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회 아재는 왜 ‘판검사’ 못 되었는가

 


  오늘 낮 읍내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고흥 농민회 아재를 여럿 만났다. 농민회 아재들은 우리 아이를 보고는 “유치원에 안 가재라?” 하고 묻고는, “유치원에 가야 규율에 길들면서 판검사가 될 텐데라.” 하고 덧붙인다. 그러고는 “우리도 어릴 적에 규율에 길들지 않고 살아서 이렇게 판검사가 안 되었제라.” 하고 마무리짓는다.


  우스갯소리로 들려준 이야기인데, 곰곰이 생각해 보니 참 그렇다. 학교를 다니면서 학교 규율과 규칙에 길들거나 갇힌 아이들은 시험성적이 잘 나온다. 시험성적이 잘 나와 이름값 높은 대학교에 들어가면, 돈값 높은 일터로 가곤 한다. 판사도 되고 검사도 되며 정치꾼이나 대통령이 되기도 한다.


  규율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신나게 뛰놀던 아이들 가운데에도 학교에서 시험성적 잘 나오는 아이가 있을 테고, 이름값 높은 대학교에 가는 아이가 있을 테며, 판사나 검사가 되는 아이가 있으리라. 그렇지만 아주 드물다고 느낀다. 신나게 놀며 자라던 아이가 재미없게 판검사 되는 길을 걸으리라고는 느끼지 않는다. 다만, 신나게 놀며 자라던 아이가 판검사가 된다면, 판검사 일을 신나게 놀듯이 하겠지.


  유치원에 다니지 않는 우리 집 아이들은 아주 개구쟁이로 논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쉬지 않고 뛰고 달리며 노래하고 소리지른다. 가만히 앉지 않는다. 이 아이들은 유치원은커녕 학교에도 갈 수 없다. 뛰노는 즐거움을 알기 때문에, 책상맡에 꼼짝 않고 앉아서 한 시간 두 시간 …… 이렇게 보내지 못한다. 어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이 아이들을 하루 내내 뛰놀도록 하는가. 어느 초등학교나 중·고등학교가 아이들이 신나게 뛰놀도록 가르치는가.


  나는 우리 집 아이들이 판검사가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나는 우리 집 아이들이 국회의원이나 군수나 대통령이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나는 우리 집 아이들이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우리 집 아이들은 스스로 아름다운 빛이 되고 고운 사랑이 되기를 바란다. 우리 집 아이들은 저마다 맑은 꿈과 밝은 이야기가 되기를 바란다.


  규율을 만든 사람은 사람들을 가두려 한다. 규칙을 만든 사람은 사람들을 얽매려 한다. 사랑을 좋아하는 사람은 서로를 아낀다. 꿈을 좋아하는 사람은 서로 어깨동무를 한다. 우리 아이들뿐 아니라 이웃 모든 아이들이 사랑과 꿈을 바라보면서 까르르 웃고 뛰놀 수 있기를 빈다. 온누리 아이들 모두 ‘회사원’이나 ‘공무원’ 아닌, 착하고 참다우면서 아름다운 숨결로 살아갈 수 있기를 빈다. 4347.2.12.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책과 헌책방과 삶)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ren 2014-02-13 10:49   좋아요 1 | URL
시골에서 사시는 많은 분들이 결국 '자녀 교육' 때문에 도시로 이사하는 경우를 오랫동안 정말 많이 봐왔어요. 저희 부모님께서도 고향에서 대대로 농사를 지으시다가 우리 형제들이 서울로 계속 진학하자 결국 남은 동생들을 데리고 서울로 이사하셨구요. 그게 벌써 30년 전 일이네요.

수년 전 저와 함께 '백두산'을 함께 다녀온 대학친구 한 녀석은 오래 전에 시골에 가서 살기로 작정하고, 가족들을 모두 데리고 훌쩍 '일산'을 떠나 지리산 실상사 부근에서 터를 잡았었는데, 고작 몇 년을 버티지 못하고 결국 '자녀 교육' 때문에 다시 일산으로 되돌아왔어요.

많은 부모들이 더 좋은 교육을 시키기 위해 대도시로, 심지어는 '기러기 아빠'를 감수하고 해외 유학까지 보내는 현실을 감안하면 함께살기 님과 같은 경우는 참으로 놀라운 예외가 아닐까 싶네요.

숲노래 2014-02-13 11:30   좋아요 1 | URL
'더 좋은'을 누구나 생각할 텐데,
무엇이 '더 좋은'인지까지
깊이 헤아리는 분은 드물지 싶어요.

'대학교에 더 잘 붙는'이라든지
'회사나 공공기관 취직이 더 잘 되는'을 살피는
'더 좋은'이라면,
이런 것은
아이가 아닌 어른이 욕심으로 꾀하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해요.

생각해 보면,
아이 못지않게
저도 즐겁게 놀고 싶어서
시골로 왔구나 싶어요 ^^

oren 2014-02-13 11:59   좋아요 1 | URL
자식 교육을 위해 아예 살림을 큰 도시로 옮기는 건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더 깊은 학문을 위해 이나라 저나라로 유학을 가고 오는 것도 또한 흔한 일이고요. 그런데 자녀 교육을 위해 '가족이 해체되는 수준의 노고'를 감수하고 해외 유학에 올인하는 경우는 저 역시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더군요.

더 큰 배움을 위해 머나먼 유학길에 오른 경우는 수천 년 전부터 있어왔던 극히 자연스런 일이겠지만, 자식 교육 때문에 '이민'도 아닌, '기러기 아빠'만 홀로 머나먼 고국에 남겨둔 경우는 인류 역사상 일찌기 유례가 없었지 않나 싶습니다.

저 또한 처사촌 가족들이 미국에서 오래 터를 잡고 살고 있는 덕분(?)에 하마터면 졸지에 '기러기 아빠'가 될 뻔한 적이 있었습니다만, 제가 극구 '저항'하는 바람에 간신히 그런 처지를 면한 적이 있는데, 요즘엔 아이들만 해외에 남겨두고 결국 우리나라로 되돌아오는 경우를 주변에서 무척이나 자주 보게 됩니다.

미국에서 30년 이상을 살았던 처남도 작년에 (거기서 태어나고 자란) 아이들만 남겨두고 한국으로 되돌아 왔던데, 이곳에선 살기가 무척 힘들다고 자주 하소연을 하더군요. 미국에서 목사를 하다가 돌아와 신학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도무지 '학생들의 마인드'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데가 너무나 많다고 말입니다.

숲노래 2014-02-13 12:44   좋아요 1 | URL
앞으로는, 아니 이제부터는
아이들도 살리고 어른들도 살도록
'도시나 시골'이라는 금긋기를 넘어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터전'에 보금자리를 마련해서
서로 즐겁게 꿈꿀 수 있기를 빌어요.

이렇게 해야지 참말 아름다운 이야기로
온누리가 빛날 테니까요.

교육은 아이들만 할 일이 아니라,
어른도 누구나 새로 배우는 만큼
즐겁게 배우고 가르치는 길을 찾아야 하리라 느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