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시아 파마 (책 + 플래쉬 DVD 1장) - 잃어버린 자투리 문화를 찾아서, 개정판 국시꼬랭이 동네 10
윤정주 그림, 이춘희 글, 임재해 감수 / 사파리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392



풀꽃동무

― 아카시아 파마

 이춘희 글

 윤정주 그림

 사파리 펴냄, 2005.6.15.



  시골에서 노는 아이들은 햇볕을 먹습니다. 시골에서 지내는 아이들은 별빛을 먹습니다. 시골에서 사는 아이들은 바람을 먹습니다. 시골에서 노래하는 아이들은 개구리와 제비와 풀벌레가 베푸는 잔치를 날마다 먹습니다.


  도시에서는 어떠할까요? 도시에서 노는 아이들은 무엇을 먹을까요? 도시에서 지내는 아이들은 무엇을 보고 들으며 받아들일까요?



.. 엄마는 장에 가고 영남이 혼자 집을 보고 있어요. 영남이는 손거울로 이리저리 햇살을 비추며 장난을 쳤어요 ..  (3쪽)





  예전이라 한다면 언제쯤일까 모르겠으나, 아무튼 예전에는 서울도 그저 서울이었지 ‘커다란 도시’나 ‘도시’는 아니었습니다. 예전에는 서울이라 하더라도 시골스러운 동네가 넓었습니다. 예전에는 서울에도 제비가 둥지를 틀었습니다. 예전에는 서울에도 박쥐가 날아다녔고, 예전에는 서울에서도 무지개를 보거나 풀벌레 노래를 들었어요. 예전에는 서울에서도 개구리를 잡고, 잠자리를 좇으며, 나비를 하염없이 지켜볼 수 있었어요.


  이제 서울에서 골목놀이를 할 수 있는 어린이는 거의 없습니다. 아이들은 모조리 학원으로 쫓겨나야 하기도 하지만, 서울이라는 곳에서 골목이 있어 보았자 몽땅 주차장으로 바뀌었어요.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빈터가 없습니다. 아이들이 신나게 뒹굴며 흙을 만지고 풀꽃을 꺾을 자리가 없어요.


  아이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어른들은 무엇을 하나요. 아이들이 놀 만한 자리를 마련하지 못하는 어른은 무슨 일로 그렇게도 바쁜가요. 아이들이 서로 아끼고 사랑하며 뛰놀도록 마음을 기울이지 못하는 어른은 어떤 일을 하느라 그렇게도 바쁜가요.



.. 영남이의 뽀글거리는 앞머리를 본 미희가 킥킥 웃었어요. “젓가락으로 파마하니까 머리카락이 다 탔잖아. 이리 와 봐. 내가 아카시아 파마 해 줄게.” ..  (11쪽)



  풀꽃동무 되어 자라는 아이들이 사랑스럽습니다. 풀꽃동무 되며 웃는 아이들이 싱그럽습니다. 풀꽃동무답게 꿈을 꾸는 아이들이 믿음직합니다. 풀꽃동무로 거듭나는 아이들이 어여쁩니다.


  풀이랑 동무하고 꽃이랑 동무하는 아이들입니다. 풀꽃과 같은 숨결로 이웃을 헤아리는 아이들입니다. 풀꽃이 베푸는 푸른 바람을 받아 마시면서 다 같이 어깨동무를 하는 아이들입니다.


  자가용 좀 치워 주셔요. 자가용 좀 아이들 눈에 안 보이는 데에 세워 주셔요. 집 둘레에 자가용이 없도록 해 주셔요. 집 둘레만큼은 아이들이 뒹굴고 뛰놀 만한 마당이 되도록 해 주셔요. 꽃씨 한 톨을 심고 풀씨 한 톨 날아와서 깃들도록 해 주셔요. 나무 한 그루를 심어 아이들과 나란히 자라도록 해 주셔요. 자가용을 장만해서 굴릴 돈으로 땅을 마련해서 아이들과 함께 즐겁게 흙을 돌봐 주셔요.




.. 아이들은 마을 뒷동산 아카시아 숲으로 갔어요. 영남이와 영수는 미희를 따라 아카시아 줄기를 꺾었어요 ..  (15쪽)



  이춘희 님 글과 윤정주 님 그림으로 엮은 그림책 《아카시아 파마》(사파리,2005)를 읽습니다. 아카시아 줄기로 머리카락을 엮어 보글보글 꼬는 놀이를 하는 아이들이 나옵니다. 두 가시내는 아카시아 줄기로 머리카락을 엮으며 놀고, 다른 아이들은 조그마한 숲에서 풀이랑 나무랑 동무가 되어 놉니다.


  풀바람을 마십니다. 나무내음을 맡습니다. 나비와 잠자리하고 뛰놉니다. 풀벌레가 사근사근 노래하는 소리를 듣습니다. 파랗게 맑은 하늘을 바라봅니다. 하얗게 맑은 구름을 쳐다봅니다. 햇살을 누리고, 살결은 까맣게 탑니다. 아이들은 까무잡잡하게 타야 아이답습니다. 어른들도 까무잡잡하게 타야 튼튼합니다. 우리들은 모두 깜순이나 깜돌이 되어 이 땅을 씩씩하게 밟을 때에 아름답습니다.


  풀과 꽃 사이에서 놀이가 태어납니다. 놀이가 빙긋빙긋 태어나는 곳에서 이야기가 즐겁게 샘솟습니다. 이야기가 즐겁게 샘솟는 곳에서 노래가 보드라이 흐릅니다. 노래가 보드라이 흐르는 곳에서 살림을 곱게 가꿉니다. 4347.5.2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4-05-21 07:40   좋아요 0 | URL
저만 해도 도시에서 나고 자라 이런 놀이를 해본 적이 없어요. 그런데 책 속 아이들 모습이 제 어머니로부터 들어 상상하던 모습, 가끔 사진에서 보는 어머니의 어릴 때 모습과 비슷하여 제가 겪지 않았어도 정이 갔어요. 그림책 공부 잠깐 하면서 베껴그리기 연습용으로 제가 선택한 책이기도 하지요.

숲노래 2014-05-21 16:24   좋아요 0 | URL
저도 이 그림책에 나오는 놀이는 처음 보았는데,
마을마다,
또 아이들마다
서로 재미나게 새로운 놀이를
얼마든지 만들어서 즐길 수 있으리라 느껴요.
아이들은 그저 놀이터와 빈터가 있으면
언제나 즐겁게 놀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