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14] 빨래순이 되어
― 마을빨래터라는 곳

 


  마을빨래터에서 물놀이를 합니다. 마을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마을 이웃은 이제 없기에, 마을빨래터를 아이들과 치우면서 물놀이를 합니다. 집집마다 따로 물꼭지를 내고, 집집마다 빨래기계 들였으니, 마을빨래터는 모양만 남은 셈입니다. 마을에 젊은 사람 없고, 할매들은 손빨래를 하기 벅차겠지요. 주말이나 명절에 젊은 사람 찾아오더라도 손으로 빨래를 거들 이는 없으리라 느껴요. 마을빨래터는 들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할매나 할배가 손발을 씻고 연장을 닦는 곳일 뿐입니다.


  지난날 마을사람 복닥복닥 모여 손으로 옷가지를 비비고 헹굴 적에는 마을빨래터에 물이끼 낄 날이 없었으리라 생각해요. 전기 없어도 물이 흐르고, 기계 없어도 몸으로 움직이며, 아이들과 함께 일하면서 쉬던 빨래터는 시나브로 휑뎅그렁하게 바뀝니다. 우리 마을뿐 아니라 다른 마을도 빨래터는 휑뎅그렁합니다. 빨래를 하지 않는 빨래터는 차츰 빛을 잃습니다. 빨래를 할 사람이 사라지고, 물놀이를 할 아이들 없는 빨래터는 쓸쓸합니다.


  집안에 빨래기계 들여놓고 단추 한 번 척 누르면 되는 오늘날입니다. 문화가 발돋움했는지, 문명이 뻗어 나가는지, 빨래를 맡아서 해 주는 기계는 집안일을 크게 덜어 준다 할 만하겠지요. 그런데, 빨래기계 나타나 전기와 물을 듬뿍 쓰는 한편 화학세제 널리 퍼지면서, 땅도 물도 더러워집니다. 빨래기계 나타나 마을사람들 빨래터에 모일 일 사라지면서, 마을에 이야기와 노래가 사그라듭니다. 아이들이 더는 빨래터에서 놀지 않으면서, 아이들은 따로 수영장에 갑니다.


  나는 두 아이와 함께 마을빨래터에 가서 물이끼를 걷어냅니다. 아이들과 함께 솔로 빨래터 바닥을 박박 문지릅니다. 한참 쓸고 문지르니 맑은 물이 졸졸 흐릅니다. 이때부터 아이들은 빨래터를 너른 놀이터 삼아 온몸 흠뻑 적시며 놉니다. 배가 고프도록 놀고 나서 옷을 갈아입는데, 큰아이도 작은아이도 빨래터에서 빨래하는 시늉을 합니다. 아이들이 조물딱조물딱 비비고 헹구는 시늉을 하고서 “빨래 다 했어.” 하고 말하면 이 옷가지를 받아 내가 다시 비비고 헹군 다음 물을 죽죽 짭니다. 빨래를 다 마친 옷가지를 작은 통에 담습니다. 청소 연장을 잔뜩 짊어지니, 큰아이가 빨래바구니를 들어 줍니다. 아버지는 빨래돌이 되고, 큰아이는 빨래순이 됩니다. 집으로 돌아가 빨랫줄에 척척 넙니다. 4346.7.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