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91) -의 : 땅별의 핏줄기
도랑물 모여 골짜기 개울로 흐르고, 개울물 모여 들판의 내로 흐르고 … 산과 들을 적시며 흐르는 물줄기는 우리가 사는 지구, 땅별의 핏줄기
《박남일-뜨고 지고, 끼리끼리 재미있는 우리말 사전 1·자연》(길벗어린이,2008) 47쪽
보기글 쓴 분은 ‘지구(地球)별’을 ‘땅별’이라 적습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이렇게 적어도 잘 어울리겠구나 싶습니다. 누군가는 이처럼 ‘땅별’이라 일컬을 수 있고, 누군가는 ‘숲별’이라 일컬을 수 있겠지요. ‘푸른별’이라 일컬을 수도 있어요. “들판의 내로 흐르고”는 “들판에서 내로 흐르고”로 손봅니다.
땅별의 핏줄기
→ 땅별 살리는 핏줄기
→ 땅별 이루는 핏줄기
→ 땅별 보듬는 핏줄기
→ 땅별 지키는 핏줄기
…
땅은 흙으로 이루어집니다. 흙에는 풀이 돋고 나무가 자랍니다. 흙으로 이루어진 땅에서 풀이 돋거나 나무가 자라려면 물이 있어야 합니다. 비가 내려야 하고, 비는 흙을 적시면서 흘러야 해요. 이럴 때에 풀과 나무는 튼튼하고 씩씩하며 푸르게 큽니다. 도랑이든 개울이든 냇물이든 가람이든 물줄기 있어야 해요.
그러니까, 물줄기는 땅병을 살립니다. 땅별을 살찌웁니다. 땅별을 이루는 핏줄기와 같고, 땅별을 보듬는 핏줄기라 할 만해요. 땅별을 지키는 핏줄기 되고, 땅별을 사랑하는 핏줄기 구실을 하지요. 4346.9.7.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도랑물 모여 골짜기 개울로 흐르고, 개울물 모여 들판에서 내로 흐르고 … 산과 들을 적시며 흐르는 물줄기는 우리가 사는 지구, 땅별 살리는 핏줄기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