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 마을 아이들 창비아동문고 119
임길택 지음 / 창비 / 199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책 읽는 삶 49

 


시골에 흐르는 빛
― 산골 마을 아이들
 임길택 글
 이혜주 그림
 창작과비평사 펴냄, 1990.6.25.



  시골 면소재지에도 편의점이 있습니다. 시골 읍내에도 빵집이 있습니다. 시골에는 백화점이나 대형할인마트는 없습니다. 시골에는 극장도 없습니다. 읍내에는 작은 책방이 있기도 하지만, 시골 면소재지에는 책방이 없습니다.


  도시에는 편의점이 있습니다. 도시에는 빵집이 있습니다. 편의점과 빵집이 있을 뿐 아니라 무척 많이 있습니다. 백화점과 대형할인마트도 많고, 곳곳에 크고작은 가게가 줄줄이 늘어섭니다. 작은 책방은 많이 사라졌으나, 도시에서는 책방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시골에는 숲이 있습니다. 도시에는 숲이 없습니다. 그러나, 요즈음 시골을 보면 숲이 차츰 자취를 감춥니다. 도시사람이 놀러오는 관광지로 개발한다면서 숲을 밉니다. 도시사람이 찾아오는 골프장을 지으려고 숲을 밉니다. 도시사람이 마시는 물을 얻으려고 댐을 짓습니다.


  도시에는 숲이 없으나, 요즈음 들어 도시 한복판에 숲을 마련하려고 합니다. 도시에 찻길과 아파트와 건물만 있으면 도무지 숨을 쉴 수 없는 줄 알기에, 차근차근 숲을 마련하려고 꽃을 심고 나무를 심습니다. 풀이 자라도록 하고, 자동차가 들어오지 못하는 자리를 늘립니다.


.. 산자락 끝 따라 집들이 둥그렇게 늘어서 있는 이곳에서 윤재석 아저씨는 칠대째를 살아오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할아버지들의 숨결이 듬뿍 어린 돌멩이 하나, 풀 한 포기에도 아저씨는 더없는 사랑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아저씨는 밤이 무섭지 않다고 않다고 하였습니다. 산도 나무도 하늘도 모두 아저씨를 지켜 주기 위해 잠을 자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바위 밑에 누워 나뭇가지들 사이로 바라보는 하늘만큼 아름다운 것도 드물다 하였습니다. 그 많은 별들을 누가 만들었는지, 그 넓은 하늘은 어디에 닿아 있는 것인지, 그런 생각에 끝없이 빠져들다 보면 신기하게도 만나는 사람들끼리 다투지 말고 또 욕심 부리지 말고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  (11, 20∼21쪽)


  맑은 바람을 마시는 사람은 맑은 바람을 마시는 줄 알기도 하고 모르기도 합니다. 시골에서 태어나서 시골에서만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이녁이 늘 맑은 바람을 마시는 줄 못 알아채기도 합니다. 시골을 벗어나 읍내라든지 다른 도시를 찾아가면 비로소 바람맛을 알아챕니다. 군내버스를 타고 마을을 벗어날 때부터 바람맛이 제 몸에 얼마나 싱그럽게 감도는가 하고 깨닫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맑은 바람보다 매캐한 바람을 더 좋아할 수 있습니다. 참 많은 사람들은 맑은 바람보다 매캐한 바람을 그리거나 반깁니다. 지나치다 싶도록 많은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서울 같은 데에서 돈벌이와 일자리를 찾기를 바라곤 합니다. 맑은 바람보다 돈이 먼저요, 맑은 하늘보다 일자리가 먼저가 됩니다.


  시원한 물을 마시는 사람은 시원한 물을 늘 누리는 줄 알기도 하고 모르기도 합니다. 시골에서 태어나 시골에서만 지내는 사람이라면, 이녁이 언제나 시원한 물을 들이켜는 줄 못 느끼기도 합니다. 시골을 벗어나 면소재지라든지 다른 도시로 마실하면 시나브로 물맛을 알아봅니다. 시외버스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리는 동안 물맛이 제 몸을 얼마나 따사롭게 보듬는가 하고 깨닫기도 합니다.


  그러나, 시원한 물보다 수도물을 더 좋아할 수 있습니다. 아주 많은 사람들은 시원한 물보다 수도물을 그리거나 반깁니다. 너무나도 많은 사람들이 복닥복닥 얼키고설키는 서울 같은 곳에서 꿈을 찾거나 사랑을 노래하겠다고 하지요. 시골에서 시골물 마시면서 꿈을 찾거나 사랑을 노래하려는 이를 만나기란 대단히 어렵습니다.


.. 농약을 칠 때 나가떨어진 벌들을 보고서 아저씨는 이런 생각을 하는 때가 많습니다. ‘그 옛날처럼 농약을 안 치던 시절로 돌아가야만 사람 구실을 하며 살겠구나.’ … 5월에 들어서면서 꽃의 가짓수가 더 많아졌습니다. 어쩌다 모양이 신기하고 예쁜 꽃을 보면 아이들이 이름을 물을 때가 있었는데, 그때마다 ‘모른다’는 말로 대답을 대신해야 하는 선생님은 낯뜨거울 때가 많았습니다 … 날마다 보아 오던 학교 안 나무들도 모르는 것들이 여럿이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우등생이라는 말을 집안 식구들이나 선생님에게 수도 없이 들어왔건만, 지금에 이르러 생각하니 대학을 다닐 때까지 무얼 배웠나 싶었습니다 ..  (24, 43, 44쪽)


  햇볕이 내리쬡니다. 햇볕은 시골사람과 도시사람 모두 따스하게 보듬습니다. 햇볕은 흙지기뿐 아니라 공무원과 공장 일꾼 모두 포근하게 감쌉니다. 햇볕은 학교에도 군대에도 감옥에도 따뜻한 숨결을 베풉니다. 부잣집에만 드리우는 햇볕은 없습니다. 골목집에만 찾아가는 햇볕은 없습니다. 햇볕은 지구별을 골고루 품습니다. 햇볕은 지구별 목숨을 모두 품에 안습니다.


  햇볕은 아파트 높다란 시멘트벽에도 내려앉습니다. 햇볕은 아스팔트 찻길에도 내려앉습니다. 다만, 아파트나 찻길에 내려앉는 햇볕은 새 목숨을 북돋우지 못해요. 아파트에서도 찻길에서도 풀은 돋지 못합니다. 도시에서는 나무를 길가에 심어도 자꾸 가지와 줄기를 뭉텅뭉텅 자르며 괴롭힙니다. 도시에서 자라는 나무는 날마다 고단합니다.


  햇볕은 흙땅에 내려앉고 싶습니다. 햇볕은 풀잎에 내려앉고 싶습니다. 햇볕은 우듬지뿐 아니라 맨 밑에 있는 나뭇가지에 내려앉고 싶습니다.


  햇볕은 딱정벌레 등딱지에 내려앉고 싶습니다. 햇볕은 제비 꽁지에 내려앉고 싶습니다. 햇볕은 개구리 등짝에 내려앉고 싶습니다. 햇볕은 딸기꽃과 앵두꽃에 내려앉고 싶습니다.


.. 물방울이 뚝뚝 듣는 노란 개나리꽃이 햇살 아래에서보다 더 고왔고, 형준이네 집에서는 형준이네 식구들이 이웃 분들과 못자리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 언젠가 나는 여러분의 언니들에게, “왜 너희들은 선생님들 이야기라면 십리 길도 기꺼이 다녀오면서 아버지 어머니가 말씀하시면 부엌에서 물 떠오는 것도 투덜대느냐?”고 야단친 적이 있었습니다 … 우리 아버지 얼굴이 땅빛을 닮기까지엔 하루 이틀의 바람이나 햇빛으론 어림도 없다는 생각이 들고, 그 마디 굵고 굳은살 박힌 거친 손이 하루 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  (29, 34, 35쪽)


  햇볕이 닿는 곳이 바스라집니다. 시멘트담이 삭습니다. 햇볕이 닿는 곳이 보드랍습니다. 돌담이 동글동글 몽글몽글 부드럽게 거듭납니다. 시멘트로 세운 담은 오래지 않아 무너집니다. 돌담은 백 해와 오백 해를 흘러도 고스란히 이어집니다. 햇볕을 받는 높다란 건물은 백 해조차 안 되어 허물어야 합니다. 햇볕을 듬뿍 받아먹는 나무는 천 해와 이천 해를 거뜬히 살아갑니다.


  우리들은 어떤 곳에서 어떤 목숨이 되어 하루를 누리는가요. 우리는 스스로 아름다운 숨결이 되는가요, 아니면 스스로 1회용품이나 소모품이 되는가요.


  해를 바라보고 해를 사랑하며 해한테 웃음 빙그레 흘릴 수 있을 때에 삶이 빛납니다. 해를 마주하고 해에 살갗이 그을리며 해와 어깨동무하면서 일하는 하루일 적에 삶이 눈부십니다.


  쌀밥을 먹는 사람은 해를 먹습니다. 나락 한 톨은 봄부터 가을까지 햇볕을 먹고 자라요. 감자를 먹고 고구마를 먹으며 오이를 먹는 사람은 해를 먹습니다. 감자도 고구마도 오이도 햇볕을 머금으면서 알이 굵습니다.


  수박도 딸기도 모두 해입니다. 살구도 매실도 모두 해입니다. 풀을 먹든 고기를 먹든 우리는 누구나 해를 먹습니다. 해를 먹고 바람을 마시며 빗물을 들이키는 삶이에요. 해를 맞아들이고 바람을 받아들이며 빗물을 고이 품는 삶입니다.


.. 개울 양쪽 산엔 온갖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차 있었습니다. 나무들은 혼자서만 넓은 땅을 차지하려 하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자기들이 서 있는 곳 말고는 풀씨 하나에까지 터를 내주어 함께 살고자 했습니다. 그뿐 아니라 서로 가지를 주고받으며 하늘을 함께 채우고, 키 큰 나무들은 가지를 높이 달아 아래 하늘을 키 작은 나무들에게 내주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숲속엔 늘 평화가 깃들어 있는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 수줍게 빵을 먹는 명자를 보며, 겉으론 안 그런 척하면서도 명자 같은 아이들보다는 공부도 잘하고 옷도 깨끗이 입고 다니는 아이들을 더 예뻐해 주었던 것을 뉘우쳤습니다. 아이들은 누구나 똑같이 선생님의 사랑을 받고 싶어한다는 것을 오늘 명자가 행동으로 가르쳐 준 셈이었습니다 ..  (51, 79쪽)


  임길택 님 동화책 《산골 마을 아이들》(창작과비평사,1990)을 여러 차례 읽고 되읽으면서 생각에 잠깁니다. 멧골자락 조그마한 학교에서 자그마한 아이들과 함께 웃고 울고 뒹굴고 노래하고 춤추고 꿈꾸던 작은 어른 한 사람 삶을 가만히 그립니다. 수수하고 투박한 교사 한 사람은 어떻게 동화를 쓸 수 있었을까요. 시골내기는 하나같이 시골을 미워하며 도시를 떠나던 때에, 어떻게 시골을 노래하고 멧골을 이야기하는 동화를 쓸 수 있었을까요.


.. 아버지는 순미의 청에 못 이겨 고구마를 받더니 이렇게 말했다. “순미도 이젠 이름 쓰는 걸 배워야 내년에 학교엘 가지.” “학교 가면 선생님이 매 때린다는데 가기 싫어요.” … 아버지가 순미 손을 잡고 ‘김순미’를 한 번 써 주자, 연우가 저도 하겠다고 떼를 써서 아버지는 다시 공책과 연필을 꺼내 연우에게도 똑같이 해 주었다 … 차가 닿자 보따리 가득가득 선물 꾸러미를 채워 든 언니 오빠 들이 차에서 내렸다. 그러나 끝이 없을 듯 내려오던 그 많은 사람들 가운데서도 할머니가 기다리는 수정이네 식구는 없었다. 할머니는 차가 떠나가고 사람들도 뿔뿔이 흩어진 뒤에야 가장 늦게 자리를 떴다. 선희가 언니와 보따리를 같이 들고 오다 뒤돌아보니, 할머니와는 거리가 점점 더 멀어지고 있었다. “선희야, 공부 잘하나?” “그저 그래.” “형부가 니 공부 잘하면 중학을 서울로 보내 준다는데.” “싫어!”  ..  (95, 96, 148∼149쪽)


  서울로 떠난 사람은 시골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아니, 죽어서 재가 되면 시골로 돌아오곤 합니다. 시골에서 태어났어도 시골을 떠나면, 시골내기 아닌 도시내기가 됩니다. 주민등록을 옮기고 새 호적을 만듭니다. 시골에서 쓰던 말씨를 버리고 도시내기 말씨가 됩니다. 시골에서 흙 만지던 삶은 잊고 도시에서 흙하고 동떨어진 채 살아갑니다. 밥과 국과 나물과 열매와 남새가 모두 시골흙에서 자라는 줄 까맣게 잊는 도시내기가 되는 시골내기입니다. 해와 바람과 비가 흙과 풀을 보듬으면서 우리들이 밥을 먹고 옷을 입으며 집에서 쉴 수 있는 줄 잊는 시골내기입니다. 도시내기한테 시골살이를 알려주지 못하고 가르치지 않는 시골내기입니다.


  오늘날 ‘시골내기’나 ‘촌놈’이라는 낱말은 손가락질받는 이름입니다. 오늘날 ‘바지저고리’나 ‘핫바지’라는 낱말은 바보스럽다고 여기는 이름입니다. 시골사람이 시골사람 스스로 깎아내립니다. 시골사람이 시골사람 스스로 살리거나 북돋우거나 아끼지 못합니다. 도시사람도 시골사람을 아끼지 않고, 도시사람 가운데 시골사람으로 살겠다고 나서는 이도 매우 드뭅니다. 이런 흐름이 아주 드세고 짙은데, 스스로 멧골마을에 남아 멧골학교 교사가 되어 멧골마을 아이들이랑 어깨동무하면서 일하고 놀려 하던 임길택이라는 작은 어른 한 사람은 어떤 마음빛이었을까요.


.. “모심는 손이 무릎에서 놀면 무릎이 썩어 시집도 못 간다.” 지은이 아버지가 정아를 보고 농담을 하였다. 정아는 그러지 않으려 애를 썼으나 이번엔 네 포기도 못 심고 “아이고 허리야.” 하는 소리를 그만 입 밖에 내고 말았다. 밤마다 어머니가 허리를 밟아 달라는 까닭을 이제 알 수 있을 것만 같았다 ..  (190쪽)


  시골에 흐르는 빛을 먹습니다. 밥 한 그릇에 시골빛이 그득합니다. 서울 한복판에 있는 으리으리한 호텔에서 먹는 밥이라 하더라도, 이 밥그릇에는 시골내음이 고소합니다. 참말 시골내음과 시골맛이 없이는 어디에서라도 밥을 먹지 못해요. 청와대라서 시골내음 없는 밥차림이 될까요? 시골내음 없는 밥차림이라면 햄버거와 피자와 과자와 청량음료만 놓아야겠지요. 대통령께서, 국회의원께서, 법관께서, 의사께서, 교수께서, 전문가께서, 학자께서, 기자께서 시골내음 없는 밥을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먹으면서 살아갈 수 있을까 궁금해요. 시장께서, 군수께서, 핵발전소 연구자께서, 군대 간부께서, 전쟁무기 과학자께서, 평론가께서, 시인께서 시골빛 없는 밥을 날마다 두어 끼니 먹으라 하면 얼마나 맛나게 잘 드실는지 궁금해요.


  시골에 살든 도시에 살든, 우리는 모두 시골밥을 먹습니다. 과자 한 봉지조차 시골에서 감자를 캐거나 양파를 캐니 만들 수 있습니다. 피자이든 빵이든 시골에서 밀을 거두고 보리를 거두니 구울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시골에 기대어 살아갑니다. 시골에서 내처 살아가든 도시로 나와 살아가든, 모든 사람은 시골을 먹습니다. 햇볕과 바람과 빗물이 흙을 적실 때에 사람들이 삶을 가꾸고 문화를 이루며 문명을 닦습니다. 햇볕과 바람과 빗물이 드리울 흙이 없으면, 사람은 모두 죽습니다. 햇볕과 바람과 빗물이 싱그러이 드리우면서 흙을 보살피고 풀과 나무가 우거져 숲이 빛나면, 바야흐로 사람은 우람한 나무처럼 오래오래 아름답게 살아갑니다. 4347.4.1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어린이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