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 바다 : 바다만큼 드넓은 말 =

 

 

 물결
  “물이 움직이며 오르락내리락 하는 모습”을 ‘물결’이라고 해요. 한자말로는 ‘파도’라고 합니다.

 

 바닷가
  “바닷물과 땅이 서로 닿은 곳”을 ‘바닷가’라고 해요. ‘냇가’는 “냇물과 땅이 서로 닿은 곳”이에요. 바다나 내나 못하고 땅이 닿은 자리는 모두 ‘물가’입니다.

 

 물고기
  “물에서 사는 고기”라서 ‘물고기’예요. 냇물이나 못물처럼 민물에서 사는 고기는 ‘민물고기’이고, 바닷물에서 사는 고기는 ‘바닷물고기’입니다.

 

 갯벌
  “바닷물이 드나드는 모래톱이나 둘레 넓은 땅”을 ‘갯벌’이라고 합니다. 갯벌에는 ‘개흙’이 있고, 개흙은 여느 땅, 이를테면 논이나 밭에 있는 흙하고 달라요. 갯벌은 땅에서 바다로 흘러나오는 모든 것들이 마지막으로 닿으면서 걸러지는 곳이에요. 이러다 보니 갯벌을 이루는 개흙은 온갖 것이 두루 섞이면서 삭히는 자리이고, 이 개흙은 거무스름하면서 미끈미끈합니다.

 

 늪
  “땅바닥이 우묵하게 빠지고 물이 늘 고인 곳”을 ‘늪’이라고 해요. 한자말로는 ‘습지’라고 가리키기도 해요.

 

 못
  “넓고 오목하게 팬 땅에 물이 고인 곳”을 ‘못’이라 합니다. 못 가운데 연이 자라며 연꽃 피우는 데는 ‘연못’이에요. ‘늪’은 저 스스로 생기지만, ‘못’은 사람들이 따로 파기도 해요. 시골에서 논밭에 물을 대려고 파는 못물을 한자말로 ‘저수지’라고도 하지만, 그냥 다 ‘못’입니다. 조그맣게 파는 못이나 조그맣게 생긴 못을 ‘둠벙’이라고도 하고, ‘웅덩이’는 ‘둠벙’과 같은 낱말이에요.

 

 뭍
  뭍에서 살아가는 짐승은 ‘뭍짐승’이에요. ‘뭍’은 “바다를 뺀 모든 곳”을 가리켜요. ‘땅’도 ‘뭍’과 같은 낱말인데, ‘땅’은 “흙”이나 “논밭”이나 “어느 곳”을 가리키곤 하지만, ‘뭍’은 “섬 아닌 땅”을 가리키는 자리에만 써요. 바다에서 바라보는 땅을 ‘뭍’이라 할 수 있어요.

 

 미세기
  “밀물과 썰물을 통틀어” 가리키는 ‘미세기’입니다. 밀물은 밀려서 들어오는 물이고, 썰물은 쓸려서 나가는 물입니다.

 

 소금밭
  “소금을 얻는 밭”이 ‘소금밭’이에요. 바닷물을 끌어 들여서 논처럼 만들고, 햇볕에 바닷물이 마르게 해서 소금을 얻는답니다.

 

 대목
  “설이나 한가위를 앞두고 북적거리며 장사가 잘 되는 때”를 가리켜 ‘대목’이라 합니다. 한편, “도드라지는 어느 한 곳”을 나타내는 자리에도 써요. “눈여겨볼 대목이다”나 “아쉬운 대목이 많다”라든지, “노래를 부르다가 한두 대목씩 잊었다”나 “이 책에서는 바로 그 대목이 재미있어요”처럼 씁니다.

 

 걸맞다
  “서로 어울릴 만큼 비슷하다”를 뜻하는 ‘걸맞다’입니다. “입학식 자리에 걸맞게 차려서 입은 옷”이나 “나한테 걸맞지 않은 책”처럼 써요. ‘들어맞다’는 “꼭 맞다”를 뜻합니다. “생각한 대로 들어맞다”나 “어제 한 말이 그대로 들어맞았다”처럼 쓰지요. ‘알맞다’는 “넘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다”를 뜻합니다. “나들이를 하기에 알맞게 따뜻하다”나 “얼음을 알맞게 넣어서 먹는다”처럼 씁니다.

 

 거북하다
  “몸이 무겁거나 힘들어 가볍게 움직일 만하지 않다”를 뜻하는 ‘거북하다’예요. 이 뜻이 그대로 이어져 “마음에 들지 않아 힘이 들다”를 뜻하는 자리에도 써요. “뱃속이 거북하다”나 “발바닥이 아파서 걷기 거북하다”처럼 쓰고, “거친 말은 듣기에 거북하다”나 “어두운 곳은 어쩐지 있기가 거북하다”처럼 써요.

 

 드넓다
  “활짝 트이고 아주 넓다”를 뜻하는 ‘드넓다’예요. ‘드높다’는 “아주 높다”를 뜻하고, ‘드세다’는 “아주 세다”를 뜻합니다.

 

 저잣거리
  옛날부터 “여러 가지 물건 사고파는 가게가 있는 곳”을 ‘저자’라 했어요. 오늘날에는 거의 ‘시장’이라는 한자말을 씁니다. “가게가 여럿 늘어서면서 거리를 이루”면 이곳을 ‘저잣거리’라 합니다. 책방이 여럿 늘어선 곳은 ‘책방거리’라 합니다.

 

 모래밭
  “모래가 넓게 덮인 곳”을 ‘모래밭’이라 합니다. ‘해수욕장’이라 하는 곳은 모두 모래가 넓게 덮인 ‘모래밭’입니다.

 

 우람하다
  “몹시 크고 튼튼하다”거나 “목소리가 크고 힘차다”고 할 때에 ‘우람하다’라 합니다.

 

 짭짤하다
  “입에 당길 만큼 맛있도록 조금 짜다”를 ‘짭짤하다’고 해요. 이 말뜻을 바탕으로 “어떤 일이나 움직임이 제법 크고 튼튼하다”라든지 “일이 잘 이루어져 얻을 것이 많다”를 뜻하는 자리에도 써요.

 

 비롯하다
  “처음 생기다”와 “처음으로 하다”와 “여럿 가운데 어느 하나를 첫째로 삼아 다른 것이 이어진다”를 뜻하는 ‘비롯하다’입니다. “작은 손길 하나에서 비롯한 사랑”이나 “이 일을 비롯한 때가 언제일까”나 “어머니를 비롯해 우리 식구 모두”처럼 씁니다.

 

 뽐내다
  “어떤 일을 잘 해서 기쁘거나, 솜씨를 남한테 드러내 보이려”는 모습을 가리켜 ‘뽐내다’라 합니다. “내가 남보다 더 좋거나 낫다고 여기면서 내세우려”는 모습을 가리켜 ‘뻐기다’라 해요. “나 스스로 남한테서 좋은 말을 들을 만하다고 여기며 내세우려”는 모습을 가리켜 ‘자랑하다’라 합니다.

 

 살찌우다
  “몸에 살이 붙도록 하다”가 ‘살찌우다’예요. 살이 찐다고 다 좋다 할 수 없지만, 몸이 튼튼하도록 살을 붙인다는 뜻을 바탕으로 “힘이 세지도록 하거나 살림이 넉넉하게 한다”는 자리에 써요. 또는 “마음을 살찌우는 책”이라든지 “생각을 살찌우는 이야기”처럼 씁니다.

 

 슬기롭다
  “옳고 그름을 바르게 살피는 마음가짐”을 ‘슬기’라고 해요. “옳고 그름을 바르게 살필 줄 안다”고 해서 ‘슬기롭다’입니다. ‘똑똑하다’는 “또렷하게 잘 알다”나 “셈을 또렷하게 한다”를 가리킵니다.

 

 주검
  ‘주검’과 ‘송장’은 같은 말이에요. “죽은 사람 몸”을 가리킵니다. 다만, ‘송장’은 사람한테만 쓰는데, ‘주검’은 “새 주검”이나 “들짐승 주검”처럼 쓰기도 해요.

 

 정갈하다
  ‘깨끗하다’는 “더럽지 않다”를 뜻합니다. ‘맑다’는 “더럽지 않아 물속이 잘 보인다”나 “더럽지 않아 바람이 시원하다”나 “더럽지 않아 하늘이 탁 트이며 빛깔이 곱다”를 뜻합니다. 뜻은 거의 같지만, 느낌이나 쓰임새가 살짝 달라요. ‘깔끔하다’는 “군더더기나 어수선한 모습이 없다”를 뜻하고, ‘말끔하다’는 “티가 없이 시원스럽다”를 뜻하며, ‘산뜻하다’는 “새로우면서 시원스럽다”를 뜻합니다.‘정갈하다’는 “깨끗하고 깔끔하다”를 뜻해요. 더럽지 않으면서 군더더기나 어수선한 모습이 없는 느낌이 ‘정갈하다’입니다. 가지런한 모습이라든지, 얌전하거나 반듯한 모습을 가리킬 때에 ‘정갈하다’를 쓰곤 해요. 쓰임새를 더 살피면, ‘깔끔하다’는 “솜씨가 야무지며 알뜰하다”를 가리키는 자리에도 씁니다. ‘정갈하다’는 “밥상이 정갈하다”나 “옷차림이 정갈하다”나 “말씨가 정갈하다” 같은 자리에도 써요. “깨끗하면서 보기 좋도록 곱다”를 가리키는 ‘정갈하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셈
  “수를 세는 일”을 ‘셈’이라 하고, “돈이 얼마인가 살피는 일”도 ‘셈’이라 해요. 이런 뜻을 바탕으로 “옳고 그름을 따질 줄 아는 마음가짐”을 가리키는 자리에도 씁니다. ‘컴퓨터’가 처음 한국에 들어왔을 적에, 이 물건을 ‘셈틀’로 쓰면 되겠다고 말한 분들이 있어요. ‘셈’이라는 낱말이 “숫자 세기”부터 “옳고 그름을 따지는 마음가짐”까지 나타내기에 두 가지 느낌을 살려서 ‘셈틀’이라 하면 어울리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드리우다
  “한쪽이 위에 붙은 천이나 줄이 아래로 늘어지다”를 뜻하는 ‘드리우다’는 “빛이나 어둠이나 그늘이나 그림자가 덮이다”를 뜻하는 자리에도 씁니다.

 

 보들보들
  “살갗에 무엇이 닿을 때에 매우 보드랍다”고 하면 ‘보들보들’이라고 해요.

 

(최종규 . 2013 - 숲말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8-01 19:44   좋아요 0 | URL
"밀물과 썰물을 통틀어" 가리키는 '미세기'는
처음 접하는 낱말이에요 ^^;;;
참 우리말은 아름다워요~

숲노래 2013-08-01 23:06   좋아요 0 | URL
'미세기'라는 이름을 쓰는 출판사도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