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닷컴’에 글을 쓰기로 하다
지난주에 〈전라도닷컴〉 황풍년 대표님 전화를 받는다. 지난달에 내놓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즐겁게 받으셨다고 말씀한다. 그 책을 읽으면서 다음달부터 〈전라도닷컴〉에 내 글을 함께 실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말씀한다. 고마운 말씀이라고 여겨 다음달 호부터 글을 쓰겠다고 얘기한다.
전화를 마친 뒤 곰곰이 헤아린다. 나는 강준만 님이 꽤 예전에 쓴 글을 읽고 〈전라도닷컴〉이라는 잡지를 알았다. 이 잡지가 갓 나올 무렵이었다고 느낀다. 서울과 인천에서 살며 〈전라도닷컴〉을 보았을 적에 참 놀랍고 대단하며 재미있는데다가 아기자기하다고 느꼈다. 이런 잡지가 전라도뿐 아니라 경상도와 충청도와 경기도와 서울과 인천에서 저마다 다른 빛으로 나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하고 생각했다. 이름나거나 잘난 사람들 이야기 아닌, 수수하며 투박한 사람들 이야기를 다룰 줄 아는 예쁜 잡지가 이 나라 곳곳에서 나오면 더없이 사랑스러우리라 생각했다.
무엇보다도 〈전라도닷컴〉에서는 시골마을이 무대이고 시골사람이 주인공이다. 농협에서 펴내는 잡지조차 시골마을이나 시골사람을 한복판에 놓지 못한다. 생태와 환경을 다룬다는 단체나 기관에서 선보이는 잡지마저 시골마을이나 시골사람 눈높이에서 글과 사진과 이야기를 엮지 못한다. 한국에 꼭 하나 있는 시골빛 감도는 잡지는 〈전라도닷컴〉이다. 전라도라는 곳이 재미있고 대단하다고 새삼스레 생각했다.
이렇게 생각하며 살다가 2011년 가을에 전라남도 고흥으로 보금자리를 옮겼다. 보금자리를 전라도로 옮기면서 〈전라도닷컴〉을 정기구독 했다. 이달로 정기구독 기간이 끝나 정기구독을 이으려 생각하는데, 마침 ‘글 부탁’을 받는다.
우리 식구는 주민등록이 전라도이다. 마땅한 노릇이지. 우리 식구는 전라도사람이다. 아무렴. 그런데 무언가 한 가지 아쉽다고 늘 느꼈다. 무엇인지 잘 알 수 없는 아쉬움이 언제나 한 가지 있었다. 그 무엇이 무엇이었을까. 그 무엇을 푸는 실마리를 무엇이었을까.
〈전라도닷컴〉에 글을 쓸 수 있는 이즈음에 ‘이제부터 참말 전라도사람이네’ 하고 느낀다. 오래오래 즐겁게 쓰자. 시골을 사랑하고 전라도를 아끼는 노래를 부르자. 한국을 어루만지고 지구별을 춤추는 이야기를 엮자. 4347.4.13.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