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쓰기
― 내가 찾아내는 내 사진

 


  시골에서 네 식구 살아가는 모습을 날마다 여러모로 사진으로 담는다. 그러나 집안일 도맡으며 살아가다 보니, 막상 사진을 아주 예쁘게 찍었다 하더라도 여러 일에 치인 나머지 ‘어떤 사진을 찍었는지’ 잊고 지나치기 일쑤이다. 아이들 노는 어여쁜 모습을 사진으로 찍으면서 ‘내가 찍은 우리 아이들 사진이라 하더라도 이토록 어여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며 가슴 두근두근 설레도록 이끈 사진조차 잊은 채 한 달이 가고 석 달이 가며, 때로는 한 해나 두 해가 흐르기도 한다. 한참 지나고 나서 문득 ‘그동안 아직 갈무리하지 못한 사진파일에서 다른 어떤 사진을 찾으려’고 하다가 ‘그래, 예전에 이렇게 즐겁게 놀면서 즐겁게 찍은 사진이 있었잖아?’ 하고 떠올리면서 무릎을 치는 일이 잦다.


  사진이기 때문일까. 사진이기 때문에, 그때그때 갈무리하지 못하더라도 ‘늘 그대로 남아’서 ‘내가 알아보고 즐겁게 쓰는 날까지 기다린다’고 할 수 있을까. 모르는 노릇인데, 내가 손수 갈무리하지 못하고 지나친 사진 가운데 우리 아이들이 스무 살 되거나 마흔 살 되어 ‘한참 한참 한참 뒤에 처음으로 갈무리하는 사진’이 나올 수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무척 애써서 웬만한 사진 다 갈무리해 보고자 하기는 하더라도, 큰아이가 갓 태어난 여섯 해 앞선 때 사진조차 다 갈무리하지 못했고, 작은아이가 막 태어난 세 해 앞선 때 사진도 다 갈무리하지 못했다. 옆지기와 만나 함께 살면서 옆지기를 담은 사진도 다 갈무리하지 못했다.


  그러고 보면, 옆지기와 만난 뒤부터 ‘옆지기 사진’부터 제대로 갈무리하지 못한 채 하루하루 보내는구나 싶다. 여기에 큰아이 사진이 쌓이고, 작은아이 사진이 쌓인다.


  그런데 말이다, 미처 갈무리하지 못한 ‘나 스스로 돌아보아도 참 놀랍다 싶은 사진’이 있다 하더라도, 그때그때 틈틈이 갈무리하는 사진으로도 참 좋고 아름다운 삶이라고 느끼기에, 날마다 즐거이 사진삶 누리는구나 싶다. 내가 찍은 사진을 꼭 내가 몽땅 갈무리해야 하지는 않을 테니까. 내가 찍은 사진을 반드시 내가 하나하나 쓰거나 보여주어야 하지는 않을 테니까.


  한 장을 즐겨도 좋은 사진삶이요, 두 장을 누려도 좋은 사진삶이다. 더 많이 찍어야 할 사진이 아니고, 더 많이 보여주거나 갈무리해야 할 사진이 아니다. 마음 깊이 아끼며 좋아할 사진을 아로새길 수 있으면 즐거운 사진이다. 나는 내가 찍은 사진으로 이루어진 사진밭에서 재미나고 예쁜 사진을 늘 찾아낸다. 좋다. 4346.5.26.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