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자렴

 


  큰아이는 새벽 다섯 시부터 깨어 함께 짐을 꾸린다. 작은아이는 여섯 시 반부터 일어나서 뛰어논다. 이 아이들 데리고 아침 일찍 길을 나선다. 아침 일곱 시 오 분에 마을 어귀를 지나가는 첫 군내버스를 타려고 한다. 마을 할매 세 분과 할배 한 분이 버스를 기다린다.


  읍내에 닿아 시외버스로 갈아탄다. 시외버스로 순천 기차역까지 달린다. 순천 기차역에 퍽 일찍 닿았기에 미리 끊은 기차표를 물리고 일찍 가는 기차표로 바꾼다. 시외버스에서도 기차에서도 아이들은 개구지게 놀고 싶어 한다. 소리를 지르고 싶고, 뛰거나 달리고 싶다.


  아이들로서는 어디에서든 마음껏 소리지르면서 발을 구르고 몸도 굴리고 싶다. 기쁘게 노래하면서 까르르 웃고 싶다. 그렇지만, 시외버스나 기차에서는 ‘다른 사람을 헤아려야’ 한다는 도덕이나 예절이 있다. 곰곰이 생각한다. 먼먼 지난날에는 시외버스도 기차도 없었다. 먼먼 옛날 아이들은 마실을 다니거나 나들이를 다니거나 개구지게 뛰고 구르고 놀고 노래하고 소리질렀으리라 생각한다. 집에서나 마을에서나 아이들은 아이다움을 누리며 살았다. 그래, 문명이나 문화라고 하는 어른 사회 울타리는 아이들을 옥죄고 얽매는구나. 아이들이 한결 씩씩하거나 튼튼하게 자라도록 북돋우지 않고, 자꾸 누르면서 가두는 틀이로구나.


  이른새벽부터 개구지게 놀며 소리지르고픈 아이들을 달래고 타이르고 나무라고 토닥인 끝에 큰아이를 무릎에 누여 재운다. 아버지 무릎에 눕자마자 큰아이가 잠든다. 이렇게 졸리고 힘들었으면서, 그렇게 참고 더 놀겠다며 소리지르고 그랬니. 작은아이는 이십 분쯤 더 종알종알 떠들며 걸상에서 일어서서 앞뒤를 구경하고 창문가에 올라서려 하더니, 어느새 고개를 폭 떨군 채 아버지 어깨에 기대어 잠든다.


  얘들아, 잘 자렴. 이곳에서건 저곳에서건 아름다운 너희 숨결 고이 건사하면서 뛰놀렴. 바깥마실 마치고 시골집으로 돌아가면, 언제나 누리는 너희들 노래와 웃음과 춤과 발장구와 날갯짓으로 신나게 뛰놀렴. 4346.7.1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