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심에서 건져 올린 해맑은 감동, 동시 쓰기 새로운 글쓰기의 보고 세상 모든 글쓰기 (랜덤하우스코리아) 13
이준관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어린이책 읽는 삶 32

 


동시쓰기와 동시읽기는 무엇인가
― 동심에서 건져올린 해맑은 감동, 동시쓰기
 이준관 글
 랜덤하우스코리아 펴냄,207.12.7./7500원

 


  사랑을 생각합니다. ‘사랑’이라 할 때에 무엇이 떠오르는지 가만히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은 어떠한지 모릅니다. 나는 내 느낌만 떠올릴 수 있습니다. 나는, 맨 처음으로 ‘따스함’이 떠오릅니다. 다음으로, ‘좋다’가 떠오르고 ‘웃음’이 떠오릅니다. ‘기쁨’이 뒤따릅니다. ‘환한 빛’이 떠오르고 ‘무지개’와 ‘빗방울’과 ‘개구리 노랫소리’와 ‘제비 먹이 물리는 모습’이 떠오릅니다.


  꿈을 생각합니다. ‘꿈’이라 할 때에 무엇이 떠오르는지 찬찬히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은 꿈을 어떻게 바라볼는지 모릅니다. 나는 내 느낌만 짚을 수 있습니다. 나는, 무엇보다 ‘햇살’이 떠오릅니다. 다음으로, ‘즐겁다’가 떠오르고 ‘노래’가 떠오릅니다. ‘어깨동무’가 떠올라요. ‘빛살’과 ‘노을’과 ‘새벽’이 떠오릅니다. ‘보람’과 ‘땀방울’이 나란히 떠올라요.


.. 사랑은 남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마음이다. 그리고 남의 아픔을 달래고 감싸 주려는 마음이다. 동시를 쓰는 마음은 무엇보다도 남의 아픔을 달래고 감싸 주려는 사랑의 마음이어야 한다 ..  (35쪽)


  동시쓰기를 가르치는 분도 제법 있고, 동시쓰기 강의를 하거나 책을 내는 분이 더러 있는데, 나는 동시쓰기를 가르칠 수 없는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동시뿐 아니라 어른시도 ‘어른시쓰기’를 가르칠 수 없는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동시읽기도 가르칠 수 없다고 느낍니다. 그리고 ‘어른시읽기’도 가르칠 수 없으리라 느껴요. 왜냐하면, 동시이든 어른시이든, 시를 쓸 적에는 ‘마음’을 ‘글’로 옮기기 때문에, 마음을 어떻게 그리라고 가르치거나 알려줄 수 없어요. 글을 쓴 사람 마음이 이렇다느니 저렇다느니 따지거나 재거나 나무라거나 추켜세울 수 없어요.


  오직 한 가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시 즐기기’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어느 것도 가르칠 수 없지만, ‘시를 즐겁게 쓰기’하고 ‘시를 즐겁게 읽기’, 이렇게 두 가지만 가르칠 수 있다고 느껴요.


  이준관 님이 쓴 《동심에서 건져올린 해맑은 감동, 동시쓰기》(랜덤하우스코리아,2007)라는 책을 읽으면서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동시쓰기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이런 책을 다 쓰는가 싶어 궁금합니다. 다른 무엇보다, 이준관 님은 ‘사랑’이 다른 사람 마음을 헤아리는 마음이라고 적바림하는데, 또 아픔을 달래는 마음이 ‘사랑’이라고 적바림하는데, 이러한 생각은 ‘사랑’을 너무 작고 좁게 바라보는 결이지 싶습니다. ‘사랑’ 가운데 이런 마음이 한 자락 있을 테지만, 사랑은 품이 한결 넓어요.


  이웃사랑, 지구사랑, 아이사랑, 책사랑, 만화사랑, 놀이사랑, 하늘사랑, 바다사랑, 숲사랑, 마을사랑, 나라사랑, 노래사랑, 밥사랑, …… 들을 헤아려 봅니다. 어떤 사랑이 되든 ‘맞은편 마음 헤아리기’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걱정해 주기’란 ‘걱정’이지 ‘사랑’이라고 하기에는 어딘가 얕습니다. 달래기, 어루만지기, 감싸기, 같은 느낌도 ‘달램’과 ‘어루만짐’과 ‘감쌈’에서 맴돌 뿐, ‘사랑’으로 와닿기에는 어쩐지 동떨어집니다.


  어머니가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가 어머니를 사랑해요. 할아버지가 흙을 사랑하고 할머니가 나무를 사랑해요. 나무가 사람을 사랑하고, 숲이 사람을 사랑합니다. 사람이 숲을 사랑하고, 사람이 하늘을 사랑합니다. 이러한 ‘사랑’을 한결 넓으면서 깊게 바라볼 때에, 동시를 쓰는 마음이란 어떠한 결인가를 새롭게 깨닫거나 느끼리라 봅니다.


.. 동시를 쓰는 사람들이 가장 고심하는 것이 바로 ‘무엇을 쓸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소재는 먼 곳이 아니라 가까운 곳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동시의 소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생활 주변에 있다 ..  (53쪽)


  나는 글을 쓰면서 ‘걱정’하는 일이 없습니다. 걱정을 하자면 글을 쓸 수 없습니다. 너무 마땅합니다. 걱정이 넘치는 사람은 글을 쓸 수 없습니다. 무엇을 써야 할까 걱정한다면, 글을 쓸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가 있을 때에 글을 쓰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도 없는데 ‘글 쓸 거리’를 찾거나 끌어당긴대서 ‘글이 되’지 않아요.


  곧, 동시이든 어른시이든, 그러니까 ‘글’을 쓰려면 ‘쓸거리(소재)’ 아닌 ‘이야기’를 깨달아야 합니다. 내가 이웃과 동무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무엇인지 살펴야 합니다. 내가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를 깨달을 때에 글을 씁니다.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를 알아차릴 때에 글을 읽습니다.


  글읽기(책읽기)는 아무나 못 합니다. 글읽기(책읽기)는 참말 아무렇게나 못 합니다. 누군가 베스트셀러나 권장도서나 추천도서를 선물해 주었기에 하는 글읽기(책읽기)가 아니에요. 글(책)을 읽으려 한다면, 그 글(책)을 읽어야 하는 까닭을 스스로 먼저 느껴야 하고, 그 글(책)을 읽으면서 내 삶을 어떻게 다스려서 새롭게 거듭나고 싶은가를 먼저 깨달아야 합니다. 글(책)로 읽고 싶은 ‘이야기’를 모르는 채 글(책)만 붙잡는다면 아무것도 못 얻어요. 얻을 수 있는 한 가지라면 ‘아무것도 못 얻는다’는 대목만 얻지요.


  다시 말하자면, 쓸거리는 “먼 곳이 아니라 가까운 곳에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쓸거리는 “생활 주변에 있다”고도 할 수 없습니다. 쓸거리는 언제나 ‘내 마음속’에 있습니다. 쓸거리란 바로 ‘내가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이니, 내 마음속에서 길어올려야 합니다. 내가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는 ‘내 삶 언저리’에서 찾을 수도 있지만, ‘머나먼 곳에 있는 낯선 나라 낯선 마을 모습과 삶’에서 찾을 수도 있습니다. 어느 곳에서 찾든, ‘내가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일 때에 글(동시, 어른시, 동화, 소설, 산문)을 쓸 수 있어요.


.. 눈으로 보는 것은 구경꾼이나 관찰자에 불과하다. 한발 비켜서 있는 구경꾼의 글은 독자들에게 큰 감동을 주기 어렵다. 그러나 자기가 직접 했거나 해 본 일은 그 감동이나 느낌이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  (74쪽)


  나는 눈으로 바라보기를 좋아합니다. 눈만큼 ‘큰 경험’이 없습니다. 씨앗을 눈으로 보고, 밥물 끓는 모습을 눈으로 봅니다. 아이들 자라는 모습을 하루 내내 눈으로 지켜봅니다. 자전거를 타고 시골길 아이들과 함께 달리면서, 우리 보금자리 깃든 전남 고흥 어여쁜 마을살이를 눈으로 살펴봅니다.


  눈으로 실컷 누리면서 코로 맡습니다. 씨앗내음을 맡고, 밥물 끓는 내음을 맡습니다. 아이들 머리카락 사이에 코를 파묻고 냄새를 맡습니다. 아이들 옷에 때나 땀이나 얼룩이 얼마나 묻었나 냄새를 맡습니다. 시골길 다니며 들내음과 숲내음과 바다내음 맡습니다.


  그리고, 살갗으로 헤아립니다. 마음으로 살핍니다. 나를 둘러싼 이 아름다운 누리를 모든 세포를 깨워서 낱낱이 느낍니다. 좋은 느낌을 찾고, 즐거운 빛을 살피며, 반가운 꿈을 돌아봅니다.


  눈으로 바라본대서 ‘구경꾼’이 아닙니다. 구경꾼이란 ‘뒷짐 진 사람’입니다. 이를테면, 아이를 낳는 어버이는 어머니와 아버지인데, 아이를 돌보는 몫을 어머니한테만 떠맡기고 바깥으로만 나돌거나 집에서 아이들 보살피는 몫 건사하지 않는 여느 아버지들이 바로 ‘구경꾼’입니다. 빨래 안 하고, 밥 안 지으며, 청소 안 하고, 아이들 자장노래 안 불러 주는 수많은 여느 아버지들이 바로 ‘구경꾼’이에요.


.. 생활 속에 시가 있다. 생활하면서 느낀 것, 또는 하고 싶은 말을 시로 써 보라. 아이들의 생활을 눈여겨보고 시로 써 보고, 어린 시절의 추억도 시로 써 보라. 우리 생활 주변에 있는 사물과 동식물들도 재미있게 시로 옮겨 보라 ..  (167쪽)


  글로 쓸 거리란 ‘사람들 마음속에 다 있다’고 느낍니다. 글을 읽어 얻을 생각도 ‘사람들 마음속에 다 있다’고 느껴요. 그래서 동시나 어른시 모두 “생활 속에 시가 있다”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고 느낍니다. ‘삶에 시가 있다’기보다 ‘내 마음속에 시가 있다’고 말해야 옳다고 느낍니다.


  삶이란 무엇이겠어요. 삶이란 내가 누리는 하루가 모여 이루어지는 이야기예요. ‘이야기’가 ‘삶’이에요. 그러면, 이야기란 또 무엇이겠어요. 내가 들려주고 싶은 마음이 이야기예요. 곧 ‘마음’이 ‘이야기’입니다. 내가 들려주고 싶은 마음이라 하는 이야기란 또 무엇일까요. 바로 ‘사랑’이지요.


  사랑을 들려주고 싶기에 글(시)을 씁니다. 사랑을 듣고 싶기에 글(책)을 읽습니다. 실마리는 여기에 있습니다. 아름답구나 싶은 글(시)을 쓰는 사람들은 모두 이 실마리를 잘 깨우친 분이라고 느낍니다. 윤동주 님도, 이원수 님도, 권정생 님도, 임길택 님도, 바로 이 같은 실마리를 슬기롭게 깨우쳤어요. 이분들은 한결같이 ‘사랑’을 노래했습니다. 사랑을 노래하고픈 ‘마음’을 살찌우고 아꼈습니다. 사랑을 노래하고픈 마음을 살찌우고 아끼는 하루를 가다듬으며 ‘삶’을 일구었어요. 언제나 스스럼없이 글(시)이 샘솟지요. 꾸며서 쓰는 글(시)이 아니라, 싱그럽게 노래하며 쓰는 글(시)이에요.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현덕, 백석, 권태응 같은 분들이 노래한 이야기도 바로 이러한 ‘삶노래’이고 ‘사랑노래’입니다.


  생각해 보셔요.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가 꾸준하게 넘실거리는데, 왜 “어린 시절의 추억”에 사로잡히는가요. 마음속에서 샘솟는 사랑노래가 자꾸자꾸 넘치는데, 굳이 “생활 주변에 있는 사물과 동식물들도 재미있게” 옮기는 글이 얼마나 재미있을까요.


  삶을 써야 글이 맞습니다. 삶을 쓸 때에 시가 됩니다. 그러면, 글이 맞고 시가 되는 ‘삶’이 무엇인지부터 또렷이 살펴야 합니다.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마음, 이야기로 들려주고 싶은 사랑스러운 마음, 이 두 가지가 어우러지는 하루와 하루가 모여 ‘삶’이 됩니다.


.. 동시를 쓰려면 준비 단계가 필요하다. 그냥 써지는 것이 아니다. 아이들 세계와 동심의 세계를 알아야 한다. 그러려면 먼저 아이들을 잘 알고 좋아해야 한다. 자기가 쓰려고 하는 아이들과 친해야 한다. 아이들과 만나서 친할 기회가 없으면 아이들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책을 읽거나 연구를 해야 한다 ..  (19쪽)


  이준관 님이 쓴 《동심에서 건져올린 해맑은 감동, 동시쓰기》라는 책에는 다른 어느 동시작가 작품보다 이준관 님 작품을 아주 많이 다룹니다. 이준관 님 스스로 동시를 쓰시니, 이녁 작품을 보기로 들 수 있겠지요. 그러나, 동시쓰기 일반론을 펼치려 한다면, 이녁 작품은 되도록 한두 꼭지로만 다루고, 다른 동시작가 작품을 다루어야 올바르다고 느낍니다. 이녁 작품을 보기로 들면서 ‘잘 쓴 글’이라는 말까지 거듭 덧붙이는데, 이렇게 ‘스스로 칭찬하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 자주 보여주는 일은 좀 남우세스럽습니다.


  마지막으로 한 마디 붙이자면, 동시를 쓰려는 사람은 “아이들을 잘 알고 좋아해야” 하기는 할 텐데, 동시를 쓰려는 사람이 “아이들과 만나서 친할 기회가 없”을 수 있는지 알쏭달쏭합니다. 게다가 “아이들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책을 읽거나 연구를 해야” 한다는 말은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아니, 아이들하고 만나면 되지, 왜 아이들 세계 연구를 하고, 왜 아이들 세계를 학문으로 밝힌 책을 읽으라고 하는가요. 이런 책읽기야말로 ‘구경꾼’ 되는 노릇이지 싶습니다. 스스로 몸으로 겪지 않은 일을 써서는 ‘감동’을 할 만한 동시를 못 쓴다고 책에 밝힌 이준관 님인데, 동시를 쓰려는 사람들한테 책 첫머리부터 ‘구경꾼’이 되라고 말하는 대목은 좀 아찔합니다. 우리 둘레에 아이들이 없어서 ‘책으로 아이들을 연구’해야 할까요.


  생각을 기울여 봅니다. 동시를 쓰는 사람은 모두 어른입니다만, 어른이라는 사람 누구나 어린이였습니다. 어린이에서 자라 어른이 됩니다. 어른이 된 사람은 몸뚱이가 어린이하고는 사뭇 멉니다. 그러나, 어린이로 살아온 나날이 몸속 깊이 아로새겨졌습니다. 스스로 내 몸을 돌아볼 수 있다면, ‘내 마음속에 깃든 어린이 모습’을 읽을 수 있습니다. 나이 마흔이나 예순이라 하더라도 나이 여섯이나 아홉 아이들과 똑같이 어울려 뛰놀 수 있습니다. 스스로 ‘마음속 어린이 모습’을 찾아내어 둘레 아이들하고 얼크러지면 곧바로 ‘어린이마음(동심)’이 되어요.


  동시를 쓰려는 사람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동시를 쓰려는 사람은 ‘이웃하고 나누고 싶은 사랑’을 ‘이야기 한 자락’으로 갈무리하면서 ‘스스로 어린이가 되어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아이들을 놀이터에서 찾지 말아요. 아이들을 학교나 학원에서 찾지 말아요. 아이들을 ‘우리 집’에서 찾아요. 아이들을 우리 삶터와 우리 마을에서 찾고, 다른 어느 곳보다 ‘우리 마음속’에서 아이들을 찾아요. 4346.6.15.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