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서 자라는 아이들
아이들은 유치원이나 학교를 다니며 자라지는 않는다. 아이들은 놀면서 자란다. 아이들은 ‘일하는 어른들’ 곁에서 놀면서 자란다. 아이들은 교과서를 배우면서 자라지 않는다. 아이들은 ‘일하는 어른들’ 곁에서 ‘일하는 매무새’를 지켜보고 어깨너머로 배우면서 자란다. 아이들은 동무들과 함께 집단생활을 하며 자라지 않는다. 아이들은 ‘일하는 어른들’ 곁에서 뛰놀면서 몸이 단단히 여물고 마음이 싱그럽게 맺힌다.
사랑스러움을 받아먹고 자란 아이들이 ‘집단생활·공동생활’을 할 적에 사랑스럽다. 사랑스러움은 받아먹지 못한 채 어릴 적부터 ‘집단생활·공동생활’만 하던 아이들이 ‘따돌림·괴롭힘’을 만들어 낸다. 왜냐하면, 혼자서 꿋꿋하게 살든 여럿이 모여서 살든, 사랑스럽게 삶을 일구어야 사랑이 샘솟기 때문이다. 사랑은 없이 지식과 이론을 학습하는 시설이나 학교에서는 사랑은 못 배운다. 사랑을 못 배우니, 어린 아이나 푸름이인데에도 동무를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짓을 벌인다. 왜냐하면, 이 어린 아이나 푸름이는 ‘집단생활·공동생활’에서 사랑이 아닌 지식과 이론만 배웠을 뿐이니까. 동무를 아끼는 사랑을 배우지 못했는데 어찌 동무를 아끼겠는가. 이웃을 보살필 줄 아는 따순 사랑을 배운 적 없는데 어떻게 이웃을 보살피겠는가.
학교에 다녀야 ‘사회생활’을 잘 할 수 있지 않다.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받아먹고 씩씩하게 자라야 비로소 사랑스럽게 ‘사회생활’을 한다. 어버이한테서 꿈을 물려받고 아름답게 자라야 비로소 아름답게 ‘사회’에 빛이 될 이야기를 흩뿌릴 수 있다.
그러니까, 아이들은 놀면서 자란다. 그러니까, 어버이는 아이들이 실컷 뛰놀고 마음껏 뒹굴 수 있게끔 보금자리를 돌보고 마을살림 일굴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이 신나게 뛰노는 자리가 바로 ‘어른들 일하는’ 자리이다. 아이들이 마음껏 뒹굴며 꿈과 사랑을 받아먹거나 물려받는 곳이 바로 ‘다 함께 살아갈’ 보금자리요 마을이며 숲이다. 4346.10.13.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