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키x츠바사 2
타카하시 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303

 


마음을 읽을 때에 사랑
― 유키×츠바사 1
 타카하시 신 글·그림
 편집부 번역
 대원씨아이 펴냄, 201.2.28.

 


  마음을 읽을 때에 사랑입니다. 마음을 읽으니 사랑입니다. 마음을 읽는 사람들은 애틋한 사랑과 따사로운 사랑을 속삭입니다. 마음을 읽는 사람들은 넓은 사랑과 깊은 사랑을 베풉니다.


  마음을 읽기에 사랑이 자랍니다. 마음을 읽으면서 사랑을 키웁니다. 이 땅에 민주와 평화와 자유와 평등이 있다면, 서로 마음을 읽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땅에 민주가 없거나 평화가 없다면, 서로 마음을 안 읽기 때문이지 싶어요.


  마음을 읽지 않으면서 사랑을 하지 못합니다. 마음을 안 읽는데 사랑으로 흐르지 않아요. 마음을 안 읽는 동안 미움이나 다툼이 불거집니다. 마음을 안 읽으니 전쟁과 푸대접과 따돌림이 판칩니다. 괴롭힘과 해코지도 서로 마음을 안 읽는 사람이 일으킵니다.


- ‘내 목소리, 누군가에게 닿지 않으려나? 목소리를 잃어버렸지만, 더럽혀지고 너덜너덜해져 외톨이가 된 내 울음소리에 그날, 츠바사가 알아차려 준 것처럼. 부디 나의 이 작은 힘과 함께해 줘.’ (8∼9쪽)
- ‘강간범 따위는 그냥 죽었어야 되는데. 아아, 그래, 만약 내가 거기에 있었다면, 응, 내 초능력으로 죽였을지도 몰라. 그런 인간.’ (58쪽)

 

 

 


  마음을 읽어야 서로 어깨동무를 합니다. 마음을 읽어야 두레를 하고 품앗이를 합니다. 마음을 읽으면서 마을을 가꾸고, 마음을 읽는 동안 숲과 들을 푸르게 돌봅니다.


  마음을 안 읽는다면 서로 어깨동무를 안 하겠지요. 마음을 안 읽는 사람들이 두레나 품앗이를 할 까닭이 없어요. 마음을 안 읽으니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리기도 하지만, 쓰레기를 자꾸 내놓는 물건을 끝없이 만듭니다.


  풀이 들려주는 소리를 들어 보셔요. 나무가 외치는 소리를 들어 보셔요. 냇물과 바다가 앓는 소리를 들어 보셔요. 풀벌레와 멧새가 아프게 지르는 소리를 들어 보셔요.


  풀마음을 읽고, 나무마음을 읽으며, 냇물마음과 바다마음을 읽을 때에, 비로소 이 지구별에 사랑이 싹틉니다. 풀벌레와 멧새가 어떤 마음인가를 읽을 때에, 바야흐로 이 땅에 아름다운 빛이 흐릅니다.


- ‘너, 왜, 울고 있니? 불쌍하게.’ (29쪽)
- “어릴 적, 여기처럼 눈이 많이 오는 데에 살지 않았을 때, 눈사람 만들고 하도 기뻐서, 눈사람한테 목도리를 둘러 줬는디, 집으로 돌아가 엄니한테 죽도록 얻어터졌다 아이가.” (86쪽)

 

 

 

 


  타카하시 신 님이 빚은 만화책 《유키×츠바사》(대원씨아이,2013) 둘째 권을 읽으며 곰곰이 생각합니다.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아이가 나오고, 목소리를 좀처럼 안 내려는 아이가 나옵니다. 둘은 굳이 입을 안 엽니다. 하나는 목소리를 못 내고, 다른 하나는 목소리를 내고 싶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둘은 마음으로 이야기를 나눠요. 마음으로 사랑을 속삭이고, 마음으로 노래를 부릅니다. 마음속에서 피어나는 사랑이 꿈틀거립니다. 마음에서 자라는 꿈이 있어요.


- ‘선배가 마음속으로 하는 말은 나한테밖에 안 들려서, 가끔 너무나 창피하다. 그런데, 너뮤 유치하고 창피하지만, 두근두근 설렌다.’ (113쪽)
- ‘덕분에 바보 같은 나도 깨달았다. 선배가 그토록 도둑맞은 악기를 찾고 싶어하는 이유. 선배에게 이 악기는 목소리라는 걸. 언제나 언제나 이렇게 큰 목소리로 자신이 여기에 있다고 부르짖었다는 걸. 마치 노래처럼.’ (152쪽)


  사랑이란 무엇일까요. 목이 터져라 입으로 외치면 사랑일까요. 민주란 무엇일까요. 정당 이름에 넣거나 기자회견을 하면서 내세우면 민주일까요. 평등이란 무엇일까요. 남들 앞에서 보여주거나 말하면 평등일까요. 교육이란 무엇일까요. 학교에 넣기만 하면 교육일까요. 농사란 무엇일까요. 농약을 치든 화학비료를 뿌리든 아무튼 땅에서 거두기만 하면 농사일까요.


- ‘하지만 내 마음 저 밑바닥에선 분명 선배의 그 깊숙한 내면을 알고 싶었나 보다.’ (204∼205쪽)


  마음을 알기에 사랑이 됩니다. 마음을 알려고 하지 않으니 사랑이 안 됩니다. 마음을 아끼기에 사랑으로 자랍니다. 마음을 아끼려 하지 않으니 사랑이 안 됩니다. 마음을 보듬고 보살피려는 눈빛이 맑기에 사랑이 됩니다. 마음을 보듬으려 하지 않고 보살피려 하지 않으니 흐리멍덩한 눈빛이 되고 말아 사랑하고 멀어집니다.


  그리고, 마음을 알 때에 민주를 이룹니다. 마음을 나누면서 평화로 나아갑니다. 마음을 보듬으면서 정치도 교육도 경제도 문화도 복지도 올바로 세웁니다. 마음을 보살피지 않는 이들은 아무것도 못 합니다. 마음을 따스하게 품지 않는 동안에는 스스로 무너집니다.


  마음을 열어 사랑을 해요. 그래야 함께 웃습니다. 마음을 활짝 펼쳐 꿈을 키워야. 그래야 서로 즐겁습니다. 4347.1.11.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만화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