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흙이 가르쳐주네 - 네이버 인기 블로그 '풀각시 뜨락' 박효신의 녹색 일기장
박효신 지음 / 여성신문사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책읽기 삶읽기 145

 


시골에 살면 모두 시인이다
― 바람이 흙이 가르쳐 주네
 박효신
 여성신문사 펴냄, 2007.7.10.

 


  이오덕 님은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 하고 이야기했습니다. 어린이는 모두 시인입니다. 시인인 어린이로 살며 무럭무럭 자라 어른이 된 사람들도 모두 시인입니다. 그러나, 어른이 되는 동안 너무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시인 옷을 벗습니다. 어른이 된 뒤에는 시인하고 아예 등을 돌리기도 합니다.


  문학을 해야 시인이란 뜻이 아닙니다. 삶을 늘 새롭게 맞아들이고 누리고 즐기면서 빛낼 때에 비로소 시인입니다. 아침저녁으로 밥을 짓는 손길이 시를 짓는 손길입니다. 호미를 쥐어 흙을 다루는 손길이 시를 다루는 손길입니다. 풀내음을 맡고 꽃송이를 보듬는 손길이 시를 보듬는 손길이에요. 하늘을 읽고 별과 달을 읽는 눈길이 곧 시를 읽는 눈길입니다.


  오늘날에는 “시인이라 할 어린이가 자취를 감춘다”고 할 만합니다. 아이들이 시인답게 숲과 들과 냇물과 멧골을 누리지 못하거든요. 아이들이 모조리 도시로 휩쓸리면서 시멘트바닥과 아스팔트땅에서 자동차와 전철에 시달리기만 하거든요.


.. 서울에서 하고 싶은 것 거의 다하며 살던 나였다. 그런데 지금까지 내가 해 본 것 중 씨 뿌리고 거두는 것보다 더 재미있는 일은 없었다. 매일매일이 기다려지고 새롭고 긴장되고 그렇다 … 지난 3개월 동안 자연이 내게 준 기쁨은 돈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이었다. 과연 내가 해낼 수 있을지 두려움 반 기대 반으로 씨앗을 파종하고 첫 번째 싹이 흙을 뚫고 뾰족이 올라왔을 때의 그 감격이란 … 난생 처음 내 손으로 장을 담가 보았는데, 생각보다 어려운 건 아니다. 단지 우리네 음식은 정성이 없으면 백발백중 실패라는 걸 알았다 ..  (9, 25, 176쪽)


  나는 “시골에 살면 모두 시인이다” 하고 생각합니다. 시골에 살면 어른도 아이도 모두 시인입니다. 흙을 만지든 면사무소 일꾼으로 지내든 모두 시인입니다. 그러나, 막상 시골에 살면서도 자동차로만 움직이고 기계만 만지려 할 적에는 시인하고 멀어집니다. 농약과 비료에 기대기만 하면 시인을 잊습니다.


  시집을 사거나 원고지에 시를 써야 시인이 아닙니다. 땅을 읽고 풀을 읽을 때에 시를 읽습니다. 논밭에 괭이 자국을 낼 적에 시를 씁니다. 시는 저 먼 데에 있지 않아요. 풀이름을 짓던 옛 시골마을 사람들 말마디가 싯말입니다. 꽃이름과 나무이름을 짓던 머나먼 옛날 시골마을 사람들 눈썰미가 시노래입니다.


  창작도 아니고 비평도 아니에요. 삶이고 노래이며 빛입니다. 문학도 아니고 문화도 아니에요. 사랑이고 꿈이며 이야기입니다.


.. 내가 관찰한 바로는 시골에서 정말 농사꾼은 여자들이다. 대개 아저씨들은 자기네들은 ‘큰일’이라고 하는 힘쓰는 일, 땅 갈고 경운기 운전하며 무거운 짐 나르는 일을 주로 하는 반면, 아줌마들은 갈아 놓은 땅에 씨 뿌리고 가꾸고 거두는 잔일을 거의 혼자 다한다. 그러니 씨앗이 싹을 틔우고 성장해 가는 모습을 속속들이 잘 알 뿐만 아니라 … 아끼고 덜 쓰기로 작정하고 가능한 한 실천하려고 애쓰는 이유는 ‘돈’ 때문이 아니라 ‘쓰레기’ 때문이다. 땅과 함께 살다 보니 쓰레기 문제가 실감나게 다가왔다 ..  (48, 79쪽)


  ‘풀각시뜨락’ 박효신 님이 쓴 《바람이 흙이 가르쳐 주네》(여성신문사,2007)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이 책이 나오던 2007년은 내가 이오덕 님 ‘유고 갈무리’를 마치고 도시인 인천으로 돌아가던 해입니다. 충청도 멧골자락에서 이오덕 님 글을 만지며 시골빛 누리다가, 고향 인천으로 돌아가서 ‘골목동네 한복판에 너비 70미터 산업도로 밀어붙이려는 개발정책’에 맞서 함께 싸웠어요. 터무니없는 개발행정하고 개발권력하고 맞서는 틈틈이 고향 골목동네를 돌아보았어요. 갓난쟁이를 안거나 업으며 날마다 너덧 시간씩 골목마실을 했어요. 도시 한복판 골목동네는 숨은 꽃밭이자 나무숲이었고, 이곳에 드리운 꽃빛과 나무내음 맡을 수 있어 즐거웠어요.


  사람은 누구나 시골에서 살아가면 시인이 되는데, 시골 아닌 도시에서 살더라도 이녁 보금자리를 꽃밭과 나무숲으로 일굴 수 있다면, 도시에서도 시인이 되는구나 하고 느꼈어요. 그러니까, 시골에서 살면 시인이 되는 까닭은 꽃과 풀과 나무하고 어깨동무를 하기 때문이에요. 어린이가 모두 시인이 되는 까닭도 꽃과 풀과 나무를 사랑하면서 언제나 동무로 삼아 함께 놀기 때문이에요. ‘풀각시뜨락’ 박효신 님은 “바람이 흙이 가르쳐 주네” 하고 노래하시는데, 참말 바람과 흙한테서 배우면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이 노래가 되요. 손에 연필을 쥐어 무언가 끄적이면 고스란히 시가 됩니다. 연필 아닌 호미를 쥐어 밭을 일구면? 이때에 밭은 멋들어진 ‘작은 숲’이 됩니다.


.. 나 역시 시골로 내려와 살면서 크게 달라진 점 중 하나가 남을 즐겁게 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거였다. 아니, ‘남을 즐겁게 하기 위함’이 아니라, ‘내가 즐겁기 위함’이라고 해 둬야 정확하겠다 … 우리는 자연으로부터 참 많은 것을 받기만 하며 산다. 자연과 사람과의 관계는 한쪽이 다른 한쪽에 종속된 일방적인 관계가 아닐 터인데, 식물에 대해 늘 감사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걸 도시에 살면서는 느끼지도 알지도 못했다 … 퇴비 만드는 법을 배운 후로는 짚과 왕겨와 쌀겨를 적당히 섞어 거름으로 쓰고 있다. 이러자면 그야말로 똥을 떡 주무르듯 해야 한다. 그것이 더럽다고 생각하면 절대 못한다. 땅에서 취한 것을 땅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은 자연스럽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 ..  (96, 146, 188∼189쪽)


  그런데, 이 책에서 박효신 님은 “‘개불알풀’은 이름이 흉하다고 해서 요새는 ‘봄까치꽃’으로 바꿔 부른다지만, 난 개불알풀이란 이름이 더 좋다. 꽃잎 한 장 한 장이 마치 동네 어슬렁거리는 수캐의 뒤꽁무니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는 딱 그 모양이다(114쪽).” 하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2007년에 처음 나온 이 책을 고쳐서 다시 낸 적 있는가 궁금한데, ‘개불알풀’은 한국에서 자라는 봄꽃하고 아주 다른 갈래입니다. 일본에서 자라는 풀이에요. 일본 학자는 일본에서 자라는 ‘한국 봄꽃과 다른 풀’을 보고 이런 이름을 붙였고, 이 이름을 일제강점기에 한국 식물학자가 ‘깊이 생각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여, 한국에서 저절로 돋는 봄꽃한테도 이 이름을 잘못 붙였어요.


  ‘봄까치꽃’은 몇몇 시인이 잘못 퍼뜨린 이름입니다. 제 이름은 ‘봄까지꽃’이에요. 겨울이 지나갈 무렵에 피고 꼭 봄이 끝날 무렵까지 핀대서 ‘봄까지꽃’입니다. ‘까치’가 아닌 ‘까지’예요. 갓난쟁이 새끼손톱보다 조그마한 봄까지꽃 송이송이는 일본에서 나는 개불알풀하고 너무 다릅니다. 이런 대목을 조금 더 슬기롭게 읽고 말할 수 있기를 빌어요.


  시골에서 살면 모두 시인이 되지만, 이 땅과 마을과 보금자리를 내 눈빛과 손빛과 마음빛으로 살뜰히 가꾸려는 넋을 건사할 수 있어야 아름다운 노래를 불러요.


  풀노래 부르면서 풀밥을 먹고, 풀말을 할 수 있기를 빕니다. 시골사람답게 시골말 쓰고 시골노래 부르면서 시골빛 나눌 수 있기를 빌어요.


  우리는 모두 시인인걸요.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사랑을 나누며 평화를 꿈꾸는 멋진 시인입니다. 4346.11.2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13-11-27 2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이 참 마음에 드는 책입니다~^^

숲노래 2013-11-27 22:12   좋아요 0 | URL
네,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