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 스위치 1
토리코 치야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245
누가 나를 찾아 주어야 할까
― 가족 스위치 1
치야 토리코 글·그림,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2013.1.25./4500원
아침에 멧새 두 마리 우리 집으로 날아듭니다. 늘 있는 일이라 대수롭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멧새 두 마리는 후박나무에 깃듭니다. 서로 짹 짹 뺏 뺏 소리를 내며 나뭇가지 이리저리 오가며 놉니다. 아직 후박열매 없는데 무엇을 찾으러 왔을까 싶지만, 열매는 없어도 나무에서 살아가는 벌레들이 있을 테지요. 나무에는 수많은 목숨이 저마다 보금자리를 틀어서 살아가거든요. 딱정벌레가 있을 테고, 매미가 있을 테지요.
새들이 이 나무 저 나무 옮겨다니며 노는 모습, 또는 먹이 찾는 모습, 또는 짝짓기 하는 모습을 바라봅니다. 시골마을 다른 집은 몰라도 우리 집에는 새와 나비가 스스럼없이 찾아오기를 바랍니다. 마을에서 우리 집만 농약을 안 뿌리고, 파리약이나 모기약을 안 뿌립니다. 마을에서 우리 집만 비닐쓰레기를 안 태웁니다. 마을에서 우리 집만 풀숲을 이룹니다.
나무가 나무답게 살 수 있기를 바라고, 풀이 풀대로 자라기를 바랍니다. 이곳에서 여러 목숨이 얼크러지기를 바라며, 사람도 사람답게 푸른 바람 마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러다 보니, 아무래도 우리 집 언저리에서 다리를 쉬고 날개를 쉬는 작은 목숨이 차츰 늘어나지 싶어요.
- “그냥 ‘타∼보’가 집안일을 좋아하는 거 아니야?” “좋아서 하는 게 아니라니까! 누군가 하지 않으면 안 되니까.” (13쪽)
- “멋대로 구는 건 너잖아. 우리가 너한테 집안일 해 달라고 부탁한 것도 아니고. 그냥 네가 너 좋아서 하는 거잖아. 괜히 혼자 짜증내고 소지한테 화풀이하지 마.” (39쪽)
어제 낮, 아이들과 자전거를 타고 우체국에 다녀옵니다. 대문을 활짝 열고 자전거를 들여놓을 무렵, 큰멋쟁이나비 한 마리 우리 대문 둘레에서 서성입니다. 우리 집 파란대문에 찰싹 붙듯 내려앉기도 하고, 대문 앞 풀섶에 앉기도 합니다.
우리 집 대문 앞은 풀밭이었지만 이웃 할배가 싹 베었습니다. 굳이 기계를 써서 베지 않아도 풀은 저희 스스로 스러지고 새로 돋습니다. 이른봄 맨 먼저 피어나던 들풀은 스스로 져서 스스로 흙으로 돌아갔고, 민들레도 씨를 모두 날린 뒤에 잎사귀 자국도 거의 안 남긴 채 스스로 사라졌어요. 유채와 갓도 한창 키 높이 자라다가는 씨를 맺고는 차츰 시들며 키가 줄고 힘을 잃더니 스스로 쓰러집니다.
이 큰멋쟁이나비는 우리 집 대문 앞에 이루어졌던 풀숲에서 알을 깨고 자랐을는지 몰라요. 스무 가지쯤 되는 온갖 풀이 얼크러졌던 자리이니 어느 풀잎에 알을 낳아서 깨어났을 수 있어요.
마을 할매와 할배는 나비를 썩 안 좋아할 수 있습니다. 날아다니는 모습을 보면 예쁘다 여길 테지만, 나비로 거듭나기 앞서 애벌레일 적에 풀잎을 갉아먹어요. 배추잎도 상추잎도 무잎도 고추잎도 감자잎도 뽕잎도 모두모두 갉아먹어요. 흙일을 망가뜨린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런데, 나비로서는 여느 풀잎을 몽땅 베거나 농약 쳐서 죽여 버리니, 배추잎이나 콩잎이나 시금치잎이나 모두 갉아먹을밖에 없습니다. 나비도 먹고살아야지요. 그리고, 나비로 거듭나야 나비가 이 꽃 저 꽃 옮겨다니며 꽃가루받이 해 주어요. 논둑이나 밭둑 풀 함부로 베어내서는 안 되고, 나뭇가지 솎아내기도 섣불리 해서는 안 되어요. ‘사람 눈에 보기 좋다’고 하는 싹 밀어낸 모습은 사람한테 외려 나쁜 모습입니다.
- ‘그 집에 있으면 왠지 평범의 기준이 헷갈린다. 내가 틀린 것도 아닌데, 내가 이상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단 말이야.’ (17쪽)
- ‘엄마가 돌아가신 후 류지 형도 뭔가 변화를 겪은 건지 몰라.’ (27쪽)
- ‘울 필요가 없으니까. 엄마를 잊은 건 아니지만, 외롭다는 생각은 안 했거든. 그런 생각할 틈이 없을 만큼 매일 정신 없어서.’ (45쪽)
논에 밭에 농약 잔뜩 뿌리면서 ‘개구리 노랫소리 듣기 좋다’고 말한다면 거짓입니다. 개구리 몽땅 죽이는 짓을 하면서 개구리 노랫소리 듣기를 바랄 수 없습니다. 논에서 개구리가 살기에, 개구리가 메뚜기를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논과 밭에서 메뚜기가 뛰놀기에 제비가 날아다니며 메뚜기를 잡아채어 새끼를 먹여살릴 수 있습니다. 개구리가 살아가기에 왜가리나 해오라기가 개구리 잡으러 논마다 하얗게 내려앉습니다.
우리는 모두모두 한식구입니다. 사람과 사람도 이웃이요 한식구일 뿐 아니라, 사람과 개구리도 이웃이면서 한식구입니다. 사람과 메뚜기도, 사람과 제비도, 사람과 해오라기도 한식구예요. 개구리와 메뚜기와 제비와 해오라기도 서로 한식구이지요. 나비와 사람도 한식구요, 뱀과 도룡뇽 또한 사람하고 한식구를 이룹니다.
- “참 귀엽구나, 너. 왜 짖지 않는 거지? 따뜻하다.” (123쪽)
- ‘이렇게 조금씩 조금씩이지만, 테루 누나는 우리 집에 녹아들려 노력하는 것처럼 보였다.’ (158쪽)
치야 토리코 님 만화책 《가족 스위치》(학산문화사,2013) 첫째 권을 읽습니다.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셔서 ‘타∼보’라 하는 아이가 집일을 도맡습니다. 식구 가운데 아무도 ‘타∼보’라 하는 아이더러 집일을 하라 맡기지 않았다지만, 다른 식구는 처음부터 집일 할 생각조차 없습니다. 아버지도 똑같습니다. 어머니 혼자 집일 건사하며 식구를 돌본 삶이었습니다.
누가 누구한테 굳이 고맙다고 말해야 하지 않습니다. 누가 누구한테 애써 몸바친다고 여길 까닭이 없습니다. 그러나, 삶을 이루는 흐름은 읽어야 합니다. 삶을 빛내는 사랑이 어떻게 어우러지는가 깨달아야 합니다. 이런 ‘타∼보’네 집에 곁식구이자 한식구로 찾아온 ‘테루 누나’는 새로운 이야기를 하나 불어넣습니다. ‘한식구’라는 생각을 거의 안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한식구’로 지내는 삶을 새삼스레 돌아보도록 이끈다고 하겠지요.
- ‘누가 날 좀 찾아 줘. 누가. 날 좀.’ (169쪽)
어머니를 일찍 잃은 아이들 마음속에는 어떤 이야기가 흐를까요. 어머니를 그리고 싶은 아이들 마음속에는 어떤 생각이 흐를까요.
어머니가 있기에 안 외로울 수 있을까요. 어머니가 없기에 늘 외롭다 여겨야 할까요. 어머니는 집안에서 어떤 몫 맡는 사람일까요. 어머니 있는 집과 어머니 없는 집은 어떻게 다를까요. 아버지는 집안에서 어떤 구실을 하고, 아버지가 있을 때와 없을 때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아이들한테 사랑을 물려줄 사람은 누구일까요. 아이들은 사랑을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요. 아이들은 어떤 사랑을 받아먹으면서 자랄까요. 아이들을 낳은 어버이는 스스로 어떤 사랑을 빛내는 하루를 아이들 앞에서 보여줄까요. 아이들은 차츰차츰 스스로 내 삶을 나 스스로 찾는 길을 걸어갈 테지만, 아이들이 씩씩하게 홀로서는 날까지 아이들 곁에 있을 어버이는 어떤 모습과 마음일 때에 아름다울까 궁금합니다. 4346.6.29.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만화책 즐겨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