예요.
관찰일기가 나쁘거나 잘못이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보는’ 까닭은 관찰일기를 써야 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보는 까닭은 잘 알고 제대로 알며 바로 보면서, 사랑스레 껴안고 싶기 때문입니다. 보는 까닭은 깊이 알고 두루 알며 넉넉히 알면서, 아름답게 빛나고 싶기 때문입니다.
.. 봄 햇살 따스한 논 / 아파트가 빼앗았어요. / 개골개골개골개골개골개골 .. (땅 한 평만!)
관찰일기는 어떤 글인가요. 그리고, 수필은 어떤 글인가요. 그리고, 감상문이나 독후감은 어떤 글인가요. 그리고, 논술은 어떤 글인가요.
우리 아이들은 어떤 글을 쓸 때에 즐거울까요. 우리 어른들은 어떤 글을 쓰면서 기쁜가요.
모름지기 글이라고 할 적에는 언제나 사랑이 꿈과 같이 피어날 때에 글이라고 느낍니다. 사랑이 꿈과 같이 피어나지 못할 적에는 으레 ‘관찰일기로 머문’다고 느낍니다.
사랑을 담지 못할 적에는 ‘글’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없다고 느낍니다. 꿈을 보여주지 못할 적에는 ‘글’이 못 된다고 느낍니다.
사랑이 무엇인가 하면, 사람을 비롯한 모든 목숨을 살리는 빛입니다. 꿈이 무엇인가 하면, 지구별에서 살아가는 모든 숨결을 버티는 힘입니다.
‘기록하는 역사’는 글이 아닙니다. ‘기록하는 기억’은 글이 아닙니다. 아이도 어른도 ‘쓰는 글’이 될 때에 즐겁습니다. 어른도 아이도 ‘글쓰기’를 해야지, ‘감상문 쓰기’나 ‘보고서 쓰기’나 ‘관찰일기 쓰기’나 ‘문학 창작’을 할 때에는 즐겁지 않습니다.
.. 꽃들 찾느라고 / 땅만 보고 걸어요 .. (꽃 탐사)
동시는 문학이 아닙니다. 어른시도 문학이 아닙니다. 그저 ‘문학’이라는 틀을 따로 만들어서 이러한 이름을 붙일 뿐입니다. 아이한테 읽히는 글은 ‘문학’도 ‘어린이문학’도 아닌 ‘글’입니다. 이야기를 담은 글입니다. 이야기를 밝히는 글입니다. 이야기를 나누는 글입니다.
‘동시’라는 이름을 붙이니 ‘동시’라고 합니다만, 어른인 사람이 아이인 사람한테 어떤 글을 주어서 읽히려는 까닭은, 글을 쓴 어른과 글을 읽는 아이 모두, 마음속에서 꿈이 사랑스럽게 피어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지식을 보여주려고 쓴다면 글(동시)이 아니라 보고서(문학)가 됩니다. 정보를 알리려고 쓴다면 글(동시)이 아니라 관찰일기(문학)가 됩니다.
.. 할머니는 다시 / 봄을 풀어 놓으신다 .. (봄 쫓는 호랑이가 와도)
김미혜 님이 쓴 동시 《아기 까치의 우산》(창비,2005)은 어떠할까 헤아려 봅니다. 이 동시는 ‘글’일까요? 이 동시는 ‘이야기’일까요? 이 동시는 ‘사랑’이거나 ‘꿈’일까요?
김미혜 님은 ‘문학’을 하고 싶은 마음일까요? 김미혜 님은 ‘관찰일기’를 쓰고 싶은 마음일까요?
아이들하고 ‘영양소’를 나누려고 밥을 먹지 않습니다. 아이들하고 ‘즐겁게 살면서 웃고 뛰놀려고 사랑스러운 기운을 얻도록 이끄’는 밥을 먹습니다. 아무쪼록, 동시가 문학이나 관찰일기가 아닌 글이나 이야기가 될 수 있도록 글빛을 여미고 글숨을 불어넣기를 바랍니다. 4347.6.6.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 아버지 동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