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과 신문 (도서관일기 2013.9.4.)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으로 신문 읽으러 다니는 사람이 꽤 있다. 나도 예전에 신문을 읽으러 도서관에 다니곤 했다. 도서관에서는 이 신문 저 신문 골고루 받아서 갖추니, 온갖 신문을 따로 집에서 받아보지 않아도 날마다 즐겁게 읽을 수 있다. 더구나 도서관에서는 신문을 날짜에 맞추어 잘 그러모으지 않는가. 여러 날에 한 번 찾아가더라도 며칠 지난 신문뿐 아니라 몇 달 지난 신문까지 차근차근 읽을 수 있다.


  그런데, 나는 신문을 끊고 안 본 지 퍽 오래되었다. 서울살이를 마감하고 시골로 삶터를 옮기던 2004년부터 ‘마지막까지 보던 신문 한 가지’마저 끊었다. 그러고는 신문을 안 읽는다. 인터넷으로도 안 읽고, 인터넷신문에 뜨는 글조차 안 읽는다. 시민모임이나 작은 마을에서 조그맣게 내는 신문은 도움돈을 보내면서 받곤 한다. 서울에서 나오는 신문이라든지, 전라도 광주에서 나오는 신문들, 이른바 ‘일간신문’은 아무것도 안 본다.


  사진책도서관에는 해묵은 일간신문 꾸러미는 있지만, 그날그날 나오는 신문은 없다. 사진밭 이야기 다루는 신문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 모든 글이 ‘새로 나오는 장비’ 이야기라서, 이 신문을 굳이 받아보지 않는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도서관에는 어떤 신문을 갖추어야 할까. 도서관이라는 곳을 꾸리자면 어떤 신문을 받아보면서 ‘신문삯’을 치러야 아름다울까. 이 신문 저 신문 골고루 갖추는 일이 나쁘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그런데, 도서관마다 이 신문 저 신문 골고루 갖추어야 할까 궁금하다. 날이 갈수록 궁금하다. 일간신문은 모두 서울 이야기뿐이다. 전라도 광주에서 나오는 ‘전라도 일간신문’은 서울과 광주 이야기뿐이다. 이런 신문을 도서관에서 갖추는 일이란 무엇이 될까. 도서관 찾아오는 사람들한테 ‘도시 이야기’만 읽히고 ‘도시 소식과 정보’만 알리는 노릇 아닐까.


  같은 도시라 하더라도, 서로 어깨동무를 하는 작은 동네 언저리에서 작은 이야기 그러모으는 작은 신문이 나올 수 있어야 한다고 느낀다. 사건과 사고나 정치나 경제나 스포츠나 연예를 다루는 신문이 아니라, 동네사람 수수하며 투박한 삶과 사랑을 그리는 신문이 나올 때에 아름다우리라 느낀다. 시골에서는 그야말로 시골살이 다루고 보여주며 그리는 신문이 나와야 아름다우리라 느낀다.


  내 고향 인천에서 〈우각로신보〉가 우편으로 날아온다. 9월이지만 6월호와 7월호를 두 부씩 보내 주었다. 인천 배다리에 깃든 ‘작은 사람’들이 ‘작게 엮은 작은 신문’이다. 두 부 보내 주었으니, 한 부는 사진책도서관 벽에 붙이고, 한 부는 파일에 꽂아 그러모을까 하고 생각한다.


  책 갈무리를 하고 도서관을 나오는데, 문간에서 풀개구리 한 마리 본다. 작은 풀개구리는 늘 똑같은 곳에서 나를 마중하고 배웅한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