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개의 알 1
와타나베 페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254
두 가지 삶
― 두 개의 알 1
와타나베 페코 글·그림,이상은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2013.4.25./7000원
여름비 내립니다. 후끈후끈 달아오른 땅에 이틀에 걸쳐 비가 내립니다. 낮에도 저녁에도 제법 시원합니다. 여름날 여름바람이 대청마루를 거쳐 집안 구석구석 스며듭니다. 비가 잦은 날에는 마루문을 닫지만, 요 달포 사이 비가 거의 없었기에 마루문 활짝 연 그대로 빗소리를 듣습니다. 여름비는 소리와 냄새와 물방울로 집안으로 천천히 젖어듭니다.
비가 그치면 개구리가 노래합니다. 지난 달포 사이에 농약바람 맞고 거의 다 죽었을 텐데, 비가 오니 이렇게 어디에선가 고개를 내밀며 노래를 부를까요. 아침에 우리 집 마당 곳곳에서 풀개구리와 참개구리 여러 마리를 보았습니다. 섬돌 곁에 둔 걸상에도 개구리가 있고, 자전거 손잡이에도 개구리가 있습니다. 아침저녁으로 먹을 풀을 뜯다가 풀섶에서 개구리를 만납니다.
요 며칠 사이, 우리 마을에서 면소재지 가는 길목에 펼쳐진 너른 들판에서 제비 백 마리 남짓 봅니다. 벼가 천천히 익는 늦여름인 만큼, 이제 제비들은 다 함께 모여 따스한 나라로 돌아갈 생각을 하는 듯합니다. 한꺼번에 무리를 지어 한국으로 찾아왔고, 다 함께 무리를 이루어 따스한 나라로 찾아가겠지요.
- “방금 내 얼굴 보고, ‘늙었네.’라고 생각했지?” (6쪽)
- ‘연애, 섹스, 결혼, 임신. 여자로 태어나서 그것들을 누리지 않는 건 이상해. 아니, 제정신이야?’라고 부추기는 방송이 여기저기 넘치니까. (102쪽)

오늘 아침 아이들과 함께 자전거를 몰고 우체국을 다녀오다가 동호덕마을부터 자전거를 멈췄습니다. 문득 어떤 생각이 나서 아이들 모두 걸렸습니다. 이 아이들이 자전거를 얻어타는 즐거움을 얼마나 헤아리는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작은아이는 세 살 나이라면, 집과 면소재지 사이 이 킬로미터 길을 씩씩하게 걸을 만하리라 생각했습니다.
어른한테 이 킬로미터 걷기란 아무 일 아니겠지요. 여섯 살 어린이한테도 이 킬로미터 걷기란 대수로운 일 아닙니다. 그러면 세 살 어린이는?
큰아이를 돌아보면, 세 살 적에도 무척 길다 싶은 길을 잘 걸었습니다. 큰아이 스스로 다리가 아파도 좀처럼 안아 달라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큰아이는 스스로 잘 걷고 싶었으며, 스스로 잘 뛰고 달리며 날고 싶었어요. 누구한테 기대는 하루가 아닌 스스로 빚는 하루를 재미나게 놀고 싶었어요.
작은아이는 아직 많이 어리다 할 테지만, 작은아이 스스로 놀이를 찾고 일거리를 찾으며 심부름을 하려는 생각을 좀처럼 못 합니다. 큰아이인 누나가 여러모로 잘 챙겨 주기 때문입니다. 작은아이한테 누나가 없었으면, 작은아이는 스스로 ‘큰아이(첫째)’로 살아가며 이것저것 스스로 씩씩하게 일구었으리라 느껴요.
- “대형 신문사를 나와서 도시락 가게라니, 그런 일은 없지 않나요?” “없지 않아.” “없지 않다고요?” “실제로 이렇게 하고 있는걸.” (14쪽)
-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면서 내가 뭘 하는지 똑똑히 느낄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고 싶었어. 도시락 가게는 음식을 만들어서 팔고, 손님께 대접한다는 점이 굉장히 심플하고 구체적이잖아? 그게 즐거워. 급료는 싸지만 기분은 최고야.” (94쪽)

두 아이와 시골길 천천히 걷습니다. 걷다가 자주 쉽니다. 나는 늦여름 들판을 사진으로 찍는다고 핑계를 대지만, 작은아이가 지치지 않기를 바라며 쉽니다. 그러면서 작은아이 눈길을 다른 데로 돌리지요. 저기 보렴, 달개비밭이네. 저기 잘 봐, 저기는 벼가 벌써 고개를 숙이고 이쪽은 아직 고개가 빳빳하지. 저기 전깃줄에 제비가 나란히 앉았네, 몇 마리나 되나 세어 볼까. 들판을 마음껏 나는 제비를 보렴, 저 조그마한 몸으로 수천 킬로미터 바다를 가로질러 날아간단다.
자전거가 있어도 한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끕니다. 다른 한손은 작은아이 손을 잡습니다. 늘 수레에 앉아서 함께 다니던 작은아이는, 이제 제(작은아이)가 다리 쓸 일 없이 앉아 있기만 해도 되지는 않는 줄 조금은 느낄까요. 누나는 샛자전거에 언제나 서서 오가는 줄 조금은 생각할까요.
작은아이 걸음에 맞추어 걷자니 큰아이는 조금 답답합니다. 혼자 저 앞까지 달려갔다가 이리로 달려옵니다. 두 시간에 한 대 지나가는 군내버스가 마주 옵니다. 큰아이는 군내버스를 보고는 달리기 내기를 합니다. 혼자서 놀이를 빚고, 혼자서 하루를 즐깁니다. 혼자서 생각을 빚고, 혼자서 사랑을 펼칩니다.
그래, 너희 아버지도 너희한테 날마다 스스로 놀이와 일과 삶과 꿈과 생각과 사랑을 알뜰히 지어서 나눌 줄 아는 사람이어야 아름답겠지. 작은아이 다리힘을 길러 주려고 모처럼 이 킬로미터 길을 걷다가, 아버지다운 삶길을 새삼스럽게 돌아봅니다.
- “고향에서 그 친구랑 식을 올릴 셈인가?” “아뇨. 결혼하지 않고 혼자서 낳을 생각입니다.” “어째서? 무슨 사정이라도 있나?” “그게 아니라, 지금 제가 바라는 일은, 오직 이 아이를 낳는 것뿐입니다.” (111쪽)
- “아버지가 되고 싶어? 법적으로? 심정적으로? 넌 애인이 있잖아. 어쩔 셈이야?” “그건.” “저기, 그렇게 아무 생각 없이 입에서 나오는 대로 지껄이지 말아 줄래? 솔직히 짜증나거든. 난 지금 화내는 일에 에너지를 소비하고 싶지 않아. 나는 진지해.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네 머리로 생각을 정리한 후에 다시 찾아와.” (118∼119쪽)

와타나베 페코 님 만화책 《두 개의 알》(학산문화사,2013) 첫째 권을 읽습니다. 일본에서는 어느새 다섯 권으로 마무리된 만화인데, 한국에서는 첫째 권 나오고 넉 달이 지나서야 둘째 권이 나옵니다. 일본책을 살피면 마무리가 어찌 될는지 일찌감치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줄거리를 살피려고 만화책을 읽지 않아요. 권마다 어떤 삶과 꿈과 넋이 깃드는가 하는 이야기를 누리려고 만화책을 읽어요.
어떤 마무리가 되느냐도 살필 만한 대목일 테지만, 마지막으로 나아가는 흐름에서 ‘만화 주인공이 스스로 어떤 삶길을 골라서 씩씩하게 걸어가느냐’ 하는 대목을 더 깊이 살핍니다. 바로 이런 대목을 느끼면서 내 삶을 돌아보려고 만화책을 읽습니다.
- “괴로웠겠다. 편해졌니?” “아츠코.” “코헤이는 정직하고 성실하고 거짓말을 못하니까 양심에 찔려서 괴로웠을 거야. 내게 얘기하면 더 이상 감추지 않아도 되는걸. 앞으로는 ‘우리’ 문제가 돼서 분담할 사람이 늘어나니까, 코헤이는 편해졌지?” (150∼151쪽)
삶은 두 가지입니다. 생각하는 삶과 생각하지 않는 삶 두 가지입니다. 삶은 두 갈래입니다. 사랑이 있는 삶과 사랑이 없는 삶 두 갈래입니다. 어느 쪽으로 나아가려는지 스스로 길을 찾아요. 어느 쪽으로 나아가든 스스로 마음을 먹습니다.
이쪽으로 가기에 더 재미난 삶이 되지 않습니다. 저쪽으로 가니까 재미없는 삶이 되지 않습니다. 이쪽으로 갈 때에는 이러한 삶을 이렇게 예쁘게 일굽니다. 저쪽으로 나아갈 적에는 저러한 삶을 저렇게 아름답게 보살핍니다. 만화책 《두 개의 알》에서 ‘주인공’으로 나오는 세 사람은 둘째 권에서 저마다 어떤 삶길로 나아갈까 궁금합니다. 4346.8.23.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만화책 즐겨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