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글’ 쓰기는 힘들다

 


  사과글 쓰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스스로 잘못했다는 생각이 없기 때문이다. 사과글 쓰기는 쉽다. 왜냐하면, 스스로 잘못했구나 하고 깨달았기 때문이다. 사과글 쓰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나 스스로 잘못했다기보다 다른 사람 말을 듣고 따라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스스로 잘못하지 않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사과글 쓰기는 쉽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 말을 듣고 따라했어도 잘못을 한 사람은 바로 나인 줄 깨닫기 때문이다. 참거짓을 스스로 살피지 않고 다른 사람 말을 따르기만 하는 일이 얼마나 큰 잘못인 줄 깨닫기 때문이다.


  짓궂게 구는 아이들이 여린 아이 하나를 괴롭힌다. 이 아이들 옆에서 나도 따돌림을 안 받으려고 한손을 거들어 여린 아이를 괴롭히거나 이런 짓을 못 본 척하고 넘어간다. 이때에 ‘남을 따라하’거나 ‘못 본 척하고 지나가’는 나는 잘못이 없다고 할 만할까?


  어느 한 사람을 가리켜 사람들이 이러쿵저러쿵 떠든다. 나도 다른 사람들이 떠드는 소리를 듣고 ‘그래, 그렇구나.’ 하고 여기며, 이런 소문을 퍼뜨린다. 그런데 나중에 이런 소문이 잘못 불거졌으며 올바르지 않다고 드러난다. 이때에 나는 ‘다른 사람이 퍼뜨린 소문을 듣고 말했’으니 아무 잘못이 없다고 할 만할까?

 

 * * *


  어느 신문에 글을 쓰는 분이 있다. 이분이 글을 잘못 써서 내가 크게 피해를 입었다. 그런데 이분은 그 피해가 ‘보도자료를 보고 쓴 글’이기 때문에 이녁으로서는 잘못하지 않았다고 한다. 나한테 사과할 일이 없다고 한다. 다만, 글을 바로잡기는 하겠다고 한다.


  엎질러진 물을 ‘정정보도’로 얼마나 주워담을 만한지 궁금하기도 하다. 진보매체는 으레 말하지 않는가. ㅈㅈㄷ신문이 잘못 쓴 글을 나중에 코딱지만 한 크기로 정정보도를 내고 끝낸다고. 정정보도 또한 처음 잘못 쓴 기사 못지않게 크게 다루어서 널리 알려야 조금이나무 잘못을 주워담을 수 있지 않나?
  꼭 이러하기 때문은 아니지만, 조선일보가 보도자료를 그대로 베껴서 쓰며 잘못된 기사를 퍼뜨리면 어떠한 일을 저지른 셈일까? 스스로 진보매체라고 여기는 신문이라 한다면, ‘보도자료에 기대어 잘못 쓴 글’을 곧이곧대로 받아쓰면서 잘못을 저질러도 괜찮을까? 참과 거짓을 제대로 살피지 않고 기사로 내보낸 일을 놓고 스스로 무엇을 잘못했는지 느끼려는 마음이 없는가?


  기사를 바로잡아야 한다면 왜 바로잡는가? 누군가 잘못했기 때문일 테지. 그러면 누가 잘못했을까? 보도자료를 쓴 사람만 잘못했는가? 잘못 쓴 보도자료를 고스란히 베껴서 쓴 사람은 잘못이 없는가? 스스로 진보매체라고 밝히지만, 정작 진보스럽거나 진보다운 몸가짐이 아닌 이들을 보면 서글프다. 4347.3.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03-24 18: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4-03-24 19:47   좋아요 0 | URL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 다 괜찮으리라 생각했는데,
'그리 믿은' 매체는 아니었으나
스스로 '진보라고 내세우는 매체'한테 또 한 번 뒷통수를 맞으니
참 쓸쓸해요.
그네들이 비판해 마지 않는 ㅈㅈㄷ보다도 못한 짓을 왜 자꾸 하는지 궁금해요.

서로 아끼고 좋아하면서
고운 마음과 사랑을 나누며 살아가기란
... 아직 힘든 사람들이 많구나 싶기도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