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가운 상말
 620 : 안고수비

 

제 농사 솜씨에 자신이 없는 나는 그 말에 단호하게 “아니야” 하지 못하는데 아랫집 형님까지 꽃만 봐도 좋지 뭘, 하면서 나의 ‘안고수비(眼高手卑)’를 위로한다
《유소림-퇴곡리 반딧불이》(녹색평론사,2008) 88쪽

 

  “솜씨에 자신(自信)이 없는”은 “솜씨에 믿음이 없는”이나 “솜씨를 못 믿는”으로 다듬고, ‘단호(斷乎)하게’는 ‘다부지게’나 ‘똑부러지게’로 다듬습니다. ‘나의’는 ‘내’로 바로잡습니다. ‘위로(慰勞)한다’는 ‘달랜다’나 ‘다독인다’로 손질합니다.


  한자말 ‘안고수비(眼高手卑)’는 “눈은 높으나 솜씨는 서투르다는 뜻으로, 이상만 높고 실천이 따르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라 합니다. 말뜻을 살피면 이러한 말을 쓸 만도 할 테지만, 이 한자말을 한글로 적는들 알아볼 수 없고, 한자를 밝혀도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어느 지식인이 말한 ‘똘레랑스’도 이런 느낌이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같은 말도 이런 느낌이에요. 한국사람은 한국사람이 서로 잘 알아듣도록 쉽고 알맞으며 곱게 이야기를 나눌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나의 ‘안고수비(眼高手卑)’를 위로한다
→ 눈만 높고 일이 서툰 나를 달랜다
→ 눈은 높지만 일은 서툰 나를 다독인다
 …

 

  보기글을 헤아리면, “할 줄 모르지만 하고 싶은 마음”을 나타내려 했구나 싶습니다. 어떤 씨앗을 심어서 길러야 하는데, 이렇게 심어서 기르는 솜씨가 서툴기에 입맛만 다시는 모습이고, 이를 본 이웃 형님이 다독다독 품는구나 싶어요. 이런 느낌은 이러한 느낌대로 “할 줄 모르지만 하고 싶은 내 마음을 달랜다”처럼 적으면 됩니다. 시골에서 흙을 만지는 삶은 빼어난 솜씨가 있어서 아름답거나 빛나지 않아요. 꾸밈없이 흙을 만나고 사귀면서 즐겁게 누리면 스스로 아름답습니다. 흙을 닮고 흙내음 풍기는 시골스러운 말로 글빛을 밝히기를 빌어요. 4346.12.12.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제 농사 솜씨를 못 믿는 나는 그 말에 똑부러지게 “아니야” 하지 못하는데 아랫집 형님까지 꽃만 봐도 좋지 뭘, 하면서 눈은 높지만 일은 서툰 나를 다독인다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