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1] 세 해는 살아야
― 내 집이 내 집 되기

 


  우리 식구 인천을 떠나 시골에서 지낸 때는 2010년이다. 나 혼자 시골에서 일하며 세 해 반 살던 적 있으나, 한솥지기를 이루어 시골살이를 한 지 네 해째 된다. 충청북도 음성 멧골자락에서 한 해를 보내고 전라남도 고흥 두멧시골에서 세 해째 보내며 생각한다. 처음 고흥에 조그마한 보금자리 얻어 들어올 무렵, 이웃 할배가 우리 집 감나무 가지치기 하라고 말씀하면서 “세 해만 있으면 감을 먹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세 해는 곧 지나간다.”고도 하셨다. 곧 지나간다던 세 해가 참말 지나간다.


  옆지기와 두 아이하고 나란히 살아가는 시골집에서 밤노래 들으며 생각에 잠긴다. 시골집에서 듣는 밤노래는 여러 가지이다. 먼저, 오월 막바지에 마을 무논마다 깃들어 노래하는 개구리가 하나요, 가까운 숲과 멧자락에서 노래하는 멧새가 둘이며, 가끔 살랑살랑 부는 바람 따라 마당에 있는 후박나무와 뒷밭에 있는 감나무와 뽕나무가 흔들흔들 춤을 추며 내는 잎사귀 팔랑이는 노래가 셋이다. 아이들 자면서 이불 걷어차는 소리를 곁들인다. 때때로 풀벌레 노랫소리 섞인다. 낮에는 낮노래 들으며 즐겁고, 밤에는 밤노래 들으며 기쁘다. 먹어도 배부르고 먹지 않아도 배부르구나 싶다. 사람은 그릇에 담은 밥을 먹을 때에만 배부르지 않다고 느낀다. 마음을 살찌우는 살가운 소리와 빛깔과 내음과 무늬가 가만가만 스며들면서 배부를 수 있구나 싶다.


  그래, 시골살이 일기를 쓴다면, 이렇게 세 해쯤 한 곳에 뿌리를 내려 지내고서야 쓰면 딱 좋겠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흐드러지게 마주하는 우리 집 작은 꽃밭 노랑붓꽃을 바라보고, 사진으로 찍으며, 또 아이들과 언제나 꽃바람 쐬는 보람도 한 해 두 해 새롭게 묵고 쌓으면서 한결 좋다. 처음에는 놀라고, 다음에는 반가우며, 이윽고 즐겁다. 처음 이 시골집에 깃들면서 올려다본 제비집에 참말 제비가 올까 궁금했고, 참으로 제비가 찾아들어 집을 고쳐 새끼 낳아 살아가는 모습을 보니 반갑더니, 이듬해에 다시 찾아오는 모습 보며 고맙고 기쁘다.


  내 집이 내 집으로 되는 이야기를 써 보자. 내 집을 내 집으로 삼는 이야기를 적어 보자. 한솥지기 네 사람 웃고 울며 떠들고 얼크러지는 삶을 갈무리해 보자. 시골이란, 시냇물과 골짜기 있어 시골일 수 있고, 시원스레 꽃골 이루어 시골일 수 있다. 사람이 사람답게 꿈을 꾸는 삶을 어디에서 어떻게 일구는가 하는 이야기를 노래하자. 오월 십구일에 첫 봉오리 터뜨린 우리 집 노랑붓꽃에 맺힌 빗물이 싱그럽다. 4346.5.29.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시골살이 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