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전을 아무리 신나게 들여다보아도 이 낱말이

서로 어떻게 다른 자리에 쓰는가를 알 길이 없습니다.

여러 시대에 나온 여러 사전을 두루 살필 때에

비로소 말뜻과 말느낌을 제대로 갈라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겨우
  “힘을 들여서 어렵게”와 “넉넉하지 못하기에 잘해 보았자 얼마 되지 않는”을 뜻하는 ‘겨우’는 “눈길을 겨우 헤치고 왔다”나 “이 책을 겨우 읽었다”라든지 “너는 하루 내내 밭을 겨우 이만큼 맸구나”나 “배고픈데 밥을 겨우 이만큼 주나요”처럼 씁니다.


고작
  “좋거나 크게 보려 하지만 아무것이 아님”과 “애써서 따지거나 헤아려 보았자”를 뜻하는 ‘고작’은 “아침부터 걸었지만 십 리 걸음이 고작이었다”라든지 “고작 밥과 국뿐이지만 즐거운 저녁이다”나 “고작 한다는 말이 핑계뿐이니”처럼 씁니다.

 

기껏
  “일부러 힘을 들이거나 애썼으나”와 “힘이 미치는 데까지 제 나름대로 애를 써서”를 뜻하며, “기껏 다리를 놓았더니 큰물에 떠내려 갔다”나 “기껏 보냈는데 잃어버렸구나”라든지 “기껏 들려주는 말이지만 아픔을 달래지 못한다”나 “기껏 도와주려 했지만 많이 모자라는구나”처럼 씁니다.


가까스로
  “애쓰거나 힘써서 어렵지만 어느 만큼 맞출 수 있도록”이나 “어느 만큼 맞추거나 넘기기에 힘들게”를 뜻하며, “가까스로 눈물을 참았다”나 “아이를 업고 고개를 가까스로 넘어왔다”라든지 “가까스로 버스 막차를 탔다”나 “빌린 돈을 가까스로 갚는다〔처럼 씁니다.


에계계
  “‘에계’를 힘주어 하는 말”입니다.


에계
  “그리 좋지 않거나 많이 못 미치거나 작은 무언가를 낮게 보면서 하는 소리”입니다. “에계, 이래서 어디에 쓰겠니”나 “에계, 아직 멀었네”처럼 써요. ‘에계계’와 ‘에계’는 느낌씨입니다. ‘겨우·고작·기껏·가까스로’ 같은 낱말을 쓰며 모자라거나 아쉽거나 힘든 느낌을 나타내기도 하고, 이 느낌씨로 한결 짙거나 또렷하게 나타내기도 합니다. ‘겨우’는 넉넉하지 못하다는 느낌이 더 드러나고, ‘고작’은 아무것이 아니라 할 만하거나 아주 적다는 느낌이 더 드러나며, ‘기껏’은 힘을 쓰고 쓰더라도 닿지 않는 느낌이 더 드러납니다. ‘가까스로’는 힘을 많이 들여야 비로소 살짝 닿을 만큼 되는 느낌이 더 드러납니다. 

 

(최종규 . 2013 - 새로 쓰는 우리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