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말 ‘존재’가 어지럽히는 말과 삶
(165) 존재 165 : 귀한 존재
그 식당의 주인이 개와 고양이를 좀더 평정한 눈으로 볼 수 있게 도왔으니 그에게는 이 아가씨가 귀한 존재지요
《데이비드 미치/추미란 옮김-달라이 라마의 고양이》(샨티,2013) 77쪽
“그 식당(食堂)의 주인(主人)이”는 “그 밥집 임자가”나 “그 밥집 일꾼이”로 손볼 수 있습니다. 한자말 ‘식당’은 그대로 두더라도 ‘식당지기’라는 이름을 써 볼 수 있고, ‘밥집지기’ 같은 낱말을 지어도 됩니다. ‘평정’이 ‘平正’이라면 ‘고른’이나 ‘바른’으로 손질하고, ‘平靜’이라면 ‘차분한’이나 ‘따스한’으로 손질합니다. ‘귀(貴)한’은 ‘보배로운’으로 다듬을 낱말인데, 글흐름으로 살피면 ‘고마운’이나 ‘반가운’으로 다듬을 만합니다.
귀한 존재지요
→ 반가운 손님이지요
→ 고마운 분이지요
→ 고마운 만남이지요
→ 고맙지요
…
고양이나 개를 가리킬 적에 한껏 높이려 하면 ‘분’이나 ‘그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기글에서는 어느 밥집으로 찾아오는 고양이와 개를 이야기하니, 이때에는 ‘손님’이라는 낱말을 넣어도 잘 어울립니다. 밥집지기가 고양이와 개를 만나 눈길을 새로 열거나 텄다고 하는 만큼 고양이와 개를 “고맙게 만났다”고 이야기하거나, 짧게 줄여 “고맙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4346.11.3.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 식당 일꾼이 개와 고양이를 좀더 바른 눈으로 볼 수 있게 도왔으니 그한테는 이 아가씨가 고맙지요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