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587) 시험 1 : 시험해 볼까
다시 한 번 시험해 볼까 … 얼마나 늘어나는지 시험해 보아야겠다
《이상교·심은숙-빨간 부채 파란 부채》(시공주니어,2006) 8, 20쪽
국어사전을 들추면, 세 가지 ‘시험’이 나옵니다. 모두 한자말입니다. 첫째, ‘恃險’이라는 한자말이 나오고, 말뜻은 “험한 지형에 의지함”입니다. 둘째, ‘猜險’이라는 한자말이 있고, 말뜻은 “시기심이 많고 엉큼하다”입니다. 셋째, ‘試驗’이라는 한자말이 실리고, 말뜻은 “(1) 재능이나 실력 따위를 일정한 절차에 따라 검사하고 평가하는 일 (2) 사물의 성질이나 기능을 실지로 증험(證驗)하여 보는 일 (3( 사람의 됨됨이를 알기 위하여 떠보는 일”입니다.
이 가운데 첫째와 둘째 한자말은 쓸 일이나 쓰일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자말이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이 한자말은 왜 국어사전에 실었을까요. 누가 이런 한자말을 쓴다고 국어사전에 버젓이 실었을까요.
우리 국어사전은 한국말 담는 사전이라기보다, 지난날 권력자와 지식인이 중국 사대주의로 지내며 쓰던 중국한자말하고 일제강점기에 일본제국주의에 기대어 쓰던 일본한자말을 잔뜩 담는 사전입니다. 한국사람이 읽고 살필 만한 한국어사전이 못 됩니다. 생각해 보면 ‘국어사전’이라는 이름부터 옳지 않아요. ‘국어’라는 한자말은 일본강점기부터 일본제국주의가 ‘일본말’을 ‘國語’라고 가리키며 썼어요. 지난날 중국은 ‘중국어’라 했고, 우리 나라는 ‘조선말’이나 ‘조선어’라 했습니다. 일본은 마땅히 ‘일본어’라 해야 했는데, 태평양 나라들을 식민지로 삼으려던 제국주의 권력자와 지식인은 ‘일본어’ 아닌 ‘국어’라는 말을 썼어요. 그러니, 오늘날 이 나라에서 아직도 ‘국어’라는 낱말과 ‘국어사전’이라는 낱말 쓰는 일이란, 식민지 찌꺼기를 못 턴 모습일 뿐 아니라, 속속들이 식민지 물결을 뒤집어쓴 모습입니다. 얄궂은 찌꺼끼도 못난 속모습도 하나도 털지 못했으니 ‘국어사전에 실은 낱말’도 알량할밖에 없구나 싶어요.
다시 한 번 시험해 볼까
→ 다시 한 번 해 볼까
→ 다시 한 번 볼까
…
국어사전에 나오는 한자말 ‘시험’ 가운데 셋째 것을 사람들이 씁니다. 학교에서 으레 시험을 치르고, 회사에서도 늘 시험을 치지요. 이런 자리에서 쓰는 ‘시험’은 다른 말로 고치기 어려우리라 느낍니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하면 ‘중간시험’이나 ‘기말시험’이나 ‘면접시험’ 같은 이름도 얼마든지 고칠 수 있어요. 다만, 이런 이름을 고치자면 입시지옥을 뜯어고쳐야 합니다. 입시지옥을 뜯어고쳐 초·중·고등학교가 시험지옥에서 풀려나면, 그때부터는 시험 때문에 목을 매달 일이 없어요. 시험지옥과 입시지옥이 사라지면, 저절로 새 이름으로 ‘시험’을 가리킬 텐데, 아마 ‘시험’이 아주 없어지고, 새로운 이야기가 샘솟겠지요.
얼마나 늘어나는지 시험해 보아야겠다
→ 얼마나 늘어나는지 보아야겠다
→ 얼마나 늘어나는지 해 보아야겠다
…
삶에 따라 말을 지어서 씁니다. 삶이 사랑스러우면 말이 사랑스럽습니다. 삶이 쳇바퀴 구르듯 얽매이면 말도 쳇바퀴 구르듯 얽매이는 모습입니다. 삶을 아름답게 가꾸며 살찌우려고 애쓸 적에, 말을 아름답게 가꾸며 살찌우려고 애씁니다. 삶과 말이 함께 흐르는 결과 무늬를 느끼면서, 내 마음 곱고 맑으며 착하게 가꾸는 말을 돌볼 수 있기를 빕니다. 4346.11.8.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다시 한 번 해 볼까 … 얼마나 늘어나는지 보아야겠다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