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아무나 쓰는가
책은 아무나 쓴다. 쓰고 싶은 이야기가 가슴속에서 샘솟는다면, 책은 어느 누구라도 쓴다. 책은 아무나 못 쓴다. 쓰고 싶은 이야기가 가슴속에서 샘솟지 않으면, 아무리 이름난 글쟁이라 할지라도 책은 함부로 못 쓴다.
책은 아무나 쓴다. 재벌 우두머리도 쓰고, 대통령도 쓰며, 시장이나 군수나 의사나 변호사도 쓴다. 시골 할매도 쓰고, 집에서 아이를 돌보는 어머니도 쓰며, 유치원 교사도 쓴다. 초등학교 어린이도 쓰고, 청소 일꾼도 쓰며, 바다에서 고기를 낚는 일꾼도 쓴다. 꼭 작가나 시인이나 소설가나 교수나 학자만 책을 쓰란 법이 없다.
책은 아무나 못 쓴다. 시인이기에 시집을 내야 하지 않는다. 사진가라서 사진책을 내야 하지 않는다. 학자라서 논문책이나 학술책을 내야 하지 않는다. 하고픈 말이 없이 실적쌓기를 할 생각으로 내는 책은 책이라 할 수 없다. 나누고 싶은 빛이 없이 이름쌓기를 할 뜻으로 내는 책은 책이 되지 않는다. 지구별을 사랑하는 넋이 없이 돈쌓기를 할 마음으로 내는 책은 책꼴은 갖추되 책이라는 이름을 얻지 못한다.
책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삶이 있어야지. 책에 담을 이야기를 온몸으로 부대낀 삶이 있어야지.
요즈음은 ‘책을 말하는 책’이 곧잘 나온다. 스스로 다리품을 팔지 않고도 ‘책 몇 권 뒤적이거나 읽은 다음’ 이럭저럭 자료와 정보를 추슬러서 내는 ‘책을 말하는 책’이 더러 나온다.
책을 내겠다고 하는 사람을 말릴 수 없고, 말릴 까닭이 없다.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하다. 죽어서 이 땅에 없는 사람 이야기를 쓴다면, 책이나 신문 같은 자료만 남았을 테니, 죽은 사람 이야기는 책을 뒤져서 쓸밖에 없다고 할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안 죽고 멀쩡히 살아서 움직이는 사람 이야기를 쓸 때에는? 이때에도 책만 뒤져서 어느 한 사람 이야기를 쓸 만할까? 멀쩡히 살아서 날마다 새로운 빛을 일구는 사람 이야기를, 이녁을 안 만난 채 써도 될 만할까?
쉽게 쓰는 책을 쉽게 읽으리라 본다. 쉽게 써서 쉽게 읽히는 책은 쉽게 잊히거나 사라지리라 본다. ‘알아듣기 쉽게 쓰는 글’과 ‘깊이 생각을 가다듬지 않은 채 쉽게 쓰는 글’은 사뭇 다르다. 죽어서 이 땅에 없는 사람 이야기를 쓰더라도, 죽은 그이가 살아서 움직이던 곳을 찾아가서 가만히 돌아보고 난 뒤에 쓰는 글이랑, 죽은 그이가 남긴 글조각만 붙잡으면서 쓰는 글은 매우 다르다. 오늘날은 인터넷 시대라 할 테니, 인터넷만 뒤져도 ‘멀쩡히 살아서 움직이는 사람이 그때그때 쓴 글’을 손쉽게 뒤져서 읽을 수 있기도 하다. 어쩌면 ‘굳이 안 만나고도 인터넷 살피기’만으로도 ‘마치 만난 듯이’ 글을 쓸 만하기도 하다.
참말, 책을 아무나 쓰는 때가 되었구나 싶다. 책을 아무나 쓰면서 아무나 책을 읽는 때가 되었구나 싶다. 곰곰이 헤아려 본다. ‘아무나 책을 쓰는’ 우리 모습은 어쩐지 슬프거나 안쓰럽지 않은가? ‘아무나’나 아니라 ‘누구나’로 거듭나고, ‘누구나’에서 ‘모두’로 다시 태어날 적에 즐거우면서 아름답지 않을까? ‘누구나 책을 쓰’고 ‘누구나 책을 읽’으면서, ‘모두 책을 쓸 수 있’고 ‘모두 책을 즐길 수 있’는 삶을 맞이할 때에, 비로소 이 땅에 즐거운 웃음과 아름다운 사랑이 꽃피우지 않으려나? 4347.1.11.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