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42] 흙과 하늘과
놀이
― 삶을 배우는 길
흙이 있어 풀이 자랍니다. 풀이 자라며 나무가 튼튼합니다. 나무가 튼튼하면서 바람이 싱그럽습니다. 바람이 싱그러우면서 숲이
우거집니다. 숲이 우거지면서 냇물이 맑습니다. 냇물이 맑으면서 물고기 노닙니다. 물고기 노닐면서 들을 적십니다. 들을 적시며 푸른 숨결
넘칩니다. 푸른 숨결 넘치면서 갯벌이 드넓습니다. 갯벌이 드넓으면서 파다가 파랗습니다. 파다가 파랗게 빛나면서 하늘 또한 파랗게 빛납니다.
하늘이 파랗게 빛나면서 구름이 하얗습니다. 구름이 하야면서 빗물이 시원합니다. 빗물이 시원하면서 무지개가 피어오릅니다. 무지개가 피어오르면서
별빛이 환합니다. 별빛이 환하면서 햇볕이 따사롭습니다. 햇볕이 따사로우면서 사람들이 즐겁게 살아갑니다.
흙을 만지며 노는 아이는 지구별을 온몸으로 느낍니다. 지구별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생각을 넓히고 몸을 살찌웁니다.
흙 한 줌은 풀이 됩니다. 풀은 나무가 됩니다. 나무는 바람이 됩니다. 바람은 숲이 되고 냇물이 되며 물고기 되다가는 흐르고
흘러서 고운 사랑으로 빛나는 숨결로 깃듭니다. 너른 우주로 돌아본다면 지구별이란 작은 흙알갱이 하나와 같을 수 있어요. 우리가 손으로 만지는
흙알갱이 하나는 어쩌면 지구별 하나와 같은 숨결일 수 있어요.
먹는 대로 똥을 누고, 마시는 대로 오줌을 눕니다. 풀을 먹으니 풀똥을 누고, 샘물을 마시니 샘물 같은 오줌을 눕니다. 나뭇잎은
가랑잎 되어 나무를 살찌우는 거름이 됩니다. 우리가 누는 똥오줌은 다시 우리가 먹을 풀밥을 고소하게 살찌우는 거름이 되어 흙으로 갑니다. 아이들
웃음은 어버이한테 돌아옵니다. 어버이 웃음은 아이한테 스며듭니다. 아이들 놀이는 어버이 일거리로 젖어듭니다. 어버이가 즐겁게 하는 일은 아이들
놀이로 깃듭니다.
흙을 보고 만지기에 놀이가 됩니다. 흙을 보고 만지며 일을 익힙니다. 흙을 보고 만지는 사이 삶을 깨닫습니다. 흙을 보고 만지는
동안 서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하루를 누립니다. 4347.1.24.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