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람 100만 원 책읽기

 


  요 한 주 사이 면사무소에서 ‘논둑과 밭둑에 불 지르지 마라’는 방송을 날마다 해댄다. 산불로 옮겨 붙을 수 있다면서, 쓰레기를 태울 때뿐 아니라 논둑이나 밭둑에 불을 붙일 때에도 벌금을 100만 원씩 물리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그렇지만, 우리 마을이나 이웃 여러 마을 모두 논둑과 밭둑에 불을 놓는다. 논 한복판에도 불을 놓는다. 다른 시골보다 한결 따스한 고흥에서는 이즈음부터 논둑이며 밭둑이며 ‘수많은 풀’이 싹틀 즈음이니, 꼭 요즈음에 불을 놓는다. 마을사람으로서는 불을 놓으면 농약을 덜 쳐도 되고, 풀이 탄 재가 거름 노릇을 하니 좋다고 여긴다. 이와 달리 면사무소 공무원은 ‘산불 막기’만을 이야기한다.


  집에서 빨래를 하는데 면사무소 방송이 또 들린다. 복복 비빔질을 하면서 곰곰이 생각해 본다. 고흥에서는 ‘친환경농업’을 한다면서 여러모로 이름을 내걸지만, 막상 친환경농업에 걸맞는 정책이나 대책을 군청이나 면사무소에서 내놓지 않는다. 기껏 하는 일이란 ‘친환경 농약’을 돈 주고 사다가 뿌리라고 하는 말뿐이다. 논둑과 밭둑에서 돋는 풀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논둑과 밭둑에는 어떤 풀이 돋을까?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풀이 논둑과 밭둑에 돋을까? 우리들이 나물로 먹는 풀이 논둑이나 밭둑에 돋을까?


  논임자나 밭임자라 하더라도 모닥불조차 피우지 못하게 한다고, 벌금 100만 원을 물리겠다고 하는 으름장은 누구 머리에서 나온 생각일까 궁금하다. 군청과 면사무소, 여기에 농협까지, 이들은 시골마을 사람들이 시골 논밭과 흙을 어떻게 다루거나 건사하기를 바라는 마음일까 궁금하다. 4347.1.2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